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Here

창덕궁 낙선재 이야기 : 마지막 황족이 살았던 곳..

반응형

낙선재는 가장 최근까지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1847년 24대 헌종의 서재 겸 휴식공간이자 경빈 김씨의 처소 석복헌(하늘에서 큰 복을 내려준다) 이 있는 곳이다. 또한 할머니 순헌왕후의 처소 수강재가 있다.

 

낙선재 권역
장락문 - 흥선대원군 글씨
낙선재

 

✅ 낙선재를 만든 이유 

낙선재는 헌종의 헌신적인 사랑이 깃든 곳이다. 헌종 9년 효헌왕후 김씨가 16세의 나이에 눈을 감고 만다. 다음 해 새 중전을 뽑기 위해 삼간택을 하고 헌종은 전례없이 간택에 참여한다. 그때 헌종은 김씨 처녀가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대왕대비는 명헌왕후 홍씨를 선택하고 헌종은 어쩔수 없이 명헌왕후를 대비로 들인다. 하지만 헌종의 김씨에 대한 마을을 지울 수 없었고 3년이 흐른 뒤 헌종은 후사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경비 김씨를 후궁으로 맞이한다. 헌종은 경빈 김씨를 위한 보금자리로 즐거움이 오래가라는 의미에서 즐거울 낙, 착할 선  낙선재를 마련한다.  

 

조선시대 왕비 간택과정 

더보기

왕비 간택을 위해 전국에 금혼령을 내린다. 당시 9-13세 여성을 대상. 

  • 초간택: 약 30명 내외 후보를 선발
  • 재간택: 약 5~7명으로 압축
  • 삼간택: 최종 3명1명만 선발하여 왕비로 결정
  • 의사결정 주체: 일반적으로 대비나 대왕대비가 주관하며, 왕의 의견은 공식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이는 왕비가 단지 왕의 배우자가 아니라 국가의 어머니(國母)로서 왕실 권위와 정치적 안정을 상징하는 인물이었기 때문에,
왕 개인의 감정보다 왕실 어른들의 판단과 조정의 이해관계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이다.

 

정조가 수빈 박씨 사이에서 순조를 낳았는데 복을 모으는 집이라는 뜻의 석복헌이다. 이것을 벤치마킹해서 헌종도 경빈 박씨를 위해 낙선재를 만들어 줬던 것이다. 

 

불이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얼음이 깨진 모양을 만들어 넣었다.
낙선재에는 창살문양이 25종류가 있고 주련도 21개가 있다.  빙열문양 위 구름모양의 장식이 있는데 구름위에 신선이 사는 것과 같이 고귀한 분이 있는 곳을 표현한 장식이다.

 

경빈 김씨가 석복헌에서 아들을 낳았다면 조선의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경빈 김씨를 맞이한 2년 뒤 헌종은 세상을 떠난다. 경빈 김씨도 왕이 승하 후 궁궐에서 나가게 되고 77세까지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 낙선재 누구 살았나? 

조선 왕조가 망한 다음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는데 이승만 정부는 왕손들의 귀국을 불허했다. 그러다 1962년 박정희 정권때 이왕가의 귀국을 허가하면서 영친왕부터 들어오게 된다. 헌종이 있었던 사랑채 낙선재에는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이 살다가 승하한 곳이고 그의 왕비 이방자 여사도 1989년까지 낙선재에 살았다. 

 

영친왕 1908년 11살에 일본에 인질로 끌려간 황태자 / 이방자 여사는 일본 방계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는 정략결혼을 한다.

 

이방자 여사는 아픈 덕혜옹주를 케어하고자 덕혜옹주보다 하루만 더 살게 해달라고 했는데 소망대로 덕혜옹주가 세상을 떠난  열흘 뒤에 이방자 여사도 떠났다.

 

 

덕혜옹주 이야기 (대한제국 마지막 황녀의 비운의 삶)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67회 후반] 오늘의 탐사지: 창덕궁 낙선재주제: 덕혜옹주 이야기 출연자: 설민석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옹주라 부르는 이유왕과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딸을

jangane.tistory.com

 

 마지막 황태손 이구는 미국MIT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뉴욕의 한 건축사무소에서 근무하다가 줄리아 멀록을 만나 결혼했으나 자손이 없어 강제 이혼을 시켰고 이혼 후에도 줄리아는 서울을 떠나지 않았다. 2005년 이구가 세상을 떠나고 마지막 장례식을 낙선재에서 했다. 장례식에도 줄리아는 초청받지 못했다. 

 

 

 

‼️고종 가계도/대한제국 후손의 마지막 모습들(영친왕 의친왕 덕혜옹주 이구)

 

고종 가계도/대한제국 후손의 마지막 모습들(영친왕 의친왕 덕혜옹주 이구)

[선을 넘는 녀석들 4회] 오늘의 탐사지: 일본 도쿄 주제: 대한제국의 마지막출연자: 설민석, 문근영 대한 제국의 마지막 모습들 열강의 패권 다툼 속에서도 고종은 자주독립의 의지를 품고 1897년

jangane.tistory.com

 

✔️ 석복헌 

또한 석복헌에는 조선 제 27대 왕 순종의 비이자 조선의 마지막 왕비 순정효황후(1894~1966 ) 가 살다가 1966년 세상을 떠났다.  

 

석복헌 복을 내리는 집 3년 동안 사모한 후궁 경빈을 위해 1848년 지은 건물

 

✔️ 수강재 

또한 수강재는 순헌왕후의 거처로 순원왕후는 헌종과 철종 때 수렴청정을 했던 안동김씨 세도정치 시기의 인물이다. 광복후 수강재에는 고종의 막내 딸 덕혜옹주가 1989년까지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수강재 1848년 헌종의 어머니였던 순원왕후의 거처

 

순원왕후 이야기 자세히보기 👇 

 

철종 철인왕후 이야기 (김좌근,철종가계도)

오늘의 탐사지: 예릉, 강화도 주제: 철종과 철인왕후 이야기 철종은 세도 정치가 절정인 시기에 왕이 된다. 정조가 승하한 이후, 안동 김씨가 세력을 잡으며 순조-헌종-철종 순으로 세도정치를

janga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