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History 썸네일형 리스트형 순조 (정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아버지) : 세도 정치의 시작 세조 정치의 기원은 정조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위태로운 세자시절을 보낸 정조는 후견그룹의 지원을 뼈져리게 느끼며 왕이 되었고 정조는 죽기 보름전 김조순을 불러 순조의 뒤를 봐줄것을 부탁한다. 정조 사망당시 1800년 순조의 나이는 11세였다. 정조의 반대파였던 정순왕후는 어린 순조대신 수렴청정을 하며 순조의 반대파들을 제거했다. 정조의 유시를 받은 김조순은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해갔다. 순조 1년 1801년 수렴청정했던 정순왕후가 천주교 박해령을 내려 노론의 정적인 남인(정조지지세력) 등 5백여명을 숙청한 신유박해가 일어난다. 정순왕후가 물러난 이후에는 순조의 장인 김조순 중심에 안동 김씨가 국정을 장악하게 된다. 국왕의 인사권도 유명무실해졌다. 김조순을 중심으로 한 외척들은 삼망에 모두 자신의 세력을.. 더보기 효명세자 개혁정치 : 실제모습은? 효명세자는 순조의 아들이다. 순조는 정조의 아들이다. 정조가 일찍 사망하면서 순조가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다. 이때는 세도정권이 만들어지던 혼란한 시기였고 정조가 건강이 안 좋아졌을 때 순조의 외척 세력 안동김씨 김조순에게 아들 순조를 부탁한다. 적장자 효명세자 그리고 어린 순조를 대신해 정치를 한다는 명분으로 김조순은 자신의 딸을 순조와 결혼시켰고 외척으로서 안동 김씨 세력을 확장했다. 그렇게 세도정치가 시작되었다. 순조의 집권내내 권력을 휘둘렸던 안동 김씨 세력에 힘을 쓰지 못했던 순조였다. 그런 순조의 아들로 태어난 이가 효명세자이다. 효명세자는 적장자(정식왕비가 낳은 아들) 로 태어났기 때문에 굉장히 경사스러운 일이었다. 숙종 이후로 150년 만의 적장자였다. 효명세자의 실제 외모 .. 더보기 공민왕 개혁정치 그리고 죽음까지 공민왕은 왕이 되자 즉위교서를 발표한다. 교서에는 일국갱시 : 한나라를 다시 시작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는 것이었다. 즉위교서 발표와 함께 개혁을 시작한다. 공민왕은 몽골의 풍습이던 변발을 풀어헤치고 호복도 벗으며 정치, 경제, 사회, 군사 등 전 분야를 아울러 개혁을 펼쳤다. 조일신의 난 그러나 공민왕의 개혁에 기황후의 거센 반발이 있었고 이걸 보던 공민왕의 최측근 조일신이 기황후의 일족 중 기황후의 오빠인 기원을 제거했다. 공민왕의 개혁을 위해 조일신이 벌인 극단적인 선택이었다. 그러나 공민왕은 이로인해 기황후에게 위협을 느끼고 조일신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발표를 했고 조일신을 죽인다. 그렇게 기황후에게 충성을 보이며 한보 물어났다. 1351년 5월 18일 개혁 3가지당시 기황후와 더불어 기철, .. 더보기 공민왕 신당이 종묘에 있는 이유? 고려 31대 공민왕은 고려사에 중요한 왕 중에 한사람으로 종묘에 고려왕 중 유일하게 자리한 공민왕 사당이 있고 역사상 가장 큰 영토였던 몽골제국이 붕괴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고려 500년 왕조의 마지막 불꽃 같았던 왕이다. 공민왕 어떻게 왕이 되었나? 13세기 고려는 30여 년간 대몽항쟁을 이어왔고 고려의 패배 후 원의 내정간섭이 시작되었고 대대로 원의 황실과 혼인하여 원의 부마국이 된 고려였다. 공민왕 역시 원나라 노국대장공주와 혼인을 맺게 된다. 또한 공녀라는 이름으로 젊은 여성들이 원에 조공으로 바쳐졌다. 이때 공녀로 갔던 기씨가 황후가 되었고 이후 고려에 관한 일은 기황후가 했었다. 이때 고려는 일본 왜구의 침략이 극심했고 1351년부터 고려뿐만 아니라 원나라 동해안까지 침략을 했다. .. 더보기 최초 멕시코 이민 역사 한국인 최초 이민 :하와이이민 하와이 이민 1세대 사진 신부 독립운동 역사이슈 픽 118회 하와이 이민 배경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부산, 원산, 인천이 개항된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청.일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jangane.tistory.com 한국인의 최초 이민은 하와이와 멕시코였다. 초기 이민 역사는 너무 힘들었다. 1905년 한국은 멕시코로도 노동 이민을 간 한인들이 많았다. 이런 일본인 인력 상인의 말에 속아 노예처럼 이용당했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에네켄 :용설란(선인장과의 식물) 줄기에서 섬유를 뽑아낼수 있다. 농장으로 가게 되었다. 에네켄을 애니깽이라고 불렀다. 에네켄 농장으로 간 사람들은 처음에 많이 힘들었다. 에.. 더보기 강화도 지리적 특징 : 수도천도 배경 강화도의 지리적 특징강화도는 서울의 서쪽에 위치하고 한국에서 제주도, 거제도, 진도 다음으로 4번째로 큰 섬이다. 또한 강화도는 곡창지역으로 강화, 교동지역의 쌀이 유명하다. 예부터 강화도를 금성탕지라 불렸다. 쇠금 처럼 단단한 성 : 금성, 탕지=끓는 연못이라는 뜻으로 연못이 주변에 해자가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끓는 못에 들러싸인 무쇠성 ' 처럼 견고한 곳이라는 뜻으로 방어하기 좋은 곳이라는 뜻이다. 4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경작이 가능한 비옥한 땅이 있다. 겨울에는 얼음이 얼어(유빙) 접근이 어렵다. 갯벌 또한 자연 방어선이 되어준다. 5바다에 있어 강한 조류까지.. 최적의 요새로 임진왜란 때도 왜군을 막아냈고 정묘호란때도 인조의 피신처가 되었던 곳이다. 그러나 병자호란때 강화.. 더보기 정묘호란 : 조선인이 후금에 요청했다. !! 홍타이지는 1626년 누르하치의 뒤를 이어 후금의 왕 칸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왕이 되었지만 형제들의 힘은 여전히 막강했다. 결국 형제들과 공동으로 나라를 통치해야만 했다. 당시 홍타이지는 이런 상황이 못마땅했고 업적을 쌓은 후 형제들의 힘을 빼앗을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아버지의 숙원인 명나라 정벌을 하고 싶었지만 만리정성의 산해관에 가로막혀 녹록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때 홍타이지의 눈에 들어온 것이 조선이었다. 명나라의 장수 모문룡이 조선 가도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수군이 없는 후금에게는 불안한 존재였다. 만약 명과의 전투 상황에 후방에서 공격하면 포위되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가도에 있는 명나라 장수 모문룡 군대를 토벌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때 예상하지 못한 일이 벌어진.. 더보기 병자호란 홍타이지 청이 조선 침략 이유 : 인조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이유 (이전글) 정묘호란 : 조선인이 후금에 요청했다. !! 홍타이지가 조선을 침략한 이유 조선에서 가장 치욕적이고 가슴 아팠던 사건 병자호란(1636년 12월) 이다. 청이 조선을 침략한 이유는 명을 공격해 중원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청나라의 문제는 인가 적다는 것이다. 조선이 뒤를 공격하게 되면 위험해지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그전에 조선을 포섭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때 조선은 명나라에 사대하는 나라였다.이유는 1592년 임진왜란때 명나라가 도와줬기 때문이고 조선시대는 위계질서를 중시했기 때문에 명나라를 공격하면 국가의 질서가 무너지는 것이고 인조는 광해군을 쫓아내고 왕이 된 임금인데 이때 광해군을 쫓아낸 명분이 광해군의 폐모를 명분으로 했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명을 공격하면 반정의 명분과도 .. 더보기 인조는 어떤 인물 ? 드라마 연인 속 인조는 두 차례의 전쟁으로 무기력했던 왕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14년전 인조는 반정을 일으킨 상남로 창덕궁의 돈화문을 부수고 궁으로 들어가 인조반정(1623)을 일으킨 인물이다. 인조와 광해군의 관계는 삼촌과 조카 관계였다. 선조에게는 아들이 많았다. 그 중에 한 사람이 광해였고 인빈김씨 3째 아들 정원군의 첫째 아들이 훗날 인조이다. 광해가 세자일때 인목왕후에게 적통 영창대군이 태어나게 되고 이때문에 불안하게 된 광해였다. 광해는 적장자 콤플렉스도 있었다. 또한 아버지와 동생을 광해에게 잃어버린 인조는 서인세력과 함께 반정을 일으켜 왕이 된다. 그러나 왕이 된 이후 인조는 3번의 몽진을 하게 된다. 이괄의 난 (1624) ,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이다. 자세히 보기 인.. 더보기 병자호란 이후 정축화약 내용 정축화약의 내용을 간단히 말하면 명나라에 하던 것을 청나라에 하는 것이다. 청에 인질로 간 사람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만은 아니였다. 전쟁중에 잡아들인 조선의 백성들도 포로로 끌고 갔던 것이다. 청나라 포로가 된 사람들을 '피로인'이라 불렀다. 청나라에서는 이 피로인들을 노예로 취급하며 이들을 사고 팔았다. 더보기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