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orean History

러일협정 : 베베르-고무라 각서,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로젠-니시 협정 19세기 말, 조선은 강대국들의 세력 다툼 속에서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일본과 청나라의 갈등으로 인해 **청일전쟁(1894~1895년)**이 발생한 후, 일본이 조선에서 우위를 점하는 듯했지만,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일본과 러시아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을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는 여러 차례 외교적 협정을 체결하며 세력 균형을 조정하려 했다. 일본의 경제적 우위를 인정하면서 공동으로 조선을 관리하자는 여러 협정들이 맺어졌다. 하지만 결국 이러한 협정들은 일시적인 해결책에 불과했으며,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이어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을 중심으로 한 러·일 협정의 전개 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러·일 협정 배경 알아보기👇.. 더보기
제물포 조약 (한일 수호 조규 속약, 임오조약) 1882년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壬午軍亂)**이 발생했다. 조선의 구식 군인들이 차별과 경제적 어려움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다. 이 과정에서 일본 공사관이 습격을 당했고, 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일본이 조선과 맺은 조약이 **제물포 조약(濟物浦條約, 1882년 7월 23일)**이다. 이 조약은 조선이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불평등 조약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제물포 조약의 배경, 주요 내용, 그리고 그 결과와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1. 제물포 조약의 배경1) 임오군란(1882년 6월 9일)의 결과로 제물포 조약 체결임오군란 원인과 결과 더보기  임오군란의 원인과 결과 in 하도감 터(3)[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55회] 오늘의 탐사지:.. 더보기
일본의 조선 지배를 확정한 3대 조약 1905년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후 몇 달 사이에 조선을 지배하기 위한 결정적인 3개의 조약이 차례로 체결되었다. 이 조약들은 일본이 강대국들의 승인과 지원을 바탕으로 조선 지배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7월 29일)🔹 체결국: 일본-미국🔹 주요 내용: 미국이 일본의 조선 지배를 묵인, 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인정 📌 배경미국은 1898년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필리핀을 식민지로 확보했지만, 필리핀 내에서 독립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었다.일본은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으면서 조선을 지배할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었다.미국과 일본은 서로의 식민 통치를 보장하는 비공식적인 비밀 협약을 체결했다.📌 조약의 핵심 내용미국은 일본의.. 더보기
신미양요 : The 1871 Korea-U.S. Conflict 1871년 조선과 미국이 역사상 처음으로 무력 충돌한 사건이 바로 신미양요이다. 이 사건은 단순한 외교 마찰이 아니라, 조선의 쇄국정책과 미국의 무력 시도가 정면으로 부딪힌 결과였다. 신미양요는 조선의 외교 정책과 군사적 한계를 명확하게 드러낸 사건으로, 이후 조선의 개항과 근대화 과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신미양요는 왜 일어났으며, 그 결과는 조선과 미국 관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 1. 신미양요의 배경과 원인① 조선의 쇄국정책19세기 조선은 외국과의 교류를 엄격히 통제하는 **쇄국정책(鎖國政策)**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외세로부터 나라를 보호하고 유교적 전통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지만, 서구 열강들의 침입이 점점 잦아지면서 외교적 충돌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었다. 조선은 서양 세력을 **"서.. 더보기
조선 시대 왕 재위 기간 정리 (1392~1897) 조선 왕조는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하여,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까지 총 27명의 왕이 즉위했다. 다음은 조선 왕들의 재위 기간을 정리한 표이다. 1. 조선 전기 (건국,임진왜란 이전, 1392-1592)조선의 기틀을 다지고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확립한 시기연번 왕 이름 재위 기간 주요 특징1태조 (太祖) 이성계1392~1398 (6년) 양위조선 건국, 한양 천도2정종 (定宗) 이방과1398~1400 (2년) 양위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 개경 환도3태종 (太宗) 이방원1400~1418 (18년) 양위왕권 강화, 사병 혁파, 호패법 시행4세종 (世宗) 이도1418~1450 (32년)한글 창제, 집현전 설립, 4군 6진 개척5문종 (文宗) 이향1450~1452 (2년)병약한 왕, .. 더보기
아리랑(Arirang) 기원과 역사 : 한을 담은 한국의 노래 (Arirang: The Song of Han)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이 멜로디를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한국의 전통 노래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리랑이 언제부터 불렸을까? 정확한 기원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역사적 자료와 연구를 통해 아리랑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 추적해볼 수 있다. 1. 아리랑 기원 – 언제 처음 불렸을까?아리랑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고려 또는 조선 초기 설 (10세기~16세기)아리랑의 기원이 고려 시대(918~1392) 혹은 조선 초기(1392~1592)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는 설이 있다. 이 시기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노동요(일하면서 부르는 노래)나 구전 가요에서 비롯되었을.. 더보기
한국인 정 문화 형성된 역사적 배경 한국인들은 유독 서로를 챙기고, 정을 나누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처음에는 낯설지만 한 번 인연을 맺으면 가족처럼 챙기는 것이 한국 정(情) 문화의 특징이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정 문화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정 문화는 농경 사회에서 시작해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외세의 침략과 전쟁 속에서도 더욱 단단해졌다. 시대가 변하면서 형태는 달라졌지만, 한국인들의 정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다. 지금부터 정 문화의 역사적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자. 1. 농경 사회에서 시작된 협력의 문화한국의 정 문화는 농경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탄생했다. 한국은 오랜 기간 농업 중심의 사회였으며, 농사는 혼자서 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논과 밭을 일구고, 수확을 거두는 과정에서 마을 사람들이 힘을 합치는 것이 필수.. 더보기
인천공항 가이드 : 세계 최고 국제공항으로 인정받는 이유 2001 인천국제공항(Incheon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공항으로, 서울에서 서쪽으로 약 48km 떨어져 있다. 2001년 개항한 이후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성장했으며, 영종도,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등 인천 앞바다의 섬들을 간척하여 건설되었다. 인천공항의 규모인천공항은 총 면적 약 5,610헥타르(56.1㎢)로, 이는 여의도의 약 19배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인천국제공항 제1·제2터미널 항공사 배정 기준은 무엇?  ✈ 인천국제공항의 탄생기존의 김포국제공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이용객이 급증하면서 국제선 수용에 한계를 보였다. 또한 김포공항은 도심과 가까워 확장이 어려웠기 때문에 새로운 국제공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 더보기
우리나라 최초 극장 협률사 애관극장 어디 있나? 1895년 인천에서 탄생한 협률사(協律舍)는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으로, 근대 공연예술의 시작을 알린 상징적인 공간이다. 현재는 애관극장으로 불리며 13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최근 경영난으로 인해 보존과 활용 방안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애관극장의 탄생부터 변화 과정, 문화적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1. 협률사의 탄생과 역사적 의미협률사는 1895년 인천 경동(현 애관극장 자리)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이다. 당시 인천은 개항 이후 외국 문물이 활발히 유입되던 도시였으며, 협률사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근대적 문화 공간이었다. ‘협률(協律)’이라는 이름은 ‘음악을 조화롭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연희 공간이 아니라 예술을 통해 문화를 발전시키겠다.. 더보기
손탁 호텔 역사 : 조선 최초 서양식호텔 1890년대 조선 한복판, 정동에는 이국적인 분위기의 서양식 건물이 하나 세워졌다. 당시 조선에서는 보기 드문 벽돌로 지어진 이 건물은 바로 ‘손탁호텔’이었다. 조선에서 최초로 개관한 서양식 호텔이었으며, 외교 사절과 고위층 인사들이 모이는 장소로 각광받았다. 그런데 이 호텔을 만든 사람은 조선인이 아닌 한 외국 여성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앙투아네트 손탁(Antoinette Sontag). 프랑스계 독일인이었던 그녀는 조선에서 서양 문화를 전파하고, 개화기 외교의 중심에 선 인물이었다.손탁은 누구인가?손탁은 프랑스계 독일인으로, 러시아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조선어까지 5개 국어에 능통한 인물이었다. 1885년, 초대 러시아 공사와 함께 조선에 입국하면서 고종과 인연을 맺었다. 그녀는 러시아 외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