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orean History/@ Here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고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나무가 있다?"울릉도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로 알려진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약 2,300년 전, 기원전 3세기경부터 자라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반도가 아직 고조선(古朝鮮) 시대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생존했다는 의미이다. 이 나무가 싹을 틔울 당시,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진나라(秦)가 통일을 이루었고, 로마 공화정이 지중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시기였다. 한반도에서는 고조선이 점차 세력을 잃어가고 부여와 삼한 등이 등장하기 시작한 때였다. 그런 격변의 시대 속에서 울릉도의 한 작은 나무가 싹을 틔우고,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켜왔다.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 역사울릉도 도동항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55호로 지정된 보호수로, 울릉군.. 더보기
인천공항 가이드 : 세계 최고 국제공항으로 인정받는 이유 2001 인천국제공항(Incheon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공항으로, 서울에서 서쪽으로 약 48km 떨어져 있다. 2001년 개항한 이후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성장했으며, 영종도,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등 인천 앞바다의 섬들을 간척하여 건설되었다. 인천공항의 규모인천공항은 총 면적 약 5,610헥타르(56.1㎢)로, 이는 여의도의 약 19배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인천국제공항 제1·제2터미널 항공사 배정 기준은 무엇?  ✈ 인천국제공항의 탄생기존의 김포국제공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이용객이 급증하면서 국제선 수용에 한계를 보였다. 또한 김포공항은 도심과 가까워 확장이 어려웠기 때문에 새로운 국제공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 더보기
우리나라 최초 극장 협률사 애관극장 어디 있나? 1895년 인천에서 탄생한 협률사(協律舍)는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으로, 근대 공연예술의 시작을 알린 상징적인 공간이다. 현재는 애관극장으로 불리며 13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최근 경영난으로 인해 보존과 활용 방안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애관극장의 탄생부터 변화 과정, 문화적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1. 협률사의 탄생과 역사적 의미협률사는 1895년 인천 경동(현 애관극장 자리)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이다. 당시 인천은 개항 이후 외국 문물이 활발히 유입되던 도시였으며, 협률사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근대적 문화 공간이었다. ‘협률(協律)’이라는 이름은 ‘음악을 조화롭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연희 공간이 아니라 예술을 통해 문화를 발전시키겠다.. 더보기
[인천 사진 명소 ] 인천항 곡물저장소 : 세계 최대 야외벽화 (사일로 벽화) 혹시 인천항에 가본 적이 있는가? 인천항에는 원래 곡물을 보관하던 커다란 저장소가 있다. 그런데 이곳이 이제는 세계에서 가장 큰 벽화가 있는 곳으로 유명해졌다. 벽화의 크기는 무려 축구장 4개를 합친 것만큼 거대하고, 높이도 22층 아파트와 비슷한 48m나 된다.    인천항 곡물저장소는 어떤 곳일까?곡물저장소는 말 그대로 곡물을 저장하는 곳이다. 수입한 밀가루, 옥수수, 콩 같은 곡물을 보관하는 시설로  16개의 커다란 원통형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인천항 곡물저장소는 1978년에 만들어졌다. 한국은 예전부터 해외에서 곡물을 수입해서 먹었는데, 인천항이 가장 중요한 수입항 중 하나였다. 그래서 이곳에 큰 저장소를 만들어 배에서 내린 곡물을 보관하고 전국으로 배달했다.   왜 벽화를 그리게 되었을까?이 .. 더보기
덕수궁 준명당 이야기 : 고종의 옹주 사랑 덕수궁의 즉조당과 복도로 연결된 곳에 준명당이 있는데 고종이 지어 편전으로 사용한 곳이다. 준명당 월대 위에는 기둥을 설치한 구멍이 나 있다. 조선 왕실에서 사랑받은 옹주들이 많지만, 고종만큼 딸을 극진히 아꼈던 왕도 드물다. 대한제국의 황제였던 고종은 나라를 지키려 애쓰는 한편, 개인적으로는 가족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그중에서도 그의 늦둥이 딸 덕혜옹주를 향한 사랑은 각별했다. 덕혜옹주가 태어나기 전부터 고종은 그녀를 위한 공간을 궁궐 안에 마련하려 했고, 준명당에 유치원을 개설해 줬다. 고종의 옹주 사랑보통 아기가 태어나면 왕은 일주일 뒤에 찾아가는 것이 관례였으나 고종은 바로 다음날 찾아갔다. 생후 2개월 된 덕혜옹주를 왕의 침전 옆인 함녕전에 옮겨 오도록 하고 시도 때도 없이 덕혜옹주를 보.. 더보기
숭인근린공원 속 정순왕후 이야기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씨는 조선 단종의 비(妃)로, 15세에 왕비가 되었으나 1455년 수양대군(세조)의 계유정난으로 단종이 폐위된 후 궁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자, 그녀는 동망산 기슭에 초가집(정업원)을 짓고 살며 동망봉에 올라 동쪽 영월 방향을 바라보며 단종의 명복을 빌었다. 이곳은 후일 '동쪽을 바라본다'는 뜻의 '동망봉(東望峰)'으로 불리며 공원의 상징적 장소가 되었다.  정순왕후는 누구인가? 먼저알아보기  정순왕후 송씨 단종의 왕비 : 72년간 폐서인으로 살아간 비운의 왕비조선 왕조에서 ‘폐서인(廢庶人)’이란 왕비나 왕족이 신분을 박탈당해 평민으로 강등되는 것을 의미한다. 왕비가 폐서인이 된 사례는 극히 드물지만,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144jangane.tistory... 더보기
조선 경종의 묘, 의릉과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의릉(懿陵)**은 조선 제20대 왕 **경종(景宗, 1688~1724)**과 그의 왕비 **선의왕후(宣懿王后)**의 무덤이다. 경종은 숙종의 맏아들이었지만, 그의 생애는 권력 투쟁과 정치적 음모로 점철되어 있었다. 특히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독살설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의릉은 단순한 왕릉이 아니라 조선 후기의 미스터리를 간직한 공간으로 남게 되었다.  1. 의릉의 조성과 숨겨진 이야기경종이 승하한 후 왕릉의 위치를 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논란이 있었다. 원래 서대문구 안산(鞍山) 근처가 후보지였지만, 풍수적으로 흉하다는 이유로 성북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의릉이 조성된 후에도 관리들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일이 자주 발생해 불길한 기운이 서린 곳이라.. 더보기
잠깐, 이게 계단이 아니라고? 청운교 백운교 천년의 비밀 불국사를 방문하면 누구나 한번 쯤은 인증샷을 찍은 장소. 청운교와 백운교는 사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751년(경덕왕 10년)에 건립된 구조물로 단순한 계단이 아니다. 1,270여 년의 세월 동안 한 자리를 지키며 신라의 놀라운 건축 기술과 불교적 상징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겉보기엔 그저 오래된 돌계단처럼 보이지만, 사실 청운교와 백운교는 계단의 모습을 한 다리로 만들어졌다. 어라? 근데 왜 다리라 부르는 것일까"저게 왜 다리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이유가 있다. 언뜻 보면 그냥 오래된 돌계단 같지만, 사실 이 두 구조물은 다리로 불리며 특별한 역사와 의미를 담고 있다. 왜 계단을 다리라고 부를까? 그 이유는 바로 과거 이 계단 아래로 물이 흐르던 흔.. 더보기
화천 산천어 축제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 :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겨울마다 강원도 화천군을 방문하면 꽁꽁 언 얼음 위에서 산천어를 낚으려는 수많은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들린다. 화천 산천어 축제는 단순한 겨울 이벤트가 아닌,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엮은 독특한 축제로 자리 잡았다. 이 축제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왜 이토록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일까?  1. 산천어 축제 기원과 역사적 배경  화천 산천어 축제는 2003년, 강원도 화천군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겨울철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화천은 겨울철 차가운 기후와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는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얼음낚시와 같은 겨울 체험 프로그램에 최적의 장소로 꼽혔다. 축제의 핵심인 산천어는 지역 계곡에서 서식하는 토종 어종으로, 산천어 낚시는 화천의 생태적 특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더보기
전주 전동성당 무엇이 특별한가? 전동성당은 한국 가톨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유적지로,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아름다운 성당이다. 이곳은 한국 전통과 서양식 건축이 융합된 독특한 건축물로, 관광객들에게도 사랑받는 명소이다. 특히, 이 성당은 한국 가톨릭교의 순교자 역사를 기리는 상징적인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전동성당의 붉은 벽돌 외관과 둥근 돔형 첨탑은 마치 유럽의 고딕 건축 양식을 연상시키며,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만남을 상징한다.전동성당 역사적 배경 전동성당의 이름은 성당이 위치한 지역인 "전동(殿洞)"에서 유래되었다. 전동은 조선시대 전주부성의 남문 인근 지역으로, 과거에는 조선 태조의 어진(왕의 초상화)을 봉안했던 전주 경기전과 가까운 곳이었다. 이러한 지역적 배경 덕분에, 전동성당은 역사와 종교적 의미가 모두 깊다. 전동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