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 역사 : 자유공원, 탑골공원, 어린이대공원 (Q 1-2)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 자유공원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은 개항 도시 인천에서 만들어졌다. 지금은 자유공원이라 불리는 곳으로 각국공원이다. 1888년에 인천에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공원이다. 외국인 거주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각국공원은 6.25 이후 자유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서울 최초의 공원 탑골공원 탑골공원의 원래이름은 파고다 공원인데 지금은 노인들이 많이 찾는 장소이지만 19세기 말 이곳은 경성의 핫플레이스로 모던보이, 모던걸들이 집결하던 장소였다. 고종의 명을 받아 옛 원각사 터에 조성한 공원으로 한국인을 위해 세운 최초의 공원이며 1919년 3.1 운동의 발원지인 역사적 공간이기도 하다.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현재 서울에는 많은 공원이 있지만 당시만해도 대부분이 산이 공원의 기능을 했다. 그것.. 더보기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했나?! 근거는? (그날 431) 고구려 668년에 멸망하고 그 뒤로 250년 뒤에 918년에 고려가 건국된다. 고구려와 고려사이에는 250년이라는 시간차가 있다. 그러나 조선은 50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외침을 겪었던 반면 고려는 존속 기간 내내 외침에 시달렸다. 993년~1019년 고려 거란 전쟁이 약 30년, 1107년 윤관의 여진정벌이 있었으며 다시 100년 뒤에 1231년~1259년 몽골의 침입이 이어졌다. 마지막 14세기 후반 공민왕 때는 위에서는 홍건적의 침입, 바다에서는 왜구의 출몰이 있었다. 그래서였는지 고려의 무기 체계와 전쟁기술이 발달되어 있었다. 서희와 거란의 소손녕이 담판 993년 거란 고려 침략이 시작된다. 옛 고구려땅인 압록강 일대를 내어놓고 통교를 하라는 것이었다. 이에 고려는 서경 이북의 땅을 내어주고 거란과.. 더보기
드라마 고려거란전쟁 배경 설명 : 거란이 고려를 공격한 이유 인물설명 고려 거란의 26년 전쟁을 승리로 이끈 현종과 강감찬의 이야기이다. 993년~1019년 고려와 거란 사이에 벌어진 전쟁, 고려 제 8대 황제 현종역으로 제국의 아이들 김동준이 나온다. 고려는 최종이 세웠다가 유동근에게 망한 나라.. ㅋㅋ 통일신라 말기 왕족의 분열로 혼란에 빠진 신라는 전국 각지에서 새로운 스타, 호족들이 스타로 떠올랐다. 궁예, 왕건, 견훤이 중심이되었고 최후의 승자는 왕건이었다. 왕건은 독자적으로 나라를 세워 나라의 국호를 고려, 연호를 천수라 공표한다. 그러나 고려는 존속하는 내내 외침을 격게 된다. 고려거란전쟁에서 강감찬역을 맡은 최수종이 맡았다. 기록에 따르면 강감찬은 체구가 작고 얼굴이 못생겼으며 옷차람은 더럽고 낡아서 보통 사람보다 못했다고 나와 있다. 거란이 고려를.. 더보기
포항 연오랑와 세오녀 설화 의미 포항은 한반도 남쪽에서 가장 먼저 해와 달을 만날수 있는 곳이다. 그 중에 영일: 해를 맞는 땅이라는 도시가 있다. 이곳에 해와 달에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 연오랑 세오녀 설화 아주 먼 옛날 신라 땅에 한 어부가 바닷가에서 해조를 캐고 있었는데 그런데 처음 보는 바위에 해조가 가득있었다. 그래서 그 바위 위에 올라가 해조를 캤다. 정신없이 해조를 캐고 있는데 갑자기 이 바위가 둥둥 떠내려가더니 동쪽 바다끝 일본땅에 도착했다. 깜깜하게 살고 있던 일본땅에 해가 쏟았고 사람들은 그 어부를 왕으로 삼았다. 그리고 며칠 뒤, 아내 또한 남편이 탔던 바위를 타고 일본으로 가서 남편을 만났다. 그랬더니 캄캄한 밤에 갑자기 밝은 달이 솟았고 두 사람은 그곳에서 행복하게 살았다. 반면 해와 달이 사라진 신라는 혼란이 .. 더보기
용비어천가 6용은 누구? 준경묘 백우금관의 전설 용비어천가 6용 용비어천가 1장 1절에는 해동 육룡이 나라샤 일마다 천복이시니 동쪽 바다에 여섯 용이 나타나니 하는 일마다 하늘이 돕는다는 내용으로 조선왕조의 탄생을 찬미하는 가사가 적혀있다. 6 마리 용은 목조: 이안사, 익조: 이행리, 도조: 이춘, 환조:이자춘, 태조:이성계, 태종:이방원인데 이 6마리 용 , 전주이씨 가문의 가장 큰 아버지 이양무의 무덤이 삼척 준경묘이다. 준경묘는 오후 3시만 되도 무덤에 그늘이 질정도로 깊은 산중에 위치해 있다. 조선 왕조의 태동을 예언한 백우금관의 전설이 있는 장소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5대조 이양무의 묘가 있는 곳으로 조선 최고의 명당이라 여겨지는 곳이었다. 백우금관의 전설 전주에서 무관으로 일하던 이안사는 전주로 부임한 산성별감과 기생하나를 사이에 두고 다.. 더보기
내장산 용굴 속 조선왕조실록 이야기 내장산에서 가장 깊고 가파른 금선계곡 속에는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은 국보제 151호로 조선태조로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는 이 기록을 4부를 만들어 한양에 있는 춘추관과 전주, 충주, 성주에 있는 사고에 보관했었다. 사고가 시내 한가운데 있다보니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첩첩산중으로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흐지부지되었다. 그러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며 전주사고에 있던 기록을 제외하고 모두 불타 사라졌다. 이때 전주사고에 있던 조선왕조실록을 내장산 동굴속으로 옮겨서 보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 중 전주 가까이 왜군이 공격해 오자 안의, 손홍록이 30여 명을 이끌고 조선왕조실록과 어영을 64궤짝에 싣고 이곳으로.. 더보기
정읍 목민사 목민사는 동학농민운동 전투의 첫 승리를 이룬 황토현 전투 승리를 기념하고 동학혁명의 주역들의 위퍠를 모셔놓은 곳이다. 제민당 안에는 정자관을 쓰고 도포에 수를 길게 늘어뜨린 선비의 차림을 하고 있는데 농민군을 지휘한 장군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더보기
선운사 미륵불 복장에 무엇이? 정읍 피향정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 있는 조선 중기의 누정 피향정은 여름이면 정자 주변에 있던 연못 2곳에서 연꽃이 만발해서 피향정이라고 한다. 전라도 감찰사를 두번이나 했던 이서구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이서구는 조선 시대 실학 시대에 시에 능했던 4대 시가 중 한명으로 왕실 출신이지만 실학자들과 깊이 사귀면서 온갖 학문 수리, 천문,토목 등 모든 학문에 능했고 관심이 많았다. 이서구는 그의 말년에 호기심으로 사고를 친다. 고창 선운사에 가면 경관이 수려한 암자 도솔암이 있다. 이 도솔암에 거대한 미륵 부처님이 있고 미륵불 복장 감실에는 미래를 바꿀 수 있는 비결서가 숨겨져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사실을 호기심 많은 관찰사 이서구가 듣게 되고 그는 전라 관찰사로 부임하자마자 달려와서 미륵불로 사다리를 타고.. 더보기
정읍사 : 한글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가요 정읍사 내장산의 능선은 아름다운 여인의 옆모습을 닮았다. 속눈썹이 길고, 코가 오똑하며 목이 길며, 가슴도 풍만한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이다. 정읍사는 백제 시대부터 조선까지 천년 동안 사랑받았던 대중가요이다. 남녀간의 사랑을 다룬 노래로 통일신라 경덕왕 이후 구백제 지방의 노래였다.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며,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요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달하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끔 비취오시라 어귀야 어강됴리 아으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정읍사 어긔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가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다롱디리 내용 장사를 떠난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남편이 떠난 곳에서 기다리는 아내에 대한 얘기로 언듯보면 남편의 무사함을 기리는 노래 같지만 사실은 남편이 술집에서 다른 .. 더보기
부산시민공원 역사 부산시민공원 터는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곳은 일제 강점기 때 경마장으로 시작되었다. 1937년 ~45년 중일 전쟁, 태평양전쟁 때는 군사훈련소로 사용되었고 1945년 해방 후에는 미군정이 사용했다. 그러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미군은 철수하지만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다시 주둔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몇 십년 간 미군기지로 쓰인 땅이었다. 50~60년 동안 미군이 사용하다가 2010년에 공식적으로 반환이 되었다. 그때부터 이곳을 공원을 만들어서 부산시민공원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곳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공간이다. 미군이 막사로 쓰던 곳을 개조해 카페, 도서관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부사관들의 숙소로 쓰이던 곳은 문화 공간으로 사용 중이다. 도자기 공방을 비롯해 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