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계천을 걷다 보면, 갑자기 수백 명의 인물이 행렬을 이루는 장대한 벽화가 눈앞에 펼쳐진다.
이 벽화는 조선의 국왕 **정조대왕(正祖大王, King Jeongjo)**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참배하기 위해 한강을 건너 수원으로 향하던 길을 기록한 **정조대왕 능행반차도(陵幸班次圖, Royal Parade Painting)**다.
예술성과 기록성이 뛰어난 이 작품은 현재 청계천에 세계 최대 규모의 **도자벽화(Ceramic Tile Mural)**로 재현되어 있어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도 인기 있는 문화 명소다.
📜 정조대왕 능행반차도의 역사적 배경
청계천에 있는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는 조선 제22대 왕인 정조가 1795년(을묘년)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지금의 융릉)을 참배하기 위해 수원 화성으로 행차했던 모습을 그린 기록화이다.
청계천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의 특징과 의미
- 세계 최대 규모의 도자 벽화: 청계천 광교와 삼일교 사이에 있는 장통교를 중심으로 설치된 이 벽화는 총 길이 186m, 높이 2.4m에 달하는 도자 벽화로, 세계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30cm x 30cm 크기의 백자 도판 4,960매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완성한 작품이다.
- 역사적 기록화: 이 그림은 당시 행차에 참여한 1,779명의 인원과 779필의 말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김홍도 등 당대 최고의 화가들이 참여하여 왕조의 위엄과 질서를 장엄하게 표현하면서도, 낙천적이고 자유분방한 인물 묘사가 돋보인다. 이 반차도는 당시 왕실 행차의 격식, 복식, 의상, 악대 구성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자 조선시대 기록 문화의 보고이다.
- 정조의 효심과 애민 정신: 정조대왕의 능행차는 단순히 왕실의 위엄을 과시하는 행사가 아니었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지극한 효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행차 도중 백성들의 고충을 직접 듣고 소통하려 했던 정조의 애민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행사였다. 그림 속에서 정조는 자신의 가마 대신 어머니의 가마를 바짝 뒤따라가는 모습으로 효심을 표현했다고 전해진다.
- 청계천 복원의 문화적 상징: 2005년 청계천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된 이 도자 벽화는 청계천이 단순한 환경·생태 복원을 넘어,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되살리는 의미를 더하는 상징적인 작품이다.
청계천의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 덕분에 조선시대의 격식, 복식, 의상, 악대 등의 모습등을 시민들에게 조선시대 왕실 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화성원행도와 반차도로 알아보는 정조의 수원 화성행궁 회갑연 기록들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7회] 오늘의 탐사지: 수원화성 주제: 정조의 효심, 정조의 8일간의 행차 출연자: 설민석, 구구단 김세정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가는 8일간의 여정 1795년
jangane.tistory.com
수선전도
수선전도는 조선 시대의 수도인 한성부, 즉 지금의 서울을 그린 아주 중요한 역사 지도입니다. '수선'이라는 말은 '으뜸가는 선을 건설한다'는 뜻으로, 서울이 조선의 중심이자 가장 중요한 도시였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주요 특징과 중요성:
- 제작 시기 및 제작자: 1820년대에서 1840년대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의 유명한 지리학자 김정호가 만들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의 대표작인 '대동여지도'나 '청구도'에 포함된 한성부 지도와 표현 방식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 정확성과 세밀함: 이 지도는 놀라울 정도로 정밀하게 그려져 있다. 도성 안팎의 주요 시설물들이 아주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 주요 건축물: 경복궁, 창덕궁 같은 궁궐과 관청, 다리, 그리고 주요 명소들이 정확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 교통망: 도로는 한 줄 선으로, 하천은 두 줄 선으로 그려져 있으며, 중요한 하천은 푸른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이는 당시 서울에서 물길이 교통과 생활에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보여준다.
- 지형: 서울을 둘러싼 북악산 등의 산들은 동양화처럼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다.
- 마을과 사찰: 도성 밖의 작은 마을이나 사찰까지도 포함되어 있어서 당시 한양과 그 주변 지역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역사적 가치: 수선전도는 당시 서울의 도시 계획, 사람들의 생활 방식, 그리고 조선 시대 지리 지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여러 판본이 존재하는데, 보물로 지정된 목판본과 필사본 등이 남아 있다. 특히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목판은 당시 인쇄 기술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연세대학교 박물관에는 한자 지명을 한글로 표기한 필사본도 있어서 언어학적으로도 가치가 크다.
- 문화적 가치: 지리적 정확성 외에도 수선전도는 목판 인쇄본으로서 예술적 가치도 높게 평가된다. 이는 조선 시대의 뛰어난 지도 제작 및 인쇄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수선전도는 단순히 옛 서울 지도가 아니다.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엿보고, 그 시대의 뛰어난 과학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Korean History > @ He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산 성곽 도보 투어 ( 한양도성 = 서울성곽 ) (0) | 2025.07.28 |
---|---|
창경궁 후원 춘당지 (0) | 2025.07.27 |
송파구 지명 유래 - 방이동과 오금동 (0) | 2025.07.26 |
송파구 도서관 인조 서흔남 동상은 무엇? (0) | 2025.07.22 |
명동성당 역사 (0)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