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orld History

일본식 카레 역사 146-7 일본의 3대 양식으로 손꼽히는 음식 중 하나는 카레이다. 카레는 1920년대 초에 대중화되기 시작해 1930년대 절정의 인기를 누리게 된다.  1936년 오사카의 한 백화점에서는 카레 판매량이 하루에 13000그릇에 달했다.     인도의 커리가 일본식 카레로 인기를 끌게 된 계기는 군대와 관련이 있다. 1870년대 일본 군대에 퍼진 극심한 근육 소모가 되는 병인 각기병이 유행했는데 극심한 근육 소모로 팔다리가 약해지면서 제대로 걸을수가 없을 뿐 아니라 신부전과 말초신경 장애까지 일으켰던 무서운 병이었다. 그러나 이 병은 서양사람들에게는 없는데 유독 일본인들에게만 자주 발생했다. 특히 육군보다는 해군에서 다수의 각기병이 발생했다.  그래서 군 당국은 본격적으로 각기병의 원인을 찾아 나서기 시작했다. 확인.. 더보기
일본식 서양음식 : 고로케, 단팥빵, 캐러멜 ,건빵 146-6 [이전글 일본 돈가스 역사]  우리가 말하는 경양식은 가벼운 양식으로 돈가스와 밥, 수프까지 함께 즐기는 외식 메뉴인데 양식이 아닌 일본식이다. 경양식은 정통 양식처럼 풀코스로 나오는 것이 아닌 일본인의 기호에 맞게 몇 가지 음식이 변형된 서양요리이다. 그래서 1900년 전후로 도쿄 경양식 식당이 1500곳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고로케 탄생돈가스 말고 돼지고기를 활용한 양식 중 하나가 고로케이다. 작고 바삭바삭한 소리가 나는 것이라는 뜻의 프랑스 크로켓트에서 유래된 음식이다. 자투리 돼지고기를 활용해 만든 음식이라 가정식으로 자리잡았다.    전쟁으로 인해 돼지고기 소기가 값이 폭등하면서 돼지고기가 주목받은 것처럼 일본군의 식량문제로 인해 새롭게 떠오른 것이 있다. 18세기까지 일본군의 전투식량은 .. 더보기
천년이 넘는 일본 육식 금지령 이유.. 146-2 일본의 서양 요리 대중화에 실패했던 이유는 천황에 의해 육식이 약 1200년 동안 금지되었다. 일본은 6세기 초반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일본 국교가 불교로 지정이 된다.   673년 일본이라는 나라 이름과 천황이라는 명칭을 만들고 일본 역사상 최초로 강력한 전제 권력을 행사했던 텐무 천황이 등장하게 된다. 텐무 천황은 국교인 불교 교리를 내세우게 된다. 불교의 핵심 가치인 살생 금지 사상을 실천을 위해 백성들에게 육식 금지령을 발표한다.   불교로 인한 육식 금지령은 이후 시기와 금지 동물의 종류를 달리하면서 여러번 개정되게 되는데 스토쿠 천황때는 모든 생물을 살생금지 시키는 법령을 발표한다. 게다가 소에 대해서는 시기를 가리지 않고 엄격하게 식용을 금지시켰다.    당시 일본은 농경 국가였고 소는 곡물의.. 더보기
코카 콜라 원료는? 콜라 로고, 콜라병 디자인 누가? 미국 애틀렌타의 한 약제사 존 펨버튼은 남북전쟁 당시 남부 구인으로 참전했다가 부상을 당하고 모르핀에 중독되어 있었다. 이를 대체할 수 있던 약을 찾던 중 코카 잎에서 추출한 코카인을 알게 된다. 이 코카인과 콜라 나무에서 추출한 콜라 열매의 추출물로 콜라의 원조인 매약을 만들게 된다.   코카 잎은 남아메리카 원산의 식물로 수천년 전부터 의약품과 기호식품으로 이용해 왔으며 기력 보충을 위해 잎을 씹기도 했다.  아프리카 원산지인 콜라나무의 열매는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데 다양한 탄산 청량음료의 항료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코카 잎 + 콜라나무 열매+ 프랑스 와인을 섞어 프렌치 와인 코카를 만들어 낸다. 당시 펨버튼은 코카인 성분의 중독성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프렌치 와인코카가 맛도 있고 .. 더보기
남아공은 어떻게 무법지대 범죄율 가장 높은 나라가 되었나? 153-4 [이전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폐지 후 약 30년이 흘러도 여전히 흑인들의 빈곤문제는 심각했다. 남아공의 2023년 4분기 기준 실업자 수는 약 789만 5천 명이었다. 심각한 것은 대부분의 실업자가 흑인이라는 것이다.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종 비율은 흑인이 82%, 백인 8%인데 남아공 전체 소득은 대부분이 백인의 몫으로 남아공은 전 세계에서 소득 불평등이 가장 심한 나라 1위이다.    빈부의 격차 아파르트헤이트 폐지와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이 된 이후 남아공 정부는 흑인들이 주축을 이뤘다. 만델라 이후 흑인대통령이 계속 당선이 되었고 흑인 정부는 흑인 경제를 살리는 정책으로 적극적인 흑인 우대정책을 실시했다.     공무원 흑인에게 가산점 제도를 실시했다. 그러나 이전에 충분.. 더보기
넬슨 만델라 업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 의미 [이전글]넬슨 만델라 인권 변호사에서 무장투쟁남아공 흑인 해방운동의 상징 인물인 넬슨 만델라는 1918년 7월 18일 남아공의 한 마을의 족장의 아들로 비교적 좋은 환경에서 태어난다.    만델라는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법을 전공해 흑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만델라는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최초로 흑인 법률 사무소를 오픈했다. 그러나 당시 흑인 변호사에게도 차별은 여전했고 심지어 재판중에 쫓겨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넬슨 만델라는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를 위해 무장투쟁을 시작한다. 1962년 44살이 된 만델라는 민족의 창이라는 뜻의 움콘토 웨 시즈웨 무장조직을 설립한다. 그 후 외국을 돌며 총기, 박격포, 지뢰 등 다양한 무기 다루는 법을 배웠고 자신이 이끄는 무장 조직과 함께 .. 더보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생 과정 153-2 [이전글] 보어 전쟁 :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도가 세 개인 이유 153-1  남아프리카 공화국 설립 배경 영국은 1934년부터 남아프리카 연방의 자치를 허용한다.  이로인해 영국의 영향력은 작아지고 보어인들의 영향력이 커지게 된다. 그 결과 1948년 남아프리카 연방 총선에서 보어인들로 이루어진 국민당이 강력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내세운다.     아파르트헤이트 (아프리카 남아공 인종차별 정책)남아공은 독립을 했음에도 식민지를 지배했던 주체들이 지도자로 그대로 남아 있었던 상태였다. 이들은 가나, 나이지리아, 케냐에 들어왔던 백인들과 성격이 달랐다. 가나 나이지리아 케냐 등jangane.tistory.com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경제는 호황을 이루었다. 이곳의 풍부한 광물 자원을 눈.. 더보기
보어 전쟁 :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도가 세 개인 이유 153-1 보어전쟁에 참전했던 유명인 보어인들 정착 배경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케이프타운이 위치해 있다. 케이프타운이 널리 알려진 건 대항해 시대이다.  1488년 유럽 최초로 케이프타운을 발견해 동방으로 가는 항로를 독점한 나라가 포르투갈이다. 이때 무역을 통해 많은 이득을 얻자 포르투갈 왕실은 케이프타운 남쪽에 희망봉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652년 케이프 타운의 운명을 바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진출한다. 동인도 회사는 인도로 가는 여정이 길어 케이프 타운에 정착촌을 건설해 유식처를 제공하려 한 것이 동인도 회사였다.  이곳에는 코이코이족과 산족 (=부시맨)이 살고 있었다. 초반에는 원주민의 도움을 받아 농장 운영과 목축업등 물물교환을 하며 우호관계를 형성했다.  이 네덜란드 정착민들을 자신들을 농부라는 .. 더보기
일본 군함도 이야기 나가사키에 위치한 하시마 섬은 군함도라고 불리는 곳으로 19세기 후반 미쓰비스 그룹이 석탄을 채굴하기 위해 이곳을 개발했다. 그러나 1940년 수많은 조선인들이 강제 지용당한 곳으로 어두운 과거를 숨긴 채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곳이기도 하다.    일본은 이곳을 어떻게 유네스코에 등재시켰을까?    일본 군함도 유네스코 등재 이렇게 했다. 다음은 사도광산 ? (25)1943년 전라북도 익산 면사무소 말단 직원이 15살 최장섭의 집에 와서 다짜고짜 따라 나오라고 한다. 이렇게 모인 아이들은 기차를 타고 부산역에 도착했다. 그리고 갑자기 일본 사람이 나타나 아jangane.tistory.com 더보기
레닌 볼셰비키 혁명 세계 최초 사회주의 국가 소련을 세우기까지 147-2 [이전글]레닌이 사회주의에 빠진 배경 19세기 당시 러시아 제국은 황제가 군림하던 전제정 국가였다. 광활한 영토를 토대로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했지만 다른 유럽에 비해 늦은 산업혁명으로 여전히 농업을 더 중요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1861년 러시아의 농업사회를 뒤집어 놓은 농노해방령이 발표된다. 농노해방령은 지주에게 종속되어 농사를 짓는 농노를 없앤다는 법령으로 이를 통해 약 2000만  명의 농도가 자유를 얻게 된다.   자유를 얻은 농노를 금새 삶이 좋아질 것이라 생각했으나 그렇지 않았다. 먹고 살기 위해 이들은 땅이 필요했고 자유로운 신분의 농민들은 농사지을 땅을 돈을 주고 사야했다. 문제는 나라에서 이들에게 토지를 분배해준다는 명분으로 시세보다 2배나 비싸게 땅값을 매겼고 이에 농민들은 토지 상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