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계천 위 다리에서 시작된 서울의 산업·문화 이야기
서울 종로와 을지로 사이, 청계천을 가로지르는 **세운교(世運橋)**에 서면 특별한 풍경이 펼쳐진다.
바로 옆에는 1968년 준공된 서울의 첫 현대식 주상복합 건물, **세운상가(世運商街, Sewoon Arcade)**가 우뚝 서 있다.
한때 한국 전자산업의 메카로 불렸던 이곳은 지금은 레트로 감성의 핫플레이스로 재조명되고 있다.
🌉 세운교 – 청계천과 세운상가를 잇는 다리
세운교는 청계천 위에 놓인 다리 중 하나로, 세운상가와 직접 연결돼 있다.
- 위치: 종로3가와 을지로 사이 청계천 구간
- 기능: 세운상가 단지와 남북 도로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
- 역사: 원래 이 자리에는 조선 시대 '효경교(孝經橋)'라는 다리가 있었다. 1958년 청계천이 복개되면서 사라졌다가, 2000년대 초반 청계천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다리가 놓이면서 인근 세운상가의 이름을 따 '세운교'가 되었다. 2005년에 완공되었다.
- 세운상가와의 연결: 세운교 위에는 세운상가 건물과 청계상가를 잇는 육교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육교는 '다시·세운 프로젝트'를 통해 재건 및 연결되어 세운상가 건물군 전체를 입체적인 보행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특징: 세운교 위 육교는 주변의 세운상가에 조명 가게가 많다는 특징을 살려, 밤이 되면 LED 조명이 아름다운 야경을 연출하는 피라미드 형태의 조명탑이 과거에는 있었다. 현재는 육교가 재건되면서 이 탑은 철거되었다.
세운상가: 과거의 야망과 현재의 재생
세운상가는 서울 종로구 종묘 앞부터 퇴계로까지 약 1km에 걸쳐 이어진 대규모 주상복합 상가군이다.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건축물이자 도시 개발의 상징이다.
- 탄생 배경과 이름의 의미 (1960년대):
- 1960년대 서울은 한국전쟁 이후 무허가 판자촌과 슬럼화된 지역이 많았다. 특히 종묘 앞부터 충무로까지 이어지는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 말 화재 방지를 위해 비워둔 '소개공지대'였고, 해방 후 피난민들의 판자촌이 밀집해 있었다.
- 박정희 정부와 당시 김현옥 서울시장은 이 지역을 정비하여 새로운 도심을 만들고자 했다. 건축가 김수근의 설계를 바탕으로 1966년 착공하여 1968년에 완공되었다.
- '세운(世運)'이라는 이름은 '세계의 기운이 이곳으로 모인다'는 염원을 담고 있었다. 당시로서는 국내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로, 최첨단 기술과 건축 미학을 자랑하며 서울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 전자 산업의 메카 (1970~1980년대):
- 세운상가는 초고층 아파트와 함께 다양한 상업 시설을 갖추었지만, 특히 전자 산업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다. 라디오, TV, 오디오 등 가전제품의 조립, 수리, 유통이 활발했으며, 198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주변기기, 심지어 게임기까지 제작되는 '메이커 시티(Maker City)'의 역할을 했다.
- "세운상가에서는 탱크와 잠수함도 만들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이곳 기술자들의 능력은 대단했다고 전해진다. 삼성, LG 같은 대기업들도 세운상가에서 기술을 배우고 부품을 조달하며 성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쇠퇴와 재개발 논의 (1990년대 이후):
- 1987년 용산전자상가가 조성되면서 많은 전자 상인들이 이전했고,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유통 구조가 변화하면서 세운상가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낡고 노후화된 건물은 흉물로 인식되기도 했다.
- 2000년대 이후에는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새로운 고층 건물을 짓는 재개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도 했다.
- '다시·세운 프로젝트'와 도시 재생 (2010년대 이후):
- 박원순 서울시장 재임 시절, 전면 철거 대신 도시 재생 방식으로 세운상가의 역사적 가치와 기존 산업 생태계를 보존하고 활성화하려는 '다시·세운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 낡은 건물들을 리모델링하고, 보행 데크를 연결하여 공중 보행로를 복원했다. 청년 창업가, 예술가, 기존 기술 장인들이 협업하는 공간을 만들며 '도심 제조업의 혁신 거점'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지금도 3D 프린팅, 로봇 제작 등 다양한 메이커 활동이 이루어진다.
반응형
'Korean History > @ He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인제 가옥 이야기 (0) | 2025.08.12 |
---|---|
이태원의 독특한 역사 (0) | 2025.07.30 |
청계천 정조대왕 능행반차도의 특별함은 무엇? (수선전도) (1) | 2025.07.29 |
낙산 성곽 도보 투어 ( 한양도성 = 서울성곽 ) (0) | 2025.07.28 |
창경궁 후원 춘당지 (0)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