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History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 동북공정 진짜 목적은? [차클 109] 동북공정 위치는? 동북공정이란 2002~2007년 5년 계획으로 시작됐지만 이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북공정의 동북은 중국의 동북지역으로 중국의 지도는 닭을 닮은 모습으로 닭의 머리에 해당하는 동북지역 OR 동북삼성이라고 해서 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을 가리킨다. 동북지역에서 전개된 고구려, 발해등을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연구 프로젝트로 2002년 중국 정부 기관 사회과학원에서 공식 출범한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이것은 고구려가 중국사임을 입증하는 연구 프로젝트인 것이다. 1980년대 말부터 동구권 사회주의 몰락이 시작되었고 1990년 서독과 동독의 통일이 선포되었다. 1991년 소련 사회주의가 붕괴되었고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수교가 시작되었다. 이후 1994년 김일성의 갑.. 더보기 소나무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 소나무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 중 하나다. 하지만 모든 소나무가 같은 것은 아니다. 자라는 환경에 따라 적송, 해송, 백송, 반송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심지어 조선 시대에는 궁궐과 배를 만들 때 오직 소나무만 사용했을 정도로 소중한 나무였다. 그렇다면 소나무의 종류와 우리 역사 속에서의 의미를 자세히 알아보자.1️⃣ 소나무의 특징과 생태소나무는 씨앗이 맨 흙에 떨어져야 싹을 틔울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한 생명력과 빠른 성장 속도로 인해 산지와 해안가 어디에서나 잘 자란다. 📌 소나무의 주요 특징✅ 종자가 맨 흙에 떨어져야 발아 가능✅ 강한 생명력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람✅ 질 낮은 토양에서도 생존 가능해 우리나라에 많이 분포.. 더보기 경주 월정교 천년의 다리에 숨은 비밀 경주를 걷다 보면, 마치 신라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주는 장소가 있다. 바로 월정교이다. 처음 이 다리가 세워졌을 때는 단순히 강을 건너기 위한 교량이 아니었다. 궁성과 마을을 잇는 다리이자 신라인들의 문화와 예술이 깃든 장소로, 당시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그 아래 강바닥에 숨겨진 기술적 비밀과 월정교를 둘러싼 전설들은 오늘날에도 경주를 찾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월정교의 뜻과 기원월정교(月精橋)의 이름은 "달의 정수가 흐르는 다리"라는 뜻으로, 신라의 예술적 상상력을 담고 있다. 이 다리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년) 시기에 처음 세워졌다고 한다. 다리는 궁성과 외곽을 연결하며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했으며, 동시에 신라 귀족들의 정원.. 더보기 국립경주박물관 3 전시실 ▶국립 경주 박물관 2 전시실 3실은 신라의 강력한 왕권과 삼국통일 이후 본격적으로 꽃피우기 시작한 통일신라의 문화를 다루고 있다. 2실은 제정일치 시대로 정치와 신앙을 한사람이 주관했다. 3실은 정치와 신앙이 분리되어 신라가 법을 만들고 제도를 정비하면서 왕을 중심으로 중앙 집권 국가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있다 . 3-1실 포항 중성리 신라비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2009년 5월에 경북 포항에서 발견된 것으로 현존하는 신라 시대 비석 중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으로 당시 재물 소송과 판결이 기록되어 있다. 비석에 새겨진 글씨가 아직도 선명해 읽을 수가 있다. 이 비석은 도로 공사를 하던 한 인부가 파올려진 돌을 자신의 집 화분받침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 돌을 집에 가져갔다. 그리고 흙이.. 더보기 국립경주 박물관 1 전시실. 성덕대왕 신종 이야기 성덕대왕 신종 이야기고구려의 강인함, 백제의 우아함, 신라의 화려함 , 삼국의 문화를 통합한 것이 통일신라이다. 통일신라는 영토를 통일한것 뿐만아니라 고구려와 백제 양국의 뛰어난 문화를 흡수한 문화이기도myvoice.wissue.net 신라 역사관 1 전시관 동선 신라가 건국하기 전의 삶과 신라 초기 나라의 기틀을 다지기 시작한 시의 모습을 엿볼수 있는 공간이다. 선사시대 돌도끼를 쓰던 경주 일대의 사람들이 어떻게 집단을 이루고 사회. 정치적으로 성장해 국가를 세웠는지 배울 수 있다. 신라 사람들은 다양한 모양의 토기를 만들었는데 토기를 통해서 신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짐작할수 있다. 구석기 시대 빙하기를 지나 물이 많은 곳에서 불을 사용하면서 지내던 사람들은 불을 사용하던.. 더보기 원주 뮤지엄 산 투어 뮤지엄 산은 1997년부터 운영되어 오던 종이 박물관(페이퍼갤러리)과 2013년 개관한 미술관(청조 갤러리)으로 이루어진 종합 뮤지엄으로 8년에 걸쳐 지어진 곳이다. 세계적인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이 박물관은 미니멀리즘 스타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들어가는 입구 주차장부터 독특하다. 뮤지엄 산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아주 특별한 박물관이다. 산속에 위치해 있고, "SAN"은 한국어로 산을 뜻하면서, 동시에 "Space, Art, Nature"를 의미한다. 이 박물관은 자연과 예술, 건축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곳으로 유명하며 뮤지엄산의 건축 특징은 여백의 미이다. 뮤지엄 산은 코스에 따라 티켓의 금액과 소요시간이 다르다. 입장권 종류 기본권 23000원 : 야외가든+ 종이.. 더보기 경주 최부자집 최진립 장군 - 독립운동가 최준까지 400년 역사..대구대는 왜 영남대가 되었나? 최부잣집 경주에 가면 월정교 근처 교촌마을이 있는데 경주 최씨 종가가 있는 마을이다. 동학의 발원지로 최진립 장군은 두 번의 국란에 모두 참가한 장군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정유재란때는 권율과 함께 울산 서생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최진립의 시조는 신라 문장가 최치원 선생으로 경주 최씨의 시조격이다. 사실 경주 최부자집은 지금도 유명하다. 12대에 걸쳐 400년간 부와 명예를 지킨 명가이다. 최진립 장군은 누구?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에는 용산서원이 있다. 최부자집의 중시조격인 최진립 장군을 모신 서원이다. 무신으로서 향사된 경우는 극히 드물어 이순신 장군 이외에는 없다. 최진립은 1568년 무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최진립 장군은 1592년 임진왜란 때 25세의 나이에 의병을 이끌고 싸.. 더보기 우리나라 한국 최초 해수욕장 : 부산 송도해수욕장 ,한국 해수욕 문화 시작? 부산항이 개항이 되지 많은 사람들이 부산으로 몰리게 되었다. 그런데 여름이 되면 유독 손님이 끊어졌는데 개항시기 부산에는 일본인들이 많이 와서 살게 되었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조선인들에게 해수욕이라는 개념이 없던 시절로 다 큰 성인 남녀가 바닷가에 헐벗고 들어가서 해수욕을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하던 때였다. 한국 해수욕 문화 언제부터? 이때 부산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해수욕 문화를 이미 받아들인 상태였고 지금의 자갈치 시장 일대 남빈 해변이라는 곳에서 해수욕을 즐겼다. 이를 본 조선 사람들은 "대낮에 어떻게 남녀가 부끄러움도 없어 저럴수 있느냐" 며 놀랐다. 어린 아이들도 남빈 해변에 가면 상스러운 것을 배운다고 일본인 거류지로 출입하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 그래서 부산 일본인 거류지역은 여름.. 더보기 부산 광복동 광복로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화 거리는 부산의 광복동이었다. 광복동은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해방 이후에 개명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실 광복 이전에는 광복동에는 일본 사람들 마을이었다. 그래서 그런 이미지를 벗겨내기 위해 개명했다는 설이 있다. 광복동의 번화가가 광복로인데 부산 데파트 앞에서부터 패션 거리로 이어지는 상권이다. 100년전에 이곳은 '긴 거리' 라는 뜻의 장수통으로 불렸다. 이 거리 양쪽에는 각종 상점들이 줄지어 있었고 길 가운데 전차 선로가 지나갔다. 그 당시 부산 최초의 백화점 미나카이 백화점이 있었는데 2009년도 백화점이 철거된 자리에 롯데백화점 광복지점이 설치되었다. 고구마의 본고장은 부산이다. ??고구마는 한국에 18세기 후반에 처음 들어왔다. 고구마는 오늘날 한국의 중요한.. 더보기 한국 프로야구의 시작은 언제부터? 한국에서 프로야구를 시작한 것은 제 5공화국때부터이다. 당시 전두환 정권의 나름의 민심 수습책으로 3S정책을 내놓았는데 섹스, 스포츠, 스크린을 대중에게 제공한다는 정책으로 스포츠의 대표적인 것이 프로야구였다.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해서 모든 구단들이 연고지에서 굉장한 사랑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롯데 자이언츠에 대한 부산 시민들의 사랑은 정말 남달랐다. 제 5공화국 3S정책 알아보기 제 5공화국~ 6공화국 (전두환 / 노태우 정부 )전두환은 어떻게 대통령이 되었나?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은 권력 장악 도구로 삼청교육대등을 만들었고 K-공작이라 불리는 여러 공작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책임을 최규하 전 대통jangane.tistory.com Among them, the love of ..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