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전 세계가 단 한 척의 배 때문에 마비되었다.
이름은 에버기븐(Ever Given), 장소는 바로 수에즈 운하(Suez Canal).
불과 며칠간의 마비였지만 세계 물류 시스템은 혼란에 빠졌고,
그제야 많은 사람들은 수에즈 운하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수로에는 수천 년을 이어온 역사와 지정학적 긴장이 함께 흐르고 있다.
🏺 고대의 꿈: 나일강에서 홍해로
수에즈 운하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Egypt)**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9세기경,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나일강(Nile River)**과 홍해(Red Sea)를 연결하기 위해
인공 수로를 시도했으며, 이는 이후 **로마 제국(Roman Empire)**과 **페르시아(Persia)**까지 이어졌다.
당시의 수로는 오늘날의 수에즈 운하보다는 작았고, 운송용 선박보다는 농업용 관개(Irrigation) 목적이 컸다.
하지만 이때부터 이미 사람들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항로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 현대 운하의 시작: 프랑스와 영국의 경쟁
지금의 수에즈 운하는 1859년 프랑스 외교관 **페르디낭 드 레셉스(Ferdinand de Lesseps)**가
**수에즈 운하 회사(Compagnie Universelle du Canal Maritime de Suez)**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건설은 10년간(1859~1869) 진행되었고, 수많은 이집트인 노동자들이 강제 동원되었다.
운하 완공 직후에는 프랑스가 대주주였지만,
이후 영국이 지분을 사들이며 실질적으로 영국령 보호 하에 통제되었다.
이것은 단순한 수로 소유가 아닌, 세계 해상 무역의 주도권을 뜻하는 것이었다.
💣 수에즈 위기: 국유화 선언과 전쟁
1956년,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Gamal Abdel Nasser)**는
수에즈 운하를 **전격 국유화(Nationalization)**했다.
이는 영국·프랑스·이스라엘의 **수에즈 전쟁(Suez Crisis)**으로 이어졌으며,
결국 유엔과 미국의 개입으로 이집트의 통제권이 유지되었다.
이 사건은 식민지 시대의 종식과 냉전 질서의 시발점이 되었고,
수에즈 운하는 단지 경제적 수로가 아닌, 정치적 심장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 세계 무역의 동맥: 수에즈 운하의 경제적 가치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Mediterranean Sea)**와 **홍해(Red Sea)**를 잇는 총 193km의 인공 해수 운하로,
**아시아 ↔ 유럽 간 무역의 12~15%**를 담당하고 있다.
여기엔 원유, 석유제품, 전자기기, 곡물 등 **전략 물자(Strategic Goods)**가 포함된다.
2021년 에버기븐(Ever Given) 좌초 사고는
단 6일간의 중단으로 약 100억 달러(USD)의 경제 손실을 발생시켰다.
이는 세계가 얼마나 이 좁은 수로에 **의존(Dependence)**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 현대의 변화: 병행 수로와 보안 위기
이집트는 2015년, 운하의 수용력을 늘리기 위해
**병행 수로(New Parallel Canal)**를 개통했다.
이로 인해 통과 속도는 빨라졌고, 하루 최대 97척까지 운항 가능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후티 반군(Houthi Rebels)**의 드론 공격 등으로
운하 통과가 위협받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통행량은 전년 대비 40% 감소했다.
수에즈 운하의 전략적 가치가 높은 만큼, **군사적 위협(Security Risk)**도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 지정학적 요충지, 지금도 현재진행형
수에즈 운하는 단순한 인공 수로가 아니다.
그 안에는 고대 문명의 흔적, 유럽 제국주의의 흔적, 현대 경제의 혈관,
그리고 군사 전략의 교차점이 함께 들어 있다.
세계가 수에즈 운하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이 **지리적 위치(Geopolitical Position)**를 넘어
**전략적 권력(Strategic Power)**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World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의 관세 무역 전쟁! 영란전쟁 : 영국이 강국이 된 이유 이것!! 207- 4 (1) | 2025.07.09 |
---|---|
오세아니아 어디? 뜻과 , 의미, 구분법 (0) | 2025.07.04 |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한 배경은? (0) | 2025.06.24 |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진짜 여행기인가 과장된 모험인가? (4) | 2025.06.13 |
크루즈 어원과 역사: ‘크루즈 여행’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 (1)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