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이킹 문화와 잉글랜드 왕국의 탄생 141 -2 [이전글] 바이킹 어원 및 강인한 이유는 무엇? 바이킹의 약탈품 중 가장 큰 이득을 줬던 것은 노예 거래였다. 초기 주로 수도원을 약탈하며 수도사와 여자를 약탈했고 약탈한 보물과 노예로 큰 이득을 얻게 되면서 9세기경 유럽을 침략하는 바이킹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바이킹이 유럽의 약탈자에서 한 나라의 정복자가 된 결정적인 사건이다. 전설의 바이킹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건의 시발점은 전설의 바이킹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에서 시작된다. 그는 바이킹이자 강력한 왕으로 북유럽에서 전해진다. 라그나르 전설에 따르면 북유럽 최고 신 오딘의 직계 후손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바이킹 역사상 가장 많은 보물을 가진 왕이라는 전설이 있다. 노섬브리아 왕국 라그나르가 눈독을 들인 지역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가까운 섬인.. 더보기 북유럽 신화의 주인공들 : 오딘, 토르 , 로키 북유럽 신화는 수많은 게임, 영화, 판타지 소설 등에서 사용되고 있어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특히 북유럽 신화를 모티브로 삼은 대표작 이 있다. 소설 작가 J.R.R 톨킨이 북유럽 신화를 모티브로 소설을 썼다. 북유럽 신화의 요정들이 바로 엘프이다. 신들의 무기 담당으로 뛰어난 대장장이였던 난장이 드워프도 있다. 특히 마블 영화에 등장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영화 속에서는 오딘이 아버지, 토르가 형, 로키가 동생인 가족으로 나오지만 사실 북유럽 신화에서 이들은 가족이 아니라 개별적인 신으로 존재한다. 전쟁의 신 오딘 이 중 바이킹 전사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은 오딘이었다. 오딘은 북유럽 신화 속 최고의 신이자 전쟁의 신으로 전쟁터에서 전사들을 승리로 이끄는 수호신으로 알려져있다. 그는 .. 더보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이집트 전시관에는 무엇이?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는 박물관 외관에도 피라미드 모습을 볼수 있듯이 루브르 박물관에 가장 많은 전시물이 이집트 유물로 이집트관은 20여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구부터 이집트 그 자체인 대스핑크스상이 전시관을 지키고 있다. 입구를 지나오면 고대 이집트인들이 사용하던 생활용품도 볼수 있다. * 도굴된 이집트 유물 : 루브르 박물관 속 람세스 2세 석상 및 파라오 어떻게 가져왔나? 도굴된 이집트 유물 : 루브르 박물관 속 람세스 2세 석상 및 파라오 어떻게 가져왔나?139-2 영국의 지오반니 벨조니는 이집트 유물 도굴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지오반니 벨조니는 이즙트로 건너와 기계를 만들어 팔던 인물로 1816년 룩소르 인근에서 석상 하나를 발견한다. 람세스 2jangane.tistory.com 더보기 * 사냥이 불러운 인간의 진화 : 인간을 생존하게 만든 특성은 무엇?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선행조건은 직립보행을 들 수있다. 약 600만 년 전 인간과 침팬지가 분리되면서 인간은 직립보행을 시작했다. 그리고 250만 년전 인간은 사냥을 시작한다. 사냥은 인간을 그 전과 완전히 다른 종으로 진화시킨 사건이다. 그 이전에 인간은 채식을 했다. 이 사냥으로 인해 달라진 인간의 특징으로 두뇌 크기가 커진 것이다. 뇌는 상당히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 우리 몸에서 뇌의 무게는 단지 2% 지만 전체 에너지의 약 20%를 사용한다. 육식을 통한 다양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하고 사냥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칼로리 공급이 필요해졌다. 호모 에렉투스에 들어서면서 변화무쌍한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 상승하고 서로 대처법을 모방하면서 생존율도 증가했다. 인류가 사냥을 시작한 이유 채식.. 더보기 장례문화 사후세계 추모 언제부터 ? 사후 세계를 추모하기 시작한 것은 약 1만 5천~2만년 전의 이야기이다. 이집트인들은 사후 세계의 평안을 기원하며 무덤에 부장품을 묻기 시작했다. 장례문화는 인류 진화 후반기에 발생했다. 한국 귀신은 왜 항상 여성인가? 공동묘지, 제사 유래 한국의 귀신은 왜 항상 여성인가? 우리가 알고 있는 귀신 이야기의 원형은 고려를 쳐들어온 홍건적, 왜구의 침입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었기 때문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도망 다니거나 jangane.tistory.com 더보기 바이킹의 땅 노르웨이 트론헤임 천혜의 자연이 숨 쉬는 노르웨이 그 중 바이킹의 역사와 전설을 간직한 도시로 바이킹 시대 8~11세말 노르웨이의 옛 수도 트론헤임은 997년경 바이킹에 의해 무역거점으로 건설된 도시이다. 트론헤임 광장에는 바이킹 왕 올라프 트뤼그바손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는 995년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재위 바이킹들을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지시하고 997년 트론헤임을 설립했다. 트론헤임에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나다로스 성당이 있다. 성인으로 추앙받는 국왕 올라프 2세의 무덤 위에 지어진 성당으로 노르웨이 국왕의 대관식이 열리는 곳이다. 나다로스 성당은 수백 년에 걸쳐 건축되어 여러 건축 양식을 함꼐 볼수 있으며 외벽에는 성서 인물을 비롯해 노르웨이 왕, 주교상이 조각되어 있다. 성당 안에는 거대한 파이프 오르.. 더보기 무신정권 최강자 최충헌 권력 유지 비결 (역사저널 444) 고려 무신정권기 왕은 허수아비에 불과했다. 그러나 무신들은 정치 운용보다 권력의 주인이 되기 위한 세력다툼을 멈추지 않았다. 이에 민심은 추락하고 전국에서 민란이 발생한다. 이 난세를 13년 동안 1인자였던 이의민을 처단하고 최충헌이 권좌에 오른다. 최충헌은 60년 최씨 정권의 포문을 열고 무신 정권 최강자로 등극한다. 무신정권 100년 간략요약 무신정권은 100년 동안 지속된다. 권력을 가장 먼저 잡은 이는 이의방이었다. 이의방에 의해 명종이 왕좌에 오르지만 이의방은 4년간 지속되고 정중부가 정권을 잡는다. 그 또한 5년간 지속하다가 경대승에게 넘어가고 4년뒤 경대승이 사망하자 이의민이 새롭게 권좌를 잡고 13년간 정권을 유지했다. 이후 최충헌이 권력을 잡게 되고 새롭게 왕을 교체한다. 23년동안 최충.. 더보기 대영 박물관 이집트 전시관 로제타석에는 무엇이 기록되어있나? 139 -4 고대 이집트 유물이 유럽의 무분별한 도굴과 외교 수단으로 이용되어 엄청난 양의 유물이 이집트로부터 빠져나갔는데 이런 것들이 대영박물관과 루브르 박물관의 이집트 전시관을 채우게 된다. 1층 전시실 대영박물관은 1층과 2층에 걸쳐 이집트 유물을 전시되어 있다. 1층 전시실에는 거대한 유물이 가득하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석상과 다양한 파라오들의 석상을 볼수 있다. 로제타석 그 중에 가장 유명한 이집트 유물을 로제타석이다. 1799년 나폴레옹의 원정군에 의해 발굴되었으나 영국의 전리품이 되어 대영박물관에 소장된 거대한 석비에 새겨진 문서이다. 로제타석은 세 가지 서로다른 문자로 적혀있다. 이 비석에서 24명의 파라오 이름이 밝혀지게 된다. 로제타석에 의해 고대 이집트 문자의 뜻을.. 더보기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