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Here

부산 광복동 광복로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화 거리는 부산의 광복동이었다. 광복동은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해방 이후에 개명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실 광복 이전에는 광복동에는 일본 사람들 마을이었다.  그래서 그런 이미지를 벗겨내기 위해 개명했다는 설이 있다.    광복동의 번화가가 광복로인데 부산 데파트 앞에서부터 패션 거리로 이어지는 상권이다. 100년전에 이곳은 '긴 거리' 라는 뜻의 장수통으로 불렸다. 이 거리 양쪽에는 각종 상점들이 줄지어 있었고 길 가운데 전차 선로가 지나갔다.  그 당시 부산 최초의 백화점 미나카이 백화점이 있었는데 2009년도 백화점이 철거된 자리에 롯데백화점 광복지점이 설치되었다. 더보기
감은사지 이야기 - 사리함에 무엇이? 경주에 가면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룬 문무왕의 릉이 바다 속에 있다. 문무왕이 죽으면서 왜구의 침략을 지키는 동해의 용이 되겠으니 대왕암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문무왕 때 불교의 영향을 받아 윤회사상을 믿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동해의 용왕이된 문무왕의 기운을 아직까지도 받기 위해 문무대왕릉 앞에 가면 무속인들의 꽹과리 소리, 굿하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윤회사상 : 이생에서 어떤 업을 쌓느냐에 따라서 다음 생이 또 열린다는 불교의 중요한 사상  신문왕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수중릉을 마련하였고 인근데 감은사를 세워 아버지의 뜻을 기렸다. 감은사지 위치, 금당터 의미 경주의 대부분의 절은 경주의 안쪽에 위치해 있으나 이곳 감은사지 터는 문무왕 근처 경주 외곽 동해바다가 바로 내려다보이는 곳.. 더보기
전남 보성 벌교 여행 : 소설 태백산맥 배경 장소들 어디? 태백산맥 문학관 예전에 벌교에가서 주먹자랑으로 하지 말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유는 과거 벌교는 조그만 갯마을이었는데 일제때 전남 송정리와 삼낭진을 연결하는 경전선 철도가 연결이 되면서 벌교는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가 되면서 많은 돈이 몰렸기 때문이다. 벌교는 아주 중요한 항구도시로 한국의 좌우 갈등과 남북 대결의 현장이자 조정래 작가의 소설 태백산맥의 주요 배경지이다. 그래서 벌교 여행할때 소설 속 공간들을 따라 여행할 수 있는 코스가 잘 발달되었다.    소설 태백산맥이란?  태백산맥이란 용어는 일본 학자에 따른 것으로 현재는 선조들의 개념 따라 '백두대간' 을 사용한다.  소설 태백산맥은 문학 평론가 48인이 뽑은 80년대 최고의 문제작 1위, 현역작가와 평론가 50인이 뽑은 한국의 최고 소설이다.  80년대 .. 더보기
벌교 보성여관 (소설 태백산맥의 배경지) 벌교 보성여관은 2008년에 복원해 숙소, 카페,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있고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제 제 132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람료 1000원이다.  소설 태백산맥 속 빨치산 토벌대가 머물던 곳 남도여관으로 나오는 곳이 바로 '보성여관' 이다.   보성여관은 1935년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의 수출입을 담당했던 사람들이 묵고 가는 여관으로 문을 열었다.    벌교읍 한구석에 위치한 일식가옥으로 보성여관은 소설 의 배경지였고 1935년 개관해 실제 여관으로 사용된 곳이다. 시민, 기업의 후원으로 복원사업을 거쳐 현재 숙박 및 다목적 문화체험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제강점시 교통의 중심지였던 벌교는 일본인들의 왕래가 많았고 보성여관은 지금의 5성급 호텔의 위상이었다고 한다. 이후에 윤보선, 김대중.. 더보기
개심사 : 곡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사찰. 개심사는 충남 서산에 위치해 있는 작은 절로 개심의 뜻은 마음을 열다라는 뜻으로 마음을 여는 절이 개심사이다.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절 중 하나이고 코끼리 모양을 닮았다는 상왕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의자왕 600년대 생긴 절로 여러 차례 불타고 부서지고 새로 짓고 한 끝에 성종 때 (1484) 그리고 그 이후 몇 차례 중수, 중창해서 현재 모습이 되었다.  당진이라는 지명은 당나라 당, 나루 진 으로 백제 때 당나라로 왕래하던 당진의 나루터가 당진포였다. 당진포를 통해 조세 물품을 실어 나르던 조운선이 당진을 지나갔다.   개심사의 가람배치는 백제스타일로 굉장히 단순하여 지대 안에 건물이 있고 필요하면 옆에다 짓고 펼쳐 나갔다.    코끼리 상자는 코끼리의 긴 코를 표현한듯 하고 산 자 획의 3개.. 더보기
성공회 강화성당 , 온수리 성당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도에는 한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 건물이 있다. 영국 코프 주교에 의해 1900년에 건립된 건물이다. 성공회란 1534년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해나간 영국 국교회로 성스럽고 공변된 교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강화도 성공회 성당은 최고의 한옥 성당이자 최고의 동서양 문화 융합의 사례이다. 목재와 샹들리에가 조화된 고풍스러운 예배당 내부이다.  성공회는 강화도에 1900년에 건축되었고 강화 성당을 근거지로 1926년 서울 성공회 성당이 건립된다.   성공회 성당은 한국의 토착문화를 받아들이려는 흔적이 있다. 1층은 장지문, 2층은 유리창으로 만들어져 있고 마당에는 불교의 보리수 나무와 유교의 상징 회화나무도 심었는데 회화나무는 2012년 태풍 볼라벤으로 쓰러졌다.    성공회 온.. 더보기
강화도 초지진, 광성보 이야기 돈대, 보, 진 돈대는 땅을 평평하게 쌓아서 성을 쌓아 만든 일종의 소대 규모의 인력이 배치되는 초소와 비슷한 곳이다. 보는 중대규모, 군사 주둔지, 진은 대대 규모 군사 주둔지이다. 그래서 하나의 보 안에도 여러 개의 돈대가 있을 수 있다. 강화도에는 5진 7보 53돈대가 설치되어 있다.   강화도는 서울의 한강이 서해로 나오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모든 세금, 공납의 배들이 한강보다 폭이 좁은 강화해협을 통해서 들어왔고 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좁은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방어기지를 설치했다. 강화도로 들어오는 입구에 위치한 김포 문수산성, 강화도쪽 초지진이 가장 중요한 곳이다.  초지진 강화도 초지진은 사적 제225호로 강화를 지키던 1차 방어기지였다. 현재는 돈대만 남아있다.   광성보 두번째로 중.. 더보기
강화도 외규장각 강화도의 또 다른 역사 유적 고려궁지가 있다. 고려 궁지안에는 조선시대 외규장각이 있는데 조선 정조 때 왕실 관련 서적을 보간할 목적으로 설치된 곳으로 특히 왕이 친히 열람하는 어람용 의궤를 보관하던 곳이다.   * 어람용 의궤어람용 의궤 표지는 특별히 비단을 사용하고 종이는 고급 초주지를 사용하였으며 해서체로 정성들여 글씨를 쓴 다음 붉은선을 둘러 왕실의 위험을 더하였다.   외규장각 복원을 추진하게 된 것은 1991년 서울대 규장각에서 프랑스 정부를 상대로 병인양요 당시 약탈된 외규장각 고문서 반환을 촉구하였고 외규장각 도서반환문제가 대두되면서 외규장각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어람용 의궤와 분상용 의궤 무엇이 다른가? (의궤의 가치)  어람용 의궤와 분상용 의궤 무엇이 다른가? (의.. 더보기
추사 김정희 별장: 백석동천 폐허가 된 별서의 정취... 백석동천은 추사 김정희의 별서로 언제 지어졌는지 알지못하지만 1930년대까지 별장으로 운영되던 곳이다. 그 후 한국 전쟁 이후 잊혀지기 시작했고 이후에 다시 청와대 경호 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이곳은 사람들에게 완전히 잊혀졌다. 그러다가 2006년 일반에게 개방되었다.  백석동천은 노무현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고 탄핵 심판 기간동안  청와대 안에만 머물러 있던 중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청와대 경호 구역을 산책하다가 이곳을 발견했다. 이때 문화재청장을 불러 이곳을 조사하게 했고 알고보니 추사 김정희의 별서로 밝혀진 것이다. 더보기
흥선대원군 별서 석파정 흥선대원군의 호는 석파로 돌석, 언덕 파 돌 언덕이라 는 뜻의 석파정은 흥선대원군의 별장 (=별서)으로 수려한 자연 경관 속에서 그림을 가까이 했던 곳이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흥선대원군 난초 그림의 스승으로 흥선대원군이 되기 전에 그림을 좋아하던 이하응이 추사에게 난초를 배웠다.   원래 석파정의 주인은 철종때 세도가 안동김씨 김흥근이었다.  그런데 흥선대원군이 이 집 빼어난 풍광에 마음에 쏙 든 것이다. 그래서 흥선대원군은 자신의 아들 고종을 여기서 하룻밤 자고 가게 했다. 당시 조선은 왕이 머문 곳은 성역이라고 해서 국가에 헌납하도록 한 것이다.     원래 석파정은 정자의 이름인데 석파정은 중국식으로 지어진 것이 특징으로 들어가는 길이 휘어져있고 정자도 입식인 것이 특징이다. 그때 당시 현대식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