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History/벌거벗은 세계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회춘 노화의 열쇠 : 텔로미어는 무엇인가? 181-4 [이전글]영생의 역사: 회춘 주사 181-31980년 호주에서 엘리자베스 블랜번이라는 사람이 노화의 비밀을 풀 열쇠를 발견한다. 블랙번 교수의 심화된 연구 끝에 텔로미어로 2009년 노벨 생리학상까지 수상하게 된다. 텔로미어란 무엇?텔로미어(telomere)는 염색체의 끝부분에 위치한 DNA 염기 서열로, 세포의 수명과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텔로미어는 그리스어에서 '끝'을 의미하는 telos와 '부위'를 의미하는 meros의 합성어로, 염색체의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가 분열할 때, DNA 복제 효소는 염색체의 끝부분까지 복제를 완료할 수 없기 때문에, 텔로미어가 없다면 중요한 유전 정보가 손실될 위험이 있다. 텔로미어 기능▷염색체 보호: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을 보호하여 DNA 손.. 더보기 영생의 역사: 회춘 주사 181-3 내분비계 영생에 대한 과학적 접근으로 내분비학이 발전하게 된다. 내분비계는 체내에서 호르몬을 생성하고 분비하여 다양한 인체 기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기관을 말한다. 인간이 내분비계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된 건 150년 전이다. 회춘 주사브라운 세카르는 학자로 70세가 되니 기력이 떨어져 연구를 많이 할수 없게 되자 젊음을 유지하는 호르몬에 주목하게 되고 회춘 주사를 만들게 된다. 회춘 주사는 어린 개와 기니피그의 고환을 으깨 추출한 액체에 정액을 더한 것으로 히포크라테스는 고환과 정액을 통해 인간이 자란다는 것을 근거로 생명을 상징하는 기관으로 생각했다.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 선서에 등장하는가?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 선서에 등장하는가?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사로서 윤리를 지킬 것을 다짐한다는 내용이.. 더보기 먹을 수 있는 금의 기원은.. 181-2 [이전글]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인들.무엇을 했을까?... 181-1 기독교의 탄생으로 사람들은 구원을 통해 영생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신을 믿기만 하면 누구든 영생을 할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방법은 사람들에게 큰 희망을주었고 서기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며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이렇게 기독교의 영생에 대한 종교관은 유럽 문명의 중심축으로 발전한다. 기독교적 영생 중세 유럽은 기독교의 영향으로 영생의 방법을 신에 대한 믿음에서 찾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종교가 아니라 학문을 통해 영생을 찾으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그 계기가 된 것이 연금술이다. 연금술은 흔한 금속을 금이나 은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으로 대표적인것이 납이나 구리등을 황금으로.. 더보기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인들.무엇을 했을까?... 181-1 이집트인의 미라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음이후에도 삶이 계속된다고 믿었는데 때문에 죽음이후에 삶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 이때 육체가 온전해야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누린다고 믿었기 때문에 죽은 사람의 몸을 미라로 만들었다. 미라를 만들때 몸 안의 장기중 심장을 반드시 남겨놔야한다고 믿었다. 이집트의 영생과 부활을 상징하는 오시리스 신의 심판에 따라 영생을 결정할때 심장의 무게에 따라서 선악을 판단했다고 전해진다. 가볍다면 영생을 누릴수 있다. 이집트인의 사후세계 모습 사후세계는 현세에서 좋았던 것이 다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세상을 떠난 사랑하는 사람, 함깨 사후세계를 누리기위해 동물들도 미라로 만들었으며 현세와 같은 환경에서 영생할 것이라고 믿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사후세계는 현실세계의 연장.. 더보기 마카오는 어떻게 세계 최대 카지노 도시가 되었나? 180-4 [이전글]마카오 카지노 대부 스탠리 호 180-3중국에 속해있던 마카오는 도박이 합법화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은 마카오를 유일하게 도박이 합법화된 구역으로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 포르투갈이 중국에 마카오를 반환할 당시 향후 50년간은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사회주의 중국에서 유일하게 도박이 허용된 곳이 마카오이다. 미국자본 유입 이때 중국은 카지노 도시가 된 마카오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한다. 이 정책으로 인해 40녀간 이어왔던 스탠리 호의 카니조 산업 독점 체재를 깨뜨리게 된다. 2002년 중국은 마카오를 세계 시장에 전면 공개하고 마카오를 세계 도시로 만들기 위해 미국 최대 도시 라스베이거스와 손을 잡았다. 미국은 당시 중국 경제의.. 더보기 이슬람 문화의 흔적들 : 샤프란 , 최초 커피, 최초 기타, 아리비아 숫자 기원 178 이슬람 문화의 흔적들샤프란 음식 오늘날 유럽 음식의 미식을 책임지는 사프란이다. 이슬람교 상인들은 사프란을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슬람 제국은 약 800년 동안 스페인을 지배하며 샤프란을 퍼트렸고 덕분에 스페인에서는 샤프란을 이용한 파에야 요리가 발전했다. 최초의 커피 커피 또한 이슬람교에서 출발을 했는데 이슬람교의 여러 학파 중 수피교단에서 커피가 시작되었다. 수피학파는 종교의식을 할때 밤을 새우며 기도를 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 졸음을 피하기 위해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이슬람 사원 옆에 커피하우스가 있었고 커피 하우스가 카페가 되어 그 문화가 유럽으로 전파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 최초 커피 역사 어떻게 시작되었나? (세계 최초의 커피숍은?) 60회 오스만 제국 최초 커피 역사 어떻게 시작되.. 더보기 무함마드 후계자는 누구? 사우디아라비아 기원 178-2 [이전글 ] 이슬람교의 탄생 : 메카 성지 순례 기원 의식 178-1 632년 무함마드는 세상을 떠난다. 그리고 무함마드는 사후 자신이 세력을 확장했던 메디나에 묻혔다. 무함마드 후계자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원무함마드 죽은 뒤 이슬람교는 큰 충격을 받게 된다. 무함마드는 후계자를 지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무함마드가 속했던 부족에서 후계자를 선출했다. 이렇게 선출된 지도자를 '칼리파' 라고 불렀다. 칼리파는 계승자라는 뜻으로 무함마드 사후 이슬람 제국의 지도자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칼리파들은 무함마드의 죽음으로 흩어졌던 부족들을 다시 모으고 이슬람 제국을 건설한다. 이것이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원이 된다. 이슬람 제국은 4년만에 비잔티움 제국을 몰아내고 예루살렘을 점령하.. 더보기 이슬람교에 대한 오해와 편견 : 라마단 뜻 , 이프타르 178-3 금욕의 종교? 이슬람 교리에는 욕망을 억제하는 규율들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라마단이다. 무함마드가 첫 계시를 받은 9월달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 가지는 의식으로 이슬람력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미년 날짜가 달라진다. 라마다 기간동안 해가 떠있는 기간에는 음식을 일절 먹을 수가 없다. 음식뿐만 아니라 물, 성행위도 할수가 없다. 금지된 것을 어기게 되면 이것을 회계하기 위해 60일동안 다시 라마단을 해야한다. 해가 진후 음식을 나눠먹을 수 있는데 이것이 이프타르이다. 돼지를 먹지 않는 이유는 돼지는 뜨겁고 건조한 사막에서는 기르기 부적합한 동물이라 먹지 않는다는 설이 있고 할랄 방식으로 도축된 고기만 먹을수 있는데 할랄은 동물의 머리를 메카 방향으로 두고 기도한 다음 동물이 피를 다 흘린 후 음.. 더보기 이슬람교의 탄생 : 메카 성지 순례 기원 의식 178-1 약 7세기부터 이슬람교가 시작되었다. 1400년에 걸쳐 세계사를 바꾼 이슬람교는 약 20억 명이 믿는 종교이다. 이슬람교의 하나님과 기독교의 하나님은 같은 하나님이다.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의 차이점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의 차이점이슬람, 기독교 유대교는 같은 뿌리에서 나왔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삼위일체인데 기독교에서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한다.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라고 하는데 이슬람에서는 하나jangane.tistory.com 이슬람이라는 말은 아랍어로 복종, 순종의 뜻이다.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을 무슬림이라고 부르고 무슬림의 뜻은 하나님에게 순종하는 사람이란 뜻이다. 무슬림들은 무함마드가 전한 하나님의 계시를 훗날 기록으로 남겼는데 그것이 이슬람 경전 꾸란이다. 꾸란은 아랍.. 더보기 체코슬로바키아 혁명: 프라하의 봄 /동유럽 민주화 과정 177-5 [이전글] 헝가리 혁명 배경 결과 177-4 1964년 10월 새로운 소련의 지도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선출되고 브레즈네프는 다시 정치적 안정을 위해 공산당 중심의 중앙 집권화를 시도한다. 헝가리 혁명과 같은 민주화 운동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공산주의 체제를 최우선시하고 동유럽에 대한 정치 군사적 조치를 강화했다. 이러한 소련의 억압에도 민주화를 꿈꿨던 동유럽의 체코슬로바키아의 알렉산데르 둡체크가 있었다. 둡체크는 1968년 1월 5일 체코슬로바키아의 제 1서기장으로 당선된다. 둡체크는 언론,표현의 자유 다당제의 가능성을 추진하며 국민들의 지지를 얻게 된다. 헝가리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침체기를 겪고 있었던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은 그의 정책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고 둡체크를 지지하는 많은 세력이.. 더보기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