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History/벌거벗은 세계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란 소수민족 분포도 및 갈등 문제점 🗺️ 이란 소수민족 분포도 개요민족 분포 지역 비율 (추정)페르시아(Persians)이란 중부 및 대도시 (테헤란, 이스파한 등)약 51–61 % (en.wikipedia.org)아제리(Azeris, 터키계)북서부 (아자르바이잔, 타브리즈 등)약 16–24 %쿠르드(Kurds)서부 국경지대 (커르만샤흐, 쿠르디스탄 등)약 7–10 %루르(Lurs)서남부 산악지대 (쿠제스탄, 일람 등)약 2–6 %아랍(Arabs)서남부 쿠제스탄 주, 페르시아만 해안약 2–3 %발루치(Baloch)남동부 시스탄·발루치스탄 주약 2 %투르크멘(Turkmen)북동부 (골레스탄·코라산 북부)약 1–2 %질라키(Gilaki)·마잔다라니(Mazandarani)남 카스피해 연안합계 약 8–12 %기타 소수 (Qashqai, 아르메니.. 더보기 이란 이슬람 혁명 수비대 IRGC 가 세계를 긴장시키는 이유 🔥 이슬람 혁명 수비대(IRGC), 이란의 가장 강력한 군사력이슬람 혁명 수비대(IRGC,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는 1979년 이란 혁명 직후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Ayatollah Ruhollah Khomeini)가 팔라비 정규군에 맞서 창설한 혁명 친위대이다. 혁명 이후 새롭게 수립된 이슬람 공화국의 체제를 지키고, 이슬람 혁명의 정신을 국내외에 전파하는 것이 이 조직의 주요 임무다. ⚔️ 창설 배경과 목적IRGC는 이란 혁명 직후, 기존의 정규군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군사조직으로 만들어졌다. 창설 목적은 명확했다. 이슬람 혁명 체제를 보호하고 이슬람 공화국의 최고지도자에게 직접 충성을 맹세하는 군사력을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정규군과 달리 IRGC는 정치.. 더보기 이스라엘과 이란, 우호에서 적대로 바뀐 숨겨진 역사 156 -1 이란과 이스라엘은 불과 50년전만 하더라고 상당한 우호국이였다. 이스라엘은 건국 이후에 아랍국가들과 전쟁을 치르며 많은 배척을 받았다. 이때 이스라엘에게 손을 잡아준 나라가 이란이었다.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은 건국을 선포한다. 그러나 당시 아랍계인 팔레스타인사람들을 몰아내고 나라를 세웠다는 이유로 대부분의 아랍 국가가 격렬히 반대를 한다. 결국 이스라엘 건국 선포 다음날인 5월15일 총 7개의 나라들이 이스라엘을 공격하면ㅅ 1차 중동전쟁이 발발한다. ->이스라엘 역사 간략정리 (중동 전쟁 역사) 이때 손을 내밀어준 나라가 이란이었다. 이란은 튀르키예에 이어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한 두번째 나라이다. 이후에도 우호의 상징으로 테헤란에 이스라엘 대사관 설립했다. 당시 이란은 미.. 더보기 회춘 노화의 열쇠 : 텔로미어는 무엇인가? 181-4 [이전글]영생의 역사: 회춘 주사 181-31980년 호주에서 엘리자베스 블랜번이라는 사람이 노화의 비밀을 풀 열쇠를 발견한다. 블랙번 교수의 심화된 연구 끝에 텔로미어로 2009년 노벨 생리학상까지 수상하게 된다. 텔로미어란 무엇?텔로미어(telomere)는 염색체의 끝부분에 위치한 DNA 염기 서열로, 세포의 수명과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텔로미어는 그리스어에서 '끝'을 의미하는 telos와 '부위'를 의미하는 meros의 합성어로, 염색체의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가 분열할 때, DNA 복제 효소는 염색체의 끝부분까지 복제를 완료할 수 없기 때문에, 텔로미어가 없다면 중요한 유전 정보가 손실될 위험이 있다. 텔로미어 기능▷염색체 보호: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을 보호하여 DNA 손.. 더보기 영생의 역사: 회춘 주사 181-3 내분비계 영생에 대한 과학적 접근으로 내분비학이 발전하게 된다. 내분비계는 체내에서 호르몬을 생성하고 분비하여 다양한 인체 기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기관을 말한다. 인간이 내분비계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된 건 150년 전이다. 회춘 주사브라운 세카르는 학자로 70세가 되니 기력이 떨어져 연구를 많이 할수 없게 되자 젊음을 유지하는 호르몬에 주목하게 되고 회춘 주사를 만들게 된다. 회춘 주사는 어린 개와 기니피그의 고환을 으깨 추출한 액체에 정액을 더한 것으로 히포크라테스는 고환과 정액을 통해 인간이 자란다는 것을 근거로 생명을 상징하는 기관으로 생각했다.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 선서에 등장하는가?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 선서에 등장하는가?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사로서 윤리를 지킬 것을 다짐한다는 내용이.. 더보기 먹을 수 있는 금의 기원은.. 181-2 [이전글]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인들.무엇을 했을까?... 181-1 기독교의 탄생으로 사람들은 구원을 통해 영생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신을 믿기만 하면 누구든 영생을 할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방법은 사람들에게 큰 희망을주었고 서기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며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이렇게 기독교의 영생에 대한 종교관은 유럽 문명의 중심축으로 발전한다. 기독교적 영생 중세 유럽은 기독교의 영향으로 영생의 방법을 신에 대한 믿음에서 찾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종교가 아니라 학문을 통해 영생을 찾으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그 계기가 된 것이 연금술이다. 연금술은 흔한 금속을 금이나 은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으로 대표적인것이 납이나 구리등을 황금으로.. 더보기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인들.무엇을 했을까?... 181-1 사후 세계 믿음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사후 세계 믿음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 : 무덤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무덤이다. 죽은 사람의 집이 무덤이고 그 무덤 속에 무언가를 함께 묻는 것 자체가 사후 세계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myvoice.wissue.net 이집트인의 미라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음이후에도 삶이 계속된다고 믿었는데 때문에 죽음이후에 삶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 이때 육체가 온전해야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누린다고 믿었기 때문에 죽은 사람의 몸을 미라로 만들었다. 미라를 만들때 몸 안의 장기중 심장을 반드시 남겨놔야한다고 믿었다. 이집트의 영생과 부활을 상징하는 오시리스 신의 심판에 따라 영생을 결정할때 심장의 무게에 따라서 선악을 판단했다고 전해진다... 더보기 마카오는 어떻게 세계 최대 카지노 도시가 되었나? 180-4 [이전글]마카오 카지노 대부 스탠리 호 180-3중국에 속해있던 마카오는 도박이 합법화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은 마카오를 유일하게 도박이 합법화된 구역으로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 포르투갈이 중국에 마카오를 반환할 당시 향후 50년간은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사회주의 중국에서 유일하게 도박이 허용된 곳이 마카오이다. 미국자본 유입 이때 중국은 카지노 도시가 된 마카오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한다. 이 정책으로 인해 40녀간 이어왔던 스탠리 호의 카니조 산업 독점 체재를 깨뜨리게 된다. 2002년 중국은 마카오를 세계 시장에 전면 공개하고 마카오를 세계 도시로 만들기 위해 미국 최대 도시 라스베이거스와 손을 잡았다. 미국은 당시 중국 경제의.. 더보기 이슬람 문화의 흔적들 : 샤프란 , 최초 커피, 최초 기타, 아리비아 숫자 기원 178 이슬람 문화의 흔적들샤프란 음식 오늘날 유럽 음식의 미식을 책임지는 사프란이다. 이슬람교 상인들은 사프란을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슬람 제국은 약 800년 동안 스페인을 지배하며 샤프란을 퍼트렸고 덕분에 스페인에서는 샤프란을 이용한 파에야 요리가 발전했다. 최초의 커피 커피 또한 이슬람교에서 출발을 했는데 이슬람교의 여러 학파 중 수피교단에서 커피가 시작되었다. 수피학파는 종교의식을 할때 밤을 새우며 기도를 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 졸음을 피하기 위해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이슬람 사원 옆에 커피하우스가 있었고 커피 하우스가 카페가 되어 그 문화가 유럽으로 전파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 최초 커피 역사 어떻게 시작되었나? (세계 최초의 커피숍은?) 60회 오스만 제국 최초 커피 역사 어떻게 시작되.. 더보기 무함마드 후계자는 누구? 사우디아라비아 기원 178-2 [이전글 ] 이슬람교의 탄생 : 메카 성지 순례 기원 의식 178-1 632년 무함마드는 세상을 떠난다. 그리고 무함마드는 사후 자신이 세력을 확장했던 메디나에 묻혔다. 무함마드 후계자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원무함마드 죽은 뒤 이슬람교는 큰 충격을 받게 된다. 무함마드는 후계자를 지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무함마드가 속했던 부족에서 후계자를 선출했다. 이렇게 선출된 지도자를 '칼리파' 라고 불렀다. 칼리파는 계승자라는 뜻으로 무함마드 사후 이슬람 제국의 지도자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칼리파들은 무함마드의 죽음으로 흩어졌던 부족들을 다시 모으고 이슬람 제국을 건설한다. 이것이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원이 된다. 이슬람 제국은 4년만에 비잔티움 제국을 몰아내고 예루살렘을 점령하..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