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History/@ Here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고다 공원 : 탑골 공원, 서울 속 역사 여행 명소 서울 종로 한복판에 자리한 탑골공원은 매일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이지만, 정작 이곳이 품고 있는 놀라운 역사와 이야기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당신은 평범한 공원을 지나다가, 이 작은 장소가 한국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순간들의 중심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지금부터 탑골공원의 숨겨진 역사 속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탑골공원설명: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으로, 3·1 운동의 발상지입니다. 원래 원각사 터였던 곳으로, 국보 제2호인 원각사지 10층 석탑과 팔각정 등 문화재가 있습니다.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주요 시설: 원각사지 10층 석탑, 팔각정, 3·1 운동 기념탑, 손병희 선생 동상, 한용운 선생 기념비 등운영 시간: 3월~10월 09:00~18:00 / 11월~2월 09.. 더보기 창덕궁 선정전 : 청기와의 비밀 📘 선정전 건립과 재건 연도1405년(태종 5): 창덕궁 건립과 함께 선정전도 처음 세워졌다.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발발로 창덕궁 전각 대부분이 화재로 소실되었다.1610년(광해군 2년): 창덕궁이 재건되었고, 선정전도 함께 복원되었다.1623년(인조반정): 반정 과정 중 궁궐 일부가 다시 불에 타면서 선정전도 피해를 입었다.1647년(인조 25년): 인조는 인왕산 아래 인경궁에 광해군이 지었던 편전 ‘광정전’의 자재를 옮겨 선정전을 다시 지었고, 이때 청기와를 얹히며 오늘날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선정전에 청기와를 얹은 이유 조선의 5대 궁궐 중 창덕궁 선정전은 유일하게 청기와를 얹은 건물이다. 이 청기와는 본래 광해군이 지은 별궁 인경궁에서 사용된 것이었다. 광해군은 서자 출신으로 .. 더보기 덕수궁 함녕전 : 망국의 황제 고종이 남긴 것은? 고종이 승하한 함녕전 1897년 창건된 함녕전은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던 해에 지어진 고종의 침전이다. 1904년에 온돌 수리 공사 중 일어난 대화재로 함녕전을 포함 덕수궁 내 전각들이 소실됐다가 같은 해 12월에 복원됐다. 이 화재로 인해 덕수궁의 거의 모든 건물이 다 불타없어졌다. 이후 고종황제는 수옥헌이라는 지금의 중명전이라는 곳으로 옮겨서 업무를 보게 되었다.함녕전에 불이 났을 때 고종이 가장 먼저 챙긴 것은 명성황후의 사진과 옥새였다. 명성황후 시해 후 덕수궁에 전화가 설치되고 아무리 멀리 있어도 음성을 들을 수 있단 사실에 놀았던 고종은 명성황후가 잠든 홍릉에 전화를 설치한 후 전화를 통해 명성황후의 안부를 물어보았고 거기 교환수가 무덤 쪽에 수화기를 대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아무리 통.. 더보기 광장시장 역사 : '광장’ 유래 ‘넓은 장소’가 아니었을까? 서울 한복판,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이는 광장시장.누구나 이름만 들으면 "넓은 장소"를 뜻하는 광장(廣場)을 떠올리기 쉽습니다.하지만 정말 그 뜻일까요?놀랍게도 ‘광장시장(廣藏市場)’의 이름은 단순한 의미를 넘어서 조선의 거리와 저항의 역사까지 품고 있습니다.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광장’이라는 이름이 새롭게 보이게 될 것입니다. 📍 ‘광장(廣藏)’은 단순히 넓은 장소가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광장시장'의 '광장'이 ‘넓은 장소(廣場, square)’라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실제 시장 이름은 ‘廣藏(광장)’으로, 넓을 광(廣)과 감출 장(藏), 또는 창고 장(藏)을 씁니다.이는 오늘날 ‘플라자(plaza)’와는 완전히 다른 뿌리를 갖습니다.이 이름은 단지 뜻을 따서 지은 것이 아니라, 서울 .. 더보기 청일전쟁 후 시모노세키 조약 협상 장소 여기? 시모노세키 조약, 복어 요릿집에서 체결된 굴욕의 역사1895년, 일본이 승리한 **청일전쟁(淸日戰爭, First Sino-Japanese War)**이 끝난 후, 청나라는 패전국으로서 강화협상을 해야 했다. 그런데 일본은 협상 장소를 도쿄나 오사카 같은 대도시가 아닌 한적한 항구 도시, 시모노세키(下關, Shimonoseki)로 정했다.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 복어 요릿집에서 맺어진 조약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일본과 **시모노세키 조약(馬關條約, Treaty of Shimonoseki)**을 맺어야 했다. 일본 측 협상 대표였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일부러 이 협상을 자신의 고향인 시모노세키에서 진행하도록 했다. 더 흥미로운 점은 협상 장소였다. 일본 정부는 호텔이나 공식적인 정부 청사.. 더보기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 Gloster Hill Memorial Park 설마리 전투 추모공원은 1951년 4월 22일~25일 임진강 전투(설마리 전투)에서 싸운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의 희생과 용기를 기리기 위해 조성된 곳이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235고지를 중심으로 3일 동안 압도적인 병력의 중공군을 저지하며 유엔군이 방어선을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 전투 당시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 제1대대는 설마리 지역에서 포위된 채 끝까지 저항하다가 대부분 전사하거나 포로가 되었다. 이들의 용맹과 희생을 기리기 위해 2014년 4월 23일 설마리 전투 추모공원이 조성되었다. ✔️설마리-전투-임진강-전투 체크👇 설마리 전투 = 임진강 전투영국군 글로스텨셔 부대는 140여 번의 전투 중에서 설마리 전투(임진강 전투, 1951년 4월 22일~25일)는 단순한 고지 쟁탈전이 아니라, .. 더보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고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나무가 있다?"울릉도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로 알려진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약 2,300년 전, 기원전 3세기경부터 자라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반도가 아직 고조선(古朝鮮) 시대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생존했다는 의미이다. 이 나무가 싹을 틔울 당시,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진나라(秦)가 통일을 이루었고, 로마 공화정이 지중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시기였다. 한반도에서는 고조선이 점차 세력을 잃어가고 부여와 삼한 등이 등장하기 시작한 때였다. 그런 격변의 시대 속에서 울릉도의 한 작은 나무가 싹을 틔우고,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켜왔다.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 역사울릉도 도동항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55호로 지정된 보호수로, 울릉군.. 더보기 인천공항 가이드 : 세계 최고 국제공항으로 인정받는 이유 2001 인천국제공항(Incheon International Airport)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의 공항으로, 서울에서 서쪽으로 약 48km 떨어져 있다. 2001년 개항한 이후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성장했으며, 영종도,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등 인천 앞바다의 섬들을 간척하여 건설되었다. 인천공항의 규모인천공항은 총 면적 약 5,610헥타르(56.1㎢)로, 이는 여의도의 약 19배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인천국제공항 제1·제2터미널 항공사 배정 기준은 무엇? ✈ 인천국제공항의 탄생기존의 김포국제공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이용객이 급증하면서 국제선 수용에 한계를 보였다. 또한 김포공항은 도심과 가까워 확장이 어려웠기 때문에 새로운 국제공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 더보기 우리나라 최초 극장 협률사 애관극장 어디 있나? 1895년 인천에서 탄생한 협률사(協律舍)는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으로, 근대 공연예술의 시작을 알린 상징적인 공간이다. 현재는 애관극장으로 불리며 13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최근 경영난으로 인해 보존과 활용 방안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애관극장의 탄생부터 변화 과정, 문화적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1. 협률사의 탄생과 역사적 의미협률사는 1895년 인천 경동(현 애관극장 자리)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민간 극장이다. 당시 인천은 개항 이후 외국 문물이 활발히 유입되던 도시였으며, 협률사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근대적 문화 공간이었다. ‘협률(協律)’이라는 이름은 ‘음악을 조화롭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연희 공간이 아니라 예술을 통해 문화를 발전시키겠다.. 더보기 [인천 사진 명소 ] 인천항 곡물저장소 : 세계 최대 야외벽화 (사일로 벽화) 혹시 인천항에 가본 적이 있는가? 인천항에는 원래 곡물을 보관하던 커다란 저장소가 있다. 그런데 이곳이 이제는 세계에서 가장 큰 벽화가 있는 곳으로 유명해졌다. 벽화의 크기는 무려 축구장 4개를 합친 것만큼 거대하고, 높이도 22층 아파트와 비슷한 48m나 된다. 인천항 곡물저장소는 어떤 곳일까?곡물저장소는 말 그대로 곡물을 저장하는 곳이다. 수입한 밀가루, 옥수수, 콩 같은 곡물을 보관하는 시설로 16개의 커다란 원통형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인천항 곡물저장소는 1978년에 만들어졌다. 한국은 예전부터 해외에서 곡물을 수입해서 먹었는데, 인천항이 가장 중요한 수입항 중 하나였다. 그래서 이곳에 큰 저장소를 만들어 배에서 내린 곡물을 보관하고 전국으로 배달했다. 왜 벽화를 그리게 되었을까?이 ..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