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한국 지폐 속 위인 4 세종대왕 한국 화폐 속 세종대왕 이야기여러분,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불리는 세종대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는 오늘날 10,000원권 지폐의 주인공이자, 한국의 문화와 과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다. 화폐 속 세종대왕: 한국의 대표 모델세종대왕은 1960년 8월 15일 발행된 개천절 기념 지폐에 처음 등장한 이후, 오늘날 10,000원권에 이르기까지 60여 년간 다양한 권종에 사용된 한국 화폐의 대표 모델이다. 이는 그가 얼마나 많은 국민에게 존경받는 인물인지를 보여주는 증거이다.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세종대왕의 업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한글, 즉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이다. 백성들이 쉽게 글을 배우고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든 이 문자는 오늘날까지 한국인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 더보기
광화문 광장 투어 ( 이순신 장군 ) 1 이순신 장군 동상과 광화문 광장이순신 장군 동상은 50년 넘게 광화문 광장을 지키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이다. 1968년 4월에 건립된 높이 17m의 청동 동상은 광화문 사거리에 당당하게 서 있다. 당시 풍수지리학자들은 세종로와 태평로가 뻥 뚫려 있어 남쪽으로부터 일본의 기운이 너무 강하게 들어온다고 보았다. 이를 막기 위해 일본이 가장 무서워할 인물인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상 아래에는 거북선 모형과 북, 전진하는 전함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거북선 (귀선)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은 1592년 사천해전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귀선이다. 이는 조선 수군의 주력선인 판옥선에 칼과 송곳을 꽂아 일본 수군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개량한 것이었다.. 더보기
한일병합조약 = 경술국치 내용은 무엇? 한일병합조약(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은 1910년 8월 22일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일본에 넘기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조약으로 인해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고, 이듬해 10월 1일부터 신설된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받게 된 것이다. 이완용이 경술국치 기념해 축배를 들던 장소 통감관저터통감관저 터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 나라가 망한 날을 기념하여 매국노 이완용이 축배를 들었던 장소가 있다. 위치: 일본 공사관 있는 곳 (서울 중구 예장동) 경술국치 1주일 전 창덕궁의 대조전jangane.tistory.com 주요 내용대한제국의 통치권 양여: 대한제국의 황제가 대한제국의 모든 통치권을 일.. 더보기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불 어디에? (전깃불 역사 ) “밤이 낮처럼 밝아졌다”1887년, 경복궁 깊숙한 **건천궁(Geoncheonggung)**에서 조선 최초로 전기불이 켜졌다.이 불빛은 단순한 조명이 아니라 조선을 근대화로 이끈 상징적인 첫걸음이었다 🌊 연못에서 전기를 만들다경복궁 건천궁에는 연못이 있었다.고종은 이 연못에 물을 끌어올려 수력(水力, Hydropower)으로 전기를 생산했다.서양인 기술자가 설치한 발전기로 켜진 불빛에 조선 사람들은 말 그대로 놀랐다.당시 상궁의 기록이다.“기계가 움직여 물이 끓는 소리와 함께 궁궐이 대낮같이 환해졌다. 모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 별명으로 증명된 인기조선 사람들은 처음 보는 전기불에 별명까지 붙였다.물불(水火, Water Light) : 물에서 불이 나오니까건달불(建達火, Wandering L.. 더보기
중전이 되기 전 세자빈 간택 과정은? 맨 처음 전국에 금혼령을 내린다.양반 가문 12~13세 처자들의 혼인을 금한다. 그 후 3차례 시험을 본다. 면접 전 관상 심사가 있다. 관상을 통과하면 밥 먹기 면접 심사가 있다. 밥 먹기 시험의 모범 답안은 백성들의 피 땀 눈물이 담겨있는 밥과 반찬들이나 그 정성을 생각해 싹싹 다 먹는 것이 정답이다. 이렇게 과정이 까다롭고 여러 시험을 거쳐 간택되는 세자빈이지만 중전까지 다이렉트로 갈 수 있는 방법도 있다. What is the course of Sejabin before the heavy war? 더보기
삼순이 계단의 비밀 : 인왕산 국사당 (조선 무속신앙 이야기) 1️⃣ 한국 무속신앙의 기원 한국 무속신앙은 고조선의 단군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대에는 정치와 종교가 하나였고, 왕이 제사장이기도 하였다.‘단군’은 제사장을, ‘왕검’은 군장을 의미하였다.이것은 권력과 종교가 일치한 제정일치 사회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신라시대 2대 왕의 이름은 차차웅인데 차차웅의 뜻은 무당이라는 의미로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모셨기때문에 두렵고 높은 존재로 인식되었던 시기이다. 왕실에서는 무속신앙을 국가적인 행사로 동원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국사당이다. 2️⃣ 조선과 무속신앙 조선은 성리학 국가였으나, 무속을 완전히 배척하지 않았다.중요한 국가 행사에는 무속의식을 적극 활용하였다.대표적인 예로기우제 : 비가 오길 기도하는 제사기청제: 날씨가 맑아지길 바라는 제사재앙 방지제.. 더보기
효종 딸바보였다. 숙명공주와의 애틋한 편지.. “조선시대에도 딸바보 아버지가 있었다?”왕이라는 무게보다 딸을 먼저 생각했던 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 Hyojong).그의 셋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Princess Sukmyeong)**와 나눈 애틋한 편지 한 장에는, 권력을 뛰어넘는 가족애가 담겨 있었다.💖 효종과 숙명공주 — 왕이자 아버지의 사랑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 Hyojong)**은 인선왕후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셋째 딸인 **숙명공주(淑明公主, Princess Sukmyeong)**에게 유난히 깊은 애정을 쏟았다.딸을 특별히 아꼈던 효종은 숙명공주가 혼인할 때, 평범한 왕족의 혼인으로는 이례적으로 궁궐 못지않은 크기의 대궐 같은 신혼집을 따로 마련해 주었다. 이는 단순한 혼사 준비를 넘어, 아버지로.. 더보기
경혜공주, 단종의 누이에서 노비가 된 비운의 공주 이야기 “왕의 딸은 모두 행복했을까?”경복궁 뒤편 고즈넉한 북촌 한옥마을. 그곳에는 궁궐보다 아름다운 집이 있었다. 그러나 그 집에서 벌어진 일은 조선 최고의 비극 중 하나였다. 단종의 친누이, 경혜공주의 인생은 부귀영화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녀는 ‘공주에서 노비로’, 그리고 다시 ‘비구니’가 된 여인이었다. 🏯 공주의 시작, 문종의 사랑과 북촌의 신혼집경혜공주는 조선 제5대 왕 **문종(文宗, King Munjong 1450~1452)**과 권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문종의 어머니(현덕왕후 권씨)와 경혜공주도 함께 경복궁 자선당에서 살았다. 문종의 어머니 권씨가 아들을 낳았는데 경혜공주의 남동생이자 조선 6대왕 단종이었다. 그러나 아들을 낳자마자 세상을 떠난 어머니였고 불운을 피하기 위해 6살의.. 더보기
서울 진공작전: 13도 창의군이 꿈꾼 수도 탈환 작전 1907년, 항일 독립운동이 뜨겁게 타오르던 시절.이중에서도 조선의 수도 서울(京城, Gyeongseong) 탈환을 목표로 한 대담한 계획이 있었다.바로 **13도 창의군(十三道倡義軍)**이 구상한 **서울 진공작전(Invasion of Seoul)**이다.이 작전은 단순한 봉기나 시위가 아닌, 국가 수복의 상징적인 돌파선이었다. 🧭 13도 창의군과 그 전략적 의의13도 창의군은 을미사변 이후 전국의 의병 세력을 통합한 조직이다.이들은 지역별로 흩어져 있던 의병대를 한데 모아공동 작전 수행이 가능한 군사 집단으로 진화시켰다.이 중 군사장(軍師長, chief military strategist) 허위의 주도로,“수도 서울 탈환”이라는 정치적 메시지와 군사적 상징성을 갖춘 전략이 구체화됐다. 📌 전략 요.. 더보기
조선 궁녀의 모든 것: 탄생부터 말년까지의 삶 화려한 궁궐 뒤편, 조선의 권력과 일상이 교차하던 그곳엔 ‘궁녀(宮女, court lady)’가 있었다.그녀들은 단순한 시중꾼이 아닌, 궁궐의 질서와 정치, 그리고 비밀을 함께 짊어진 존재였다.어린 나이에 입궁해 평생 궁을 떠날 수 없었던 궁녀들.그들의 삶은 어떤 방식으로 시작되고, 어떻게 끝났을까? 🧾 궁녀의 정식 명칭과 역할궁녀는 공식 명칭으로 **궁중 여관(宮中女官, court female official)**이라고 불렸다.이는 단순한 하녀가 아닌, 궁궐 내에서 정식 업무를 맡은 여성 관원(官員, official)이라는 의미다.상궁(尙宮, senior court lady)부터 무수리(無垂, maid), 수라상차리는 이들까지 모두 포함한다. 📜 궁녀의 역사와 기원궁녀의 기원은 기원전 17세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