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orean History/@ Here

조선 경종의 묘, 의릉과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의릉(懿陵)**은 조선 제20대 왕 **경종(景宗, 1688~1724)**과 그의 왕비 **선의왕후(宣懿王后)**의 무덤이다. 경종은 숙종의 맏아들이었지만, 그의 생애는 권력 투쟁과 정치적 음모로 점철되어 있었다. 특히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독살설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의릉은 단순한 왕릉이 아니라 조선 후기의 미스터리를 간직한 공간으로 남게 되었다.  1. 의릉의 조성과 숨겨진 이야기경종이 승하한 후 왕릉의 위치를 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논란이 있었다. 원래 서대문구 안산(鞍山) 근처가 후보지였지만, 풍수적으로 흉하다는 이유로 성북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의릉이 조성된 후에도 관리들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일이 자주 발생해 불길한 기운이 서린 곳이라.. 더보기
잠깐, 이게 계단이 아니라고? 청운교 백운교 천년의 비밀 불국사를 방문하면 누구나 한번 쯤은 인증샷을 찍은 장소. 청운교와 백운교는 사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751년(경덕왕 10년)에 건립된 구조물로 단순한 계단이 아니다. 1,270여 년의 세월 동안 한 자리를 지키며 신라의 놀라운 건축 기술과 불교적 상징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겉보기엔 그저 오래된 돌계단처럼 보이지만, 사실 청운교와 백운교는 계단의 모습을 한 다리로 만들어졌다. 어라? 근데 왜 다리라 부르는 것일까"저게 왜 다리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이유가 있다. 언뜻 보면 그냥 오래된 돌계단 같지만, 사실 이 두 구조물은 다리로 불리며 특별한 역사와 의미를 담고 있다. 왜 계단을 다리라고 부를까? 그 이유는 바로 과거 이 계단 아래로 물이 흐르던 흔.. 더보기
화천 산천어 축제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 :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겨울마다 강원도 화천군을 방문하면 꽁꽁 언 얼음 위에서 산천어를 낚으려는 수많은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들린다. 화천 산천어 축제는 단순한 겨울 이벤트가 아닌,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엮은 독특한 축제로 자리 잡았다. 이 축제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왜 이토록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일까?  1. 산천어 축제 기원과 역사적 배경  화천 산천어 축제는 2003년, 강원도 화천군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겨울철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화천은 겨울철 차가운 기후와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는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얼음낚시와 같은 겨울 체험 프로그램에 최적의 장소로 꼽혔다. 축제의 핵심인 산천어는 지역 계곡에서 서식하는 토종 어종으로, 산천어 낚시는 화천의 생태적 특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더보기
전주 전동성당 무엇이 특별한가? 전동성당은 한국 가톨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유적지로,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아름다운 성당이다. 이곳은 한국 전통과 서양식 건축이 융합된 독특한 건축물로, 관광객들에게도 사랑받는 명소이다. 특히, 이 성당은 한국 가톨릭교의 순교자 역사를 기리는 상징적인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전동성당의 붉은 벽돌 외관과 둥근 돔형 첨탑은 마치 유럽의 고딕 건축 양식을 연상시키며,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만남을 상징한다.전동성당 역사적 배경 전동성당의 이름은 성당이 위치한 지역인 "전동(殿洞)"에서 유래되었다. 전동은 조선시대 전주부성의 남문 인근 지역으로, 과거에는 조선 태조의 어진(왕의 초상화)을 봉안했던 전주 경기전과 가까운 곳이었다. 이러한 지역적 배경 덕분에, 전동성당은 역사와 종교적 의미가 모두 깊다. 전동성.. 더보기
안동 월영교 전설의 주인공: 원이 엄마는 누구?" 감동실화.. **월영교(月映橋)**는 경상북도 안동에 위치한 인도교로 단순한 교량이 아니라, 조선시대 원이 엄마와 이응태 부부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문화적 상징물이다. “월영교”는 한자로 “月映橋”라고 쓰며, “달빛이 비치는 다리”라는 뜻이다.  전통 문화의 중심지인 안동의 매력을 잘 보여주는 명소로  2003년에 완공되어, 길이가 약 387미터에 달하는 한국에서 가장 긴 목책교 중 하나이다. 축구장을 세 개쯤 이어 놓은 길이와 비슷하다. 월영교 건설 배경 원래 다리는 8세기경 신라 왕조 전성기에 지어졌다. 원래 월영교는 남천 위에 놓여 왕궁과 주요 지역을 연결했으나 세월이 흐르며 전쟁, 침략, 자연재해로 인해 원래 다리는 소실되었는데  삼국유사와 같은 역사 기록과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2008.. 더보기
국립경주 박물관 1 전시실. 성덕대왕 신종 이야기 성덕대왕 신종 이야기고구려의 강인함, 백제의 우아함, 신라의 화려함 , 삼국의 문화를 통합한 것이 통일신라이다. 통일신라는 영토를 통일한것 뿐만아니라 고구려와 백제 양국의 뛰어난 문화를 흡수한 문화이기도myvoice.wissue.net  신라 역사관 1 전시관 동선 신라가 건국하기 전의 삶과 신라 초기 나라의 기틀을 다지기 시작한 시의 모습을 엿볼수 있는 공간이다. 선사시대 돌도끼를 쓰던 경주 일대의 사람들이 어떻게 집단을 이루고 사회. 정치적으로 성장해 국가를 세웠는지 배울 수 있다.    신라 사람들은 다양한 모양의 토기를 만들었는데 토기를 통해서 신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짐작할수 있다. 구석기 시대 빙하기를 지나 물이 많은 곳에서 불을 사용하면서 지내던 사람들은 불을 사용하던.. 더보기
원주 뮤지엄 산 투어 뮤지엄 산은 1997년부터 운영되어 오던 종이 박물관(페이퍼갤러리)과 2013년 개관한 미술관(청조 갤러리)으로 이루어진 종합 뮤지엄으로 8년에 걸쳐 지어진 곳이다.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이 박물관은 미니멀리즘 스타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들어가는 입구 주차장부터 독특하다. 뮤지엄 산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아주 특별한 박물관이다. 산속에 위치해 있고, "SAN"은 한국어로 산을 뜻하면서, 동시에 "Space, Art, Nature"를 의미한다. 이 박물관은 자연과 예술, 건축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곳으로 유명하며 뮤지엄산의 건축 특징은 여백의 미이다.    뮤지엄 산은 코스에 따라 티켓의 금액과 소요시간이 다르다.  입장권 종류 기본권 23000원 : 야외가든+ 종이.. 더보기
부산 광복동 광복로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화 거리는 부산의 광복동이었다. 광복동은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해방 이후에 개명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실 광복 이전에는 광복동에는 일본 사람들 마을이었다.  그래서 그런 이미지를 벗겨내기 위해 개명했다는 설이 있다.   광복동의 번화가가 광복로인데 부산 데파트 앞에서부터 패션 거리로 이어지는 상권이다. 100년전에 이곳은 '긴 거리' 라는 뜻의 장수통으로 불렸다. 이 거리 양쪽에는 각종 상점들이 줄지어 있었고 길 가운데 전차 선로가 지나갔다.  그 당시 부산 최초의 백화점 미나카이 백화점이 있었는데 2009년도 백화점이 철거된 자리에 롯데백화점 광복지점이 설치되었다.     고구마의 본고장은 부산이다. ??고구마는 한국에 18세기 후반에 처음 들어왔다. 고구마는 오늘날 한국의 중요한.. 더보기
부산 부평 깡통시장 / 국제시장 이야기 깡통시장 부평 깡통시장은 1910년에 개설되어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재래시장으로 야시장이 유명하다. 1일 유동 인구만 약 2만명으로 대한민국 1호 야시장으로 현재는 전국 미식가들이 모이는 맛의 성지인 곳이다. 깡통시장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들이 군용 물자와 부대에서 나온 통조림 등 씨레이션(군용전투식량)이나 깡통 제품을 판매하면서 깡통시장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국제시장 부평깡통시장 옆 또다른 시장 국제시장이 있다. 먹거리 보다는 주로 공산품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영화 국제시장으로도 잘 알려진 시장은 원래 일본이 패망하면서 조선에 살고 있던 일본 사람들이 자기 나라로 돌아가야 되는데 짐이나 물건 소지품 이런 것들을 다 가져갈 수가 없어서 그런 것들을 모아서 판매하는 장터가 생겼다. 이곳을 도.. 더보기
부산 감천문화마을 / 아미동 비석마을 역사 아미동 비석마을 아미동 비석마을도 굉장히 유명한 당시의 대표적인 피란촌인데 부산 아미동을 비석마을이라고 부른이유는 일제강점기에 아미동에는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었다. 개항되기 전에는 용두산 공원을 중심으로 초량왜관이라는 일본인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당시에 일본인들 공동묘지는 지금 용두산 북쪽 자락인 복병산에서 대청로로 흘러나오는 주변에 있었다. 그러다 1904년 북항을 매축하면서 필요한 토석을 확보해야 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때 복병산 자락의 토석을 채취하면서 평지화해야 되는 일이 벌어지니 일본인 공동묘지가 아미동일대로 옮겨지게 된 것이다.    일제가 패망하자 황급히 떠난 일본인들이 무덤을 그대로 남겨두고 간것이다. 피란민들은 유골함을 제거한 후 묘지마다 세워진 비석을 재료로 무덤 위에 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