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History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 공산당 탄생 역사 (쑨원 - 마오쩌둥 - 덩샤오핑) 중화민국 탄생 전 청나라 인구의 절대다수는 농민이었다. 그러나 지주 계급이 농민에게 소작을 주던 봉건 방식을 농민 착취의 수단으로 활용을 했던 것이다. 지주의 세금까지 떠맡으면 착취당했고 점점 중국인들의 삶은 피폐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중국인들의 삶을 돌보기에는 너무 부패하고 무기력했던 청나라였다. ▷서태후 청나라 멸망시키다. (서태후 죽음까지) 67-2 쑨원의 중화민국 탄생 백성들은 불만이 쌓여갔고 결국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신해혁명이 발생한다. 300년의 역사를 지닌 청나라는 1912년 멸망하게 된다. 이후 쑨원을 중심으로 세워진 아시아 최초의 공화 정부 중화민국이 탄생한다. (바로 서태후 시절이다) 그러나 중화민국은 근대적 정치 체제를 추진할 준비가 안되어 있었다... 더보기 중국과 대만(타이완) 양국이 아닌 양안 관계인 이유 배경 적대적 관계의 쌍방이 극적으로 화해하거나 급격한 정책 전환을 뜻하는 관용어가 있는데 미국 닉슨 대통령은 뼈 속까지 반공주의자였다. 그런 사람이 중국을 방문했던 사건은 쇼크에 가까웠고 닉슨 인 차이나라는 오페라까지 만들어졌다. 미국이 대만과 수교 단절하기 전 상황 1972년 닉슨 대통령 방중 닉슨이 중국을 방문했던 해는 1972년이다. 이때 우리나라는 박정희 정부의 유신 선포가 있었다. 닉슨의 중국 방문이후 한국을 달래기 위해 닉스 정부는 미국 특사를 보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미국이 아시아의 공산화를 방치한다는 의심을 하게 되고 이에 자신이 대처해야 한다는 혼란한 국제정세 속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한 유신을 선포한다. 10월 유신 특별 선언문 초고에는 닉슨 방중으로 이런 조치를 한다는 문구가 있었을 .. 더보기 미켈란젤로 피에타 조각상, 다비드상 이야기 르네상스 미술을 이끈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라는 사람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와는 완전히 상반된 인물이었다. 미켈란젤로는 유하지 않은 성격에 주변 사람들과 다툼이 잦았지만 예술에 대한 열정은 남달랐다. 미켈란젤로가 태어난 곳은 이탈리아의 카프레세라는 작은 마을인데 미켈란젤로가 유명해지면서 마을 이름을 로 변경했다. 미켈란젤로의 어린 시절 어릴때 부터 미술 공부의 기회가 있었던 미켈란젤로였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의 재능을 일찍 알아보고 미켈란젤로는 13살의 나이에 피렌체 공방에 가게 된다. 그곳에서 약 1년을 보낸 후 미켈란젤로의 인생을 뒤바꾼 로렌초 데 메디치라는 인물을 만나게 된다. 로렌초는 막대한 자금을 들여서 예술가를 후원하고 있었다. 이때 로렌초의 눈에 띈것이 미켈란젤로였고 메디치 가문의 소장품들을 보며.. 더보기 레오나르도 VS 미켈란젤로 (앙기아리 전투 : 카시나 전투) 레오나르도 VS 미켈란젤로 1503년 정부는 피렌체에 있는 레오나르도에게 앙기아리 전투 벽화를 의뢰하게 된다. 그런데 다비스상이 이듬해에 완성이 되면서 미켈란젤로에게 레오나르도가 그리는 벽화 그림 맞은편에 벽화그림을 의뢰한 것이다. 이렇게 세기의 대결이 펼쳐진다. 1504년 당시 52세 레오나르도와 29세 미켈란젤로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미켈란젤로가 그린 그림은 1364년 7월 28일 카시나 전투였다. 피사를 상대로 피렌체군이 크게 승리한 전투이다. 미켈란젤로가 임금 차이로 분노했다는 설이 있다. 레오나르도가 벽화를 그리는 대가로 받은 금액은 10,000 플로린이였는데 피렌체 공무원의 100년 치 임금이었다. 반면에 다비드상을 제작했을 당시 미켈란젤로의 임금은 400 플로린이었다. 그래서 벽화 임금이 더.. 더보기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최후의 심판 무엇이 특별한가? 로마로 향했던 미켈란젤로는 당시 율리오 2세 교황으로 부터 시스티나 성당의 대형 천장화 작업을 의뢰받게 된다. 천정화는 어려운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었고 미켈란젤로는 해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 거절을 했다. 그러나 교황의 끈질긴 설득으로 결국 작업을 승낙했다. 미켈란젤로의 작업은 더디었고 또한 작업한 내용을 보여주지도 않았다. 이에 교황은 불만이 쌓여갔고 미켈란젤로 역시 교황의 입금이 늦어지는 것에 화가 나있었고 두 사람의 불만은 커져갔다. 그러나 미켈란젤로는 갈등 속에서도 자신의 그림을 게을리 하지 않고 결국 4년만에 천장화를 완성한다. 천지창조 무려 아파트 4층 높이의 천장화로 벽화 중앙에는 창세기를 담은 9개의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미켈란젤로는 이 그림을 발판을 짚고 올라서서 고개만 뒤로 젓혀서.. 더보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나리자 유명한 이유 (스푸마토 기법이란? ) 레오나르도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그가 남긴 많지 않은 그림 중 현재까지도 모자리자가 가장 가치있는 초상화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그렇다면 모나리자가 수백년간 명작으로 불린 이유는 무엇일까? 모나리자 속 미술 기법 그 이유는 르네상스 시대 모든 회화 기법이 모나리자 하나에 모두 압축이 되어 있다. 첫째로 유화 물감을 사용했고 뚜렷하지 않은 외각선을 사용해 사실적인 표현력을 높인 스푸마토 기법을 사용했다. 눈매와 입술 끝자락 부분을 갈수록 어둡게 표현하는 명암의 활용 또한 배경을 등지고 주인공의 좌우가 대칭되어 보인다. 피라미드 구도를 사용해 초상화를 안정감 있게 표현한 점이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그림으로 꼽히는 이유라고 할수 있다. 레오나르도가 이렇게 뛰어나고 섬세한 그림을 그릴 수.. 더보기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역할 및 특권 (왕관을 쓰려는자, 그 무게를 견뎌라!) 1952년 즉위 70년간 여왕의 자리를 지킨 엘리자베스 2세를 향한 영국인들의 무한한 애정은 식을 줄 모른다. 1926년 태생으로 여왕의 나이 96세로 모든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던 여왕인데 4일간의 플래티넘 주빌리(엘리자베스 2세 즉위 70주년 기념행사) 마지막 날 행사에 여왕은 참석했다. 여왕의 공식 호칭 Her Majesty 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lreland and of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Queen, Head of the Commonwealth, Defender of the Faith. 영국의 국가는 God, Sa.. 더보기 일본 전 총리 신조 아베 암살이 미친 영향은? 일본 전 총리 아베 암살 2022년 7월 8일 일본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 유세 중이던 일본의 전 총리 신조 아베가 연설 도중 총격으로 사망하게 된 사건이 발생한다. 아베 총리의 사망 소식은 전 세계에도 충격을 안겼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정상들이 애도를 표현했다. 우리나라는 일본에 사는 한국인(자이니치) 연루 여부를 제일먼저 확인했다. 이렇게 전세계 지도자들이 암살당한 예는 전세계적으로 20건 정도로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도 암살당했고 미국의 케네디, 우리나라의 박정희,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등이 암살 당했다. 원래 일본은 정치인 테러 행위는 몇번 있던 일이나 전 총리를 총으로 암살한 일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신조 아베 암살이 사회에 미친 영향 신조 아베의 죽음은 일본 참의원 .. 더보기 홀로코스트 뜻 히틀러는 왜 유대인을 싫어했을까? 아돌프 히틀러는 민족주의, 인종주의 신봉자였다. 권력을 장악한 뒤엔 유대인을 받게 했고. 홀로코스트 유대인 600만명이 죽은 비극은 인간의 광기가 얼마나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 보여준 사건이다. 그의 자서전 '권력의 투쟁'에 유대인은 다른 민족을 몸에 사는 기생충 일 뿐이다. 라며 유대인에 대한 혐오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던 아돌프 히틀러 자서전 '나의 투쟁' 에 반 유대주의 이념을 표방하며 1925년 7월 18일 독일 뮌헨에서 출간되었다. 1935년 9월 독일인과 유대인을 구분하는 뉘른베르크법을 통과시키고 나치는 유대인의 재산을 몰수하고 강제 이송후 살해하는 유대인 절멸 작전을 이행한다. 홀로코스트의 뜻 holos 전체 + Kaustos 태우다. 전체를 태우다라는 의미로 유대인이 제물을 태워 하나님을 .. 더보기 러시아 푸틴 대통령 언론탄압 방법 (방사능차 는 무엇? ) 푸틴의 언론탄압 푸틴이 집권하는 동안 강압적으로 언론을 통제해왔다. 국영 언론사를 확대하면서 민영 언론사들을 압박하거나 영향력이 큰 경우에는 온갖 방법을 동원해 해체나 국영화 수순을 밟았다. 대표적인 예로 러시아 민영방송의 블라디미르 구신스키를 체포했다. NTV 가 푸틴에게 비판적인 태로를 보이자 이를 소유한 구신스키 비리 조사에 착수하며 1000만 달러 횡령을 빌미로 그를 체포했다. 푸틴 방사능차 이런 강도높은 언론 통제에도 푸틴을 둘러싼 각종 의혹들이다. 그 의혹들 중 푸틴의 차가 있다. 전직 FSB 요원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는 푸틴에 대한 폭로를 많이 했던 인물로 푸틴이 총리 시절 모스크바 아파트 폭발 테러 사건이 푸틴이 배후에 있다는 사실을 폭로한 인물이다. 20 06년 11월 요원 두 명과 만나..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