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orld History

불평등의 기원 : 중국이 세계를 정복하지 못한 이유 세계 불평등의 기원세계 불평등의 기원을 약 만 년 전 시작된 농업에서 찾고 있다. 모든 인류는 수렵과 채집으로 생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렵과 채집으로 모을 수 있는 식량은 많지 않았다. 기원전 9천 년 경부터 몇몇 민족이 작물과 가축을 키우며 농업을 시작했다. 농업으로 얻은 잉여 식량으로 사회 구조가 발달했다. 기원전 9천 년 경 초기 농업의 발상지는 10곳이었다. 이라크, 차이나, 에티오피아, 뉴기니, 사헬지대, 서아프리카, 멕시코, 안데스 산맥 및 아마존 강 유역, 미국 동부가 초기 농업의 발상지였다. 위도가 같으면 일조량과 기후를 결정하기 때문에 작물 전파가 쉽다. 그렇게 유라시아 농업은 동서를 가르며 빠르게 발전했다. 그래서 유럽이나 중국이 강대국이 되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대륙의 형.. 더보기
수에즈 운하의 역사와 전략적 가치 2021년, 전 세계가 단 한 척의 배 때문에 마비되었다.이름은 에버기븐(Ever Given), 장소는 바로 수에즈 운하(Suez Canal).불과 며칠간의 마비였지만 세계 물류 시스템은 혼란에 빠졌고,그제야 많은 사람들은 수에즈 운하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하지만 이 수로에는 수천 년을 이어온 역사와 지정학적 긴장이 함께 흐르고 있다. 🏺 고대의 꿈: 나일강에서 홍해로수에즈 운하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Egypt)**로 거슬러 올라간다.기원전 19세기경,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나일강(Nile River)**과 홍해(Red Sea)를 연결하기 위해인공 수로를 시도했으며, 이는 이후 **로마 제국(Roman Empire)**과 **페르시아(Persia)**까지 이어졌다.당시의 수로는 오늘날의 .. 더보기
세계 최초의 관세 무역 전쟁! 영란전쟁 : 영국이 강국이 된 이유 이것!! 207- 4 🧣이전글 보기 무역은 때때로 총보다 강력한 무기가 된다.17세기, 네덜란드는 바다 위를 장악하고 유럽의 부를 실어나르던 해상 제국이었다. 하지만 이 무역의 흐름을 가로막기 위해 영국은 ‘관세’라는 경제 무기를 꺼냈고, 그 결과 세계 최초의 무역전쟁이 시작된다. 바로 제1차 영란전쟁(The First Anglo-Dutch War) 이다. 📜 무역을 빼앗기 위한 법, 항해조례1651년, 영국의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은 무역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항해조례(Navigation Act)**를 제정했다.이 법의 핵심은 단순했다:“영국과 그 식민지로 들어오는 모든 물자는 영국 배로만 운송해야 한다.”이는 당시 유럽의 물류를 지배하던 네덜란드 무역선의 활로를 원천 차단하는 조치였다.📌 .. 더보기
트럼프 관세정책 영국 항해조례 정책이 시작점 .!! 207- 3 네덜란드 무역 지배와 영국 항해조례의 탄생: 해상 패권의 전환점17세기 초, 네덜란드 공화국은 해상 무역의 강자로 떠올랐다. 이들은 단순히 물류만 잘한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배경이 있었다. 상대적으로 작은 나라인 네덜란드가 세계 해상 무역을 지배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성공적인 항해에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발달된 조선 기술 때문이었다. 17 세기에 네덜란드에는 작은 선박을 세지 않고 6000 대 이상의 상선을 가졌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1602년 설립)**가 아시아 식민지 무역을 장악했다.**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1602년 개장)**는 세계 최초의 금융시장으로 자본 조달에 성공했다.중계무역으로 다른 나라의 물자를 사들여와 그대로 제 3국에 수출하는 무역**플류트선 (fluyt ship).. 더보기
관세의 기원 207 - 1 오늘날 우리는 무역에서 관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있다. 그런데 이 관세의 개념은 생각보다 훨씬 오래전에 시작되었다. 놀랍게도 관세의 기원은 기원전 3500년경, 세계 최초 문명 중 하나인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메소포타미아: 관세의 시작▫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오늘날 이라크 남부 지역에서 형성되었으며, 티그리스(Tigris)강과 유프라테스(Euphrates)강 사이에 위치해 있어 ‘강 사이의 땅’이라는 뜻의 Mesopotamia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Fertile Land)**을 가진 반면, **석재(stone)**나 귀금속(gold, silver) 같은 천연 자원이 부족했다.→ 이로 인해 교역(무역)이 필수였고, 강을 따라 *.. 더보기
호주 역사 : 호주는 어떻게 죄수들의 섬이 되었나? 210 -1 미지의 땅 호주에 유럽의 배들이 도착한 것은 17세기 무렵이었다. 호주에 처음 도착했던 유럽국가는 네덜란드였다. 1606년 네덜란드는 뉴기니 섬과 토레스 해협을 항해한 기록이 있다. 1616년에는 네덜란드가 샤크베이를 탐사 후 해안 지도를 만들었지만 이 땅에 정착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끝 사막이 펼쳐졌고 사람이 살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외면받은 땅에 관심을 보인 사람은 영국 사람 제임스 쿡이었다. 제임스 쿡은 영국 영국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로 대항해 시대의 결정을 이끌었던 인물로 태평양을 3번이나 횡단했고 그 과정에서 하와이, 타이티, 뉴질랜드같은 미지의 땅을 발견한 인물이다. 그는 뉴질랜드를 거쳐 1777년 호주땅에 도달했다. 제임스 쿡이 이렇게 먼 호주까지 온 이유가 있었.. 더보기
오세아니아 어디? 뜻과 , 의미, 구분법 🌏 오세아니아의 뜻과 유래 **“오세아니아(Oceania)”**는 19세기 초 프랑스 지리학자들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리스어 “ōkeanós (ὠκεανός)”, 즉 **“바다(대양)”**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태평양 전역에 흩어진 수많은 섬들을 통칭하는 말로, ‘바다의 땅’, 또는 **‘바다 건너의 땅’**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아시아나 유럽처럼 육지로 연결된 대륙과는 달리, 오세아니아는 바다로 연결된 지역이다. 세계에서 가장 넓고 깊은 태평양이 이 지역을 하나로 묶는 핵심 요소다. 그래서 오세아니아라는 이름은 단순한 지리적 명칭을 넘어, 해양 중심 문화의 정체성을 상징한다.이 명칭은 유럽이 18세기 이후 탐험의 시대(Age of Exploration) 동안 태평양을 탐사하면서, 아시아와 구별.. 더보기
호주 Australia 뜻 – 이름의 유래와 의미 210 호주는 캥거루와 코알라의 나라,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자 작은 대륙, 2021년 기준 호주 1인당 중위 자산 약 3억 8천만원으로 세계 1위를 기록했으며 2024년 1인당 GDP가 65,966달러로 한국의 1.8배로 인구 약 2,700만 명 대비 놀라운 경제력을 가진 나라이다. 또한 금 생산량이 세계 3위 , 철광석 생산, 수출 세계 1위, 리튬 생산 세계 1위 매장량 세계 2위 , 석탄 수출 2위, 희토류 생산 세계 2위, 호주에서만 나는 핑크 다이아몬드으로 자원 강국으로 1991년 이후 30년간 경기 침체가 없는 나라이다. 영연방 가입국으로 56개 가입국 중 핵심 회원국이다. 지금 이렇게 잘나가는 호주가 과거에는 영국 죄수들의 유배지로 시작된 나라이다. 호주는 너무 먼 땅이었기 때문에 16.. 더보기
하와이 진주만은 어떻게 미국 영토가 되었나? 203- 3 [이전글 보기 ] 하와이 왕국 탄생 역사 203 -2하와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천국 같은 휴양지일 뿐일까? 푸른 바다와 따사로운 햇살 뒤에는 식민의 그림자와 전염병의 기억, 그리고 역사 속 숨겨진 비극이 존재한다. 오늘은 하와이가 어떻게jangane.tistory.com 1875년, 하와이 사탕수수는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고, 사탕수수는 왕국 수출의 **95%**를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와이 경제는 미국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실질적으로 **미국의 경제 식민지(colony)**가 된다. 같은 해 미국은 진주만 사용권을 요구했고, 왕국은 이를 불공정 조약으로 판단하여 거부했다. 하와이안 리그(Hawaiian League)의 등장바로 이 시점에 하와이안 리그라는 단체가 등장한다. 이 .. 더보기
하와이 역사 : 하와이 원주민 전통문화 타투, 훌라춤 의미 203 -1 “하와이”라고 하면 대부분 푸른 바다, 열대 과일, 무지개를 떠올린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오랜 세월 동안 지켜온 원주민 문화와 믿음이 숨어 있다. 타투와 훌라, 두 가지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하와이 원주민의 철학과 자연 숭배 사상이 담긴 신성한 표현 방식이었다. 이제 그 진짜 의미를 들여다보자.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로, 연평균 기온이 25도 이상인 따뜻하고 온화한 기후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후와 자연 덕분에 미국 내에서 우울증 발생률이 가장 낮고, 행복지수가 높은 주로 꼽힌다. 이로 인해 유명 인사들이 자주 찾는 휴양지가 되었다. 빌 게이츠는 하와이에 섬을 통째로 사서 전용 별장을 소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 하와이 문명의 시작하와이는 본토에서 8,100km 떨어진 태평양 한가운데 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