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광무개혁 : 대한제국의 마지막 개혁 🔥 고종, 대한제국을 선포하다1897년, 조선은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일본에 패배하면서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고, 일본과 러시아가 조선을 두고 대립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파천, 1896)했다가 돌아와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국가의 근대화를 목표로 추진한 것이 바로 ‘광무개혁(光武改革)’**이다.   광무개혁은 일본·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고 대한제국을 독립된 근대 국가로 만들기 위한 개혁이었지만, 결국 일본의 방해와 내부 한계로 인해 완전히 자리 잡지 못했다. 🔥 광무개혁의 주요 내용📌 1. 정치 개혁 – 황제 중심의 국가 운영✔ 대한제국 선포(1897) → 조선.. 더보기
거문도 사건 (1885~1887): 영국, 조선을 무단 점령하다! "영국이 한국 땅을 점령한 적이 있다?"1885년, 조선 남해안에 있는 거문도(巨文島)가 영국에 의해 무려 2년 동안 불법 점령되었다.이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조선이 국제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얼마나 위태로운 상황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그렇다면, 영국은 왜 갑자기 거문도를 점령했을까? 그리고 조선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했을까? 1. 거문도 사건이 일어난 배경유럽부터 아시아까지 넓게 펼쳐진 러시아는 당시 전 세계 식민지를 갖고 있던 영국과 라이벌 관계였다. 영국은 러시아가 한반도를 진출한다면 한반도를 거점 삼아 중국과 일본까지 점령하면 동아시아가 러시아 것이 될 것을 우려한다. 이에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영국이 불법으로 거문도를 점령한다. 열강들의 전쟁터가 되어 가는 한반도였다... 더보기
색즉시공 공즉시색 뜻 쉽게 이해하기 이 문장은 불교의 핵심 철학을 담고 있는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가장 유명한 구절이다.쉽게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1. 문자 그대로의 뜻색즉시공(色卽是空) → "형체(物質)란 곧 공(空)이다."공즉시색(空卽是色) → "공(空)이 곧 형체(物質)이다."✔️단순한 뜻👉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은 결국 텅 비어 있다."👉 "텅 비어 있는 것도 결국 우리 눈에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즉, 세상 모든 것은 변하고, 영원한 것은 없다. 2. 색(色)과 공(空)이란?색(色) =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모든 것예: 사람, 돈, 집, 감정, 생각, 물건 등공(空) = 변하지 않는 것이 없는 텅 빈 상태예: 사람도 늙고, 돈도 사라지고, 감정도 변한다는 사실👉 결국, 우리가 집착하는 모든 것은 변.. 더보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고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나무가 있다?"울릉도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로 알려진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약 2,300년 전, 기원전 3세기경부터 자라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반도가 아직 고조선(古朝鮮) 시대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생존했다는 의미이다. 이 나무가 싹을 틔울 당시,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진나라(秦)가 통일을 이루었고, 로마 공화정이 지중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시기였다. 한반도에서는 고조선이 점차 세력을 잃어가고 부여와 삼한 등이 등장하기 시작한 때였다. 그런 격변의 시대 속에서 울릉도의 한 작은 나무가 싹을 틔우고,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켜왔다.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 역사울릉도 도동항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55호로 지정된 보호수로, 울릉군.. 더보기
당산나무 서낭나무 이야기 예로부터 한국의 마을에서는 커다란 나무 한 그루를 신성한 존재로 여겨왔다. 마을 입구나 중심에 자리한 당산나무, 길목이나 산길에서 보호신 역할을 하는 서낭나무가 그것이다. 이 나무들은 단순한 나무가 아니라, 마을을 보호하고, 재앙을 막아주며,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신령한 나무로 믿어졌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 나무들을 신성하게 여겼을까? 1️⃣ 당산나무와 서낭나무란?🌿 당산나무(堂山木)마을 입구나 중심에 자리한 큰 나무마을을 보호하는 수호신 역할을 함정월 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 당산(堂山)의 뜻?‘당(堂)’은 신을 모시는 장소, ‘산(山)’은 자연의 신령스러움을 뜻함즉, 당산나무는 신이 깃든 신성한 나무라는 의미   🌿 서낭나무(城隍木)마을 어귀, 길목, 산길에 .. 더보기
을사늑약 = 을사조약 : 그 날의 진실 을사늑약(을사조약), 그날의 진실과 역사적 의미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일본에 빼앗긴 사건이 있다. 바로 '을사늑약'이다. 하지만 이 조약은 강압적으로 체결되었으며, 법적으로도 무효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는다. 과연 을사늑약의 진실은 무엇일까? 이 글에서 그날의 역사적 배경과 반대 투쟁, 그리고 을사늑약의 무효 논쟁에 대해 알아보자.   을사늑약이란?을사늑약(乙巳勒約)은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기 위해 체결한 불법 조약이다. 이를 통해 대한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고, 이후 국권 상실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 조약은 고종 황제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강압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었기에 불법이라는 주장이 강하다.을사늑약 체결 과정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의 대신들을 협박.. 더보기
이재명의사 의거 이재명 의사 의거: 조국을 위한 결연한 행동1909년, 조선을 팔아넘긴 매국노 이완용을 처단하려 했던 한 청년이 있었다. 바로 이재명 의사다. 그는 을사늑약을 강제 체결한 을사오적의 죄를 결코 용서할 수 없었고, 행동으로 이를 보여주었다. 그의 의거는 단순한 테러가 아니라, 나라를 되찾기 위한 숭고한 희생이었다. 이재명 의거 배경이재명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당한 직후, 이완용이 명동성당을 방문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에 그는 김구를 찾아가 척살 계획을 전했지만, 당시 김구는 그가 단지 21살이라는 이유로 만류했다. 하지만 조국을 위한 결심은 누구도 막을 수 없었다. 이재명은 단독으로 의거를 결행하기로 결심했다.  의거의 순간 1909년 12월 22일, 벨기에 황제 레오폴드 2.. 더보기
러일협정 : 베베르-고무라 각서,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로젠-니시 협정 19세기 말, 조선은 강대국들의 세력 다툼 속에서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일본과 청나라의 갈등으로 인해 **청일전쟁(1894~1895년)**이 발생한 후, 일본이 조선에서 우위를 점하는 듯했지만,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일본과 러시아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을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는 여러 차례 외교적 협정을 체결하며 세력 균형을 조정하려 했다. 일본의 경제적 우위를 인정하면서 공동으로 조선을 관리하자는 여러 협정들이 맺어졌다. 하지만 결국 이러한 협정들은 일시적인 해결책에 불과했으며,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이어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을 중심으로 한 러·일 협정의 전개 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러·일 협정 배경 알아보기👇.. 더보기
제물포 조약 (한일 수호 조규 속약, 임오조약) 1882년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壬午軍亂)**이 발생했다. 조선의 구식 군인들이 차별과 경제적 어려움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다. 이 과정에서 일본 공사관이 습격을 당했고, 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일본이 조선과 맺은 조약이 **제물포 조약(濟物浦條約, 1882년 7월 23일)**이다. 이 조약은 조선이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불평등 조약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제물포 조약의 배경, 주요 내용, 그리고 그 결과와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1. 제물포 조약의 배경1) 임오군란(1882년 6월 9일)의 결과로 제물포 조약 체결임오군란 원인과 결과 더보기  임오군란의 원인과 결과 in 하도감 터(3)[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55회] 오늘의 탐사지:.. 더보기
일본의 조선 지배를 확정한 3대 조약 1905년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후 몇 달 사이에 조선을 지배하기 위한 결정적인 3개의 조약이 차례로 체결되었다. 이 조약들은 일본이 강대국들의 승인과 지원을 바탕으로 조선 지배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7월 29일)🔹 체결국: 일본-미국🔹 주요 내용: 미국이 일본의 조선 지배를 묵인, 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인정 📌 배경미국은 1898년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필리핀을 식민지로 확보했지만, 필리핀 내에서 독립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었다.일본은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으면서 조선을 지배할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었다.미국과 일본은 서로의 식민 통치를 보장하는 비공식적인 비밀 협약을 체결했다.📌 조약의 핵심 내용미국은 일본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