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랑스 아르덴 어떤 곳? 아르덴은 벨기에, 룩셈부르크 3국에 걸쳐있는 산악지역이다. 울창한 숲을 자랑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생태계를 이루는 곳이다. 아르덴은 험준하기로 소문이 나있던 곳이고 히틀러가 프랑스를 공격하기 위해 선택한 곳이 바로 아르덴이다. 아르덴 숲은 8, 9세기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부터 제 1차, 2차 세계대전 당시 이곳을 차지하기 위한 유럽의 격전지였다. 이곳을 지나가야하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프랑스 공격의 시발점 아르덴 아르덴은 험준하기로 악명높은 산악시대로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있어 당시 병력이 이동할 장소로 접합하지 않았던 장소였다. 그래서 프랑스는 나치 독일군이 아르덴으로 침공할 것이라 예상하지 못했다. 아르덴에서 빠질수 없는 투어가 삼페인 하우스 투어.. 더보기 조선시대 형벌 종류 및 무슨 죄를 지으면 ... ※ 조선시대는 중국 명나라의 대명률을 따라 다섯가지 형으로 나뉘었다. "곤장으로 맞는 건 영화 속 이야기 아냐?""유배는 그냥 시골살이 정도 아냐?"하지만 조선시대 형벌은 생각보다 훨씬 현실적이고 무서웠다. 왜 이런 형벌이 생겼고, 어떤 원리로 운영됐을까? 단순한 처벌이 아니라 통치 수단이자 사회 질서 유지의 장치였다. 알고 보면 흥미롭고, 오늘날 형벌 제도와 비교해도 재미있는 포인트가 많다. 📌 1. 태형 (笞刑, flogging)→ 가장 가벼운 형벌, 흔히 말하는 곤장 맞기뜻: 형틀에 묶은 죄인의 엉덩이를 곤장(막대기)으로 때리는 형벌기원: 중국에서 유래되었고, 조선에서는 경범죄자에게 적용되었다형량: 보통 10~100대이며 초범이면 감형도 가능했다목적: 공개 처벌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본보기를 보여.. 더보기 아랍의 봄 : 원인 , 각국의 전개 상황, 결과 아랍의 봄이란 2010년 말부터 2012년 초까지 중동과 북프리카 전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그리고 무장 반란을 일컫는 용어이다. 아랍의 봄 원인아랍의 봄을 촉발하게 했던 아랍의 나라에는 몇 가지 공통된 주제가 있었다. -경제적 어려움: 높은 실업률, 특히 청년 실업률과 경제적 불평등이 주요 원동력-부패: 만연한 부패와 투명성 부족이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정치적 억압: 대부분의 정권이 수십 년 동안 통치하면서 정치적 반대나 표현의 자유가 거의 없었다.-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플랫폼은 시위를 조직하고 정보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튀니지 재스민 혁명 아랍의 봄 촉발하다.아랍의 봄은 2010년대 초반에 아랍 세계에서 일어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더보기 재벌의 시작 어제부터? 왜? 재벌 형성 배경 한국전쟁 직후 우리나라는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원조 또한 50년 후반에 끊어지게 되면서 우리나라는 1960~1970년 자본, 자원이 부족했던 시기로 정부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세워 산업화를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재벌의 기초가 형성된다. 소수의 기업을 선발해서 집중 지원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박정희 정부는 "재벌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는 인식을 계속적으로 주입시켰고 그로 인해 소수의 기업은 정부의 주도아래 빠르게 성장하게 된다. 이 시기에 성장한 대표적인 재벌이 삼성, 현대, LG (당시 락희 화학), SK(당시 선경) 등이 있다. 재벌의 시작 정부는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을 위해 대기업에 저금리의 대출을 제공하고 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부여했다.. 더보기 튀니지 재스민 혁명 아랍의 봄 촉발하다. 아랍의 봄은 2010년대 초반에 아랍 세계에서 일어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무장 반란을 의미한다. 아랍의 봄을 촉발한 사건은 튀니지에서 시작된다. 재스민 혁명 배경튀니지 혁명을 재스민 혁명이라고 부르는데 튀니지의 나라 국화가 재스민이 때문에 재스민 혁명이라고 부른다. 재스민 혁명이 일어나기 전 튀니지는 사회, 경제적으로 문제가 많았다. 높은 실업률,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높은 실업률은 심각한 문제였다. 많은 청년들이 교육을 받았으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고 이는 큰 불만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정부의 부패와 권위주의적 통치, 표현의 자유 및 정치적 자유가 없었던 독재 체제였기 때문에 대중의 불만은 쌓여가고 있었다. 촉발 사건 2010년 12월 17일 튀니지 국민을 분노케 한 한 사건이 발.. 더보기 민주주의란 무엇? (기원, 민주주의 반대말 ) 민주주의 기원 민주주의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 아테네였다. 기원전 5세기 도시국가 아테네에서 민주주의가 출현했다. 이때 DEMOS(민중)+KRATIA(권력) 그래서 민주주의 의미 Democracy 는 민중 권력이라는 뜻이다. 그전에 왕, 귀족들이 통치하던 것을 평민들이 들고 일어나서 그들의 권력을 무너뜨리고 모두가 참여(노예, 외국인, 여자는 제외: 당시 아테네 여자는 일종의 재산) 하여 민주주의를 만들었다. 당시 순수 아테네 시민 성인 남자 중 10개의 행정구역에서 50명씩 추첨 500명의 시민 대표를 구성하여 전쟁 선포, 인사임명, 범죄 재판 등을 500명이 투표로 국가의 대소사를 결정했다. 그래서 아테네 민주주의는 현재 민주주의와 다르다. 최초의 민주주의는 이념체제가 아닌 아테네의 특수 정치체제라고.. 더보기 민주주의 가장 잘못된 사례 : 소크라테스 사형 사건 민주주의는 대의제든 직접민주제든 중우정치로 흐를수 있다. 민주주의는 개인들이 충분히 토론하고 정보를 공유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둔 제도이지만 늘 그런 건 아니다. 다수의 지배는 언제나 다수가 잘못된 판단을 내릴 가능성을 포함한다. 중우정치란 감정에 휩쓸리거나 거짓에 선동되거나 헛된 꿈에 빠져서 언제나 어리석은 다수가 잘못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을 내포한다. 민주적 결정이 잘못된 경우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소크라테스 사형결정이었다. 소크라테스는 신을 부정하고 젊은 이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500명의 시민 대표로 구성된 사형 재판에 서게 되었고 1차 투표에선 30표차의 근소한 차이로 사형이 판결되었고 작은 표 차이로 인해 2차 투표를 실시한 후 더 큰 .. 더보기 스승의 날 유래 / 카네이션을 주는 이유 스승의 날은 매년 5월 15일은 교권을 존중하고 스승을 공경하는 사회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를 높이고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제정한 국가기념일이다. 스승은 단순한 지식을 가르치는 사람을 넘어 삶의 지혜를 가르치는 진정한 선생님을 가리키는 말이다. 세계의 스승의 날 미국의 스승의 날은 한 교사의 청원으로 논의가 시작되어 5월 첫째 주 화요일로 정해졌으나 주마다 스승의 날이 다르고 '스승의 주' 를 정해서 한 주를 기념하는데 과거 사과나 감자 등으로 수업료를 대신 했던 전통에서 유래하여 선생님께 사과를 선물하기도 한다. 중국은 새 학기가 시작되는 9월 10일을 교사절로 지정하고 있고, 일본은 유네스코가 정한 10월 5일을 세계 교사의 날로 지정하여 알리려고 노력 중이다. 북한 또한 이와 비슷.. 더보기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