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영국의 만국박람회 수정궁 수정궁을 만든 조지프 팩스턴은 건축가가 아닌 정원사였다. 그는 지금 3M 의 아마존에서 가져온 수련으로 언론에 주목을 받았는데 자신의 딸을 수련위에 올려 자랑을 했다. 수련이 어떻게 무게를 감당할까 고민하던 중 수련의 뒷면 구조에서 힌트를 얻어 수정궁을 완성했던 것이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건축 방식이었다. 철골과 유리로 만든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건축물에 모두가 놀라 언론이 이 건물 이름을 수정궁으로 부르게 되었다. 이 건물은 영국 산업화의 성과를 과시하는 대표적인 건축이었다.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증기기관과 같은 기술혁신으로 세계의 공장으로 우뚝서게 된다. 이렇게 최초로 산업혁명을 이룬 뒤. 영국은 그 위상을 과시하기 위해 만국박람회를 개최했다. 더보기
연지벌레 16세기 귀한 염료 연지벌레 (Cochineal)학명: Dactylopius coccus서식지: 주로 멕시코와 중남미가 원산지이며, 부채선인장(prickly pear cactus)에 기생합니다.연지벌레는 작고 부드러운 몸을 가진 깍지벌레의 일종으로 멕시코 선인장에서만 자생했다. 암컷은 날개가 없고 몸길이가 약 5mm이며, 선인장에 붙어 식물의 즙을 빨아먹는다.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작고 날개가 있어 짝짓기를 한 뒤 금방 죽는다. 염료 생산 과정연지벌레는 진홍색 색소인 카민산(carminic acid)을 생산하는데, 이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물질이다. 이 카민산은 연지벌레 암컷의 몸과 알에 농축되어 있다.수확: 농부들은 선인장 줄기에 달라붙은 연지벌레들을 솔이나 긁는 도구를 이용해 조심스럽게 털어내거나 .. 더보기
한국 우리나라 지폐 속 위인들 1 (이순신 ) 화폐 속 이순신: 논란과 상징의 얼굴광화문 광장: 2022년 8월 6일 새롭게 단장한 서울의 광화문 광장은 이순신 장군에게 바쳐진 웅장한 기념 공간이다. 우리나라 100원 동전에는 이순신 장군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이 초상화는 정부가 지정한 표준 영정이다. 그러나 이 얼굴이 과연 이순신 장군의 실제 모습인지는 여러 논란이 있기도 하다. 역사 기록을 보면 그의 외모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다. 어떤 기록에는 그가 말이 적고 단아한 선비 같았다고 적혀 있고, 또 다른 기록에는 키가 크고 용기 있으며 붉은 수염을 가졌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이순신 장군의 다양한 면모를 상상하게 한다. 흥미로운 점은 100원 동전의 이순신 장군과 500원 동전의 학을 비교하며 그 위상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기도 한다는 것이다. .. 더보기
독립문 영천시장 역사 영천시장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화 과정, 그리고 서대문 형무소와의 연관성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영천시장의 기원과 유래영천시장은 서대문 독립공원과 인접한 전통시장으로, 1960년대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래 영천동에 있었으며, '영천(靈泉)'이라는 이름은 독립문 공원 뒤 안산에 있던 약수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약수터 물을 마시면 모든 병이 낫는다고 하여 '신기한 약효가 있는 샘'이라는 의미로 주변 지역을 영천이라 부르면서 시장 이름이 영천시장이 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영천시장의 역사가 조선시대 '영천장'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기도 합니다. 조선시대 종로의 시전 외에는 공인된 시장이 없었지만, 성곽 밖 성저십리(城底十里) 지역에 채소를 공급하는 시장이 자연스럽게 .. 더보기
이성계가 조선의 수도를 한양을 선택한 이유( 한양천도 / 수도천도 ) 당시 한양이라 불리던 서울로 수도를 옮긴 결정은 태조 이성계의 탁월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그는 크게 정치, 지리, 사상이라는 세 가지 이유로 서울을 선택했다. 새로운 정치적 출발첫째, 이성계는 옛 수도인 개경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개경은 이전 고려 왕조에 충성하는 강력한 귀족 가문들로 가득했다. 완전히 새로운 장소로 이전함으로써 그는 정적들을 약화시키고, 오직 자신과 새로운 조선 왕조에만 충성하는 권력의 중심지를 새로 건설할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분명한 선언이었다. 완벽한 위치둘째, 한양의 지리적 조건은 이상적이었다.중심성: 한반도의 정중앙에 있어 나라 전체를 통치하기에 훨씬 수월했다.교통: 한강은 교역과 세곡 운송을 위한 천혜의 고속도로였다. 이는 수도의 많은 인구를.. 더보기
삼청동 무엇이 특별한가? 🇰🇷 삼청동, 600년 역사를 간직한 서울의 문화 보물👀 서울에서 조용한 산책을 원한다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삼청동을 주목해보자!복잡한 도심 속, 시간의 흐름을 천천히 걷고 싶다면 삼청동만큼 좋은 곳도 없다. 고즈넉한 한옥과 세련된 갤러리, 그리고 향긋한 커피 내음이 어우러진 이곳은 서울에서 가장 특별한 공간 중 하나이다. 🏯 삼청동의 이름, 어디서 왔을까?삼청동(三淸洞)이라는 지명은 그 자체로도 매력을 품고 있다. 이름의 유래에는 크게 두 가지 설이 존재한다.① 도교 유래설과거 이 지역에는 도교(Taoism)의 최고 신(神)인 옥청(玉淸), 상청(上淸), 태청(太淸)을 모시는 **삼청전(三淸殿)**이라는 사당이 있었다. 삼청동이라는 이름은 바로 이 **삼청(三淸)**에서 비롯되었다고 전.. 더보기
혜화문 역사 : 혜화동이 연극의 중심이 된 이유 성북구 뜻 성북구는 '성곽의 북쪽'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지역으로,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곳이다. 굽이진 역사를 함께해 온 이 지역의 여러 명소들을 살펴보자. 혜화문은 서울 성곽의 4대 소문 중 하나였다. 북쪽에 있던 숙정문이 통행을 금지하자, 대신 북쪽으로 가는 주요 통로가 되었다. 다른 문과는 달리 새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봉황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렸다가 복원되었다. 혜화문(惠化門) 역사 혜화문은 한양도성의 4소문(小門) 중 하나이다. 그 이름은 "은혜를 널리 베푼다"라는 뜻이며, 흔히 동소문(東小門)이라고 불렸다.역사와 이름: 1396년(태조 5년)에 처음 세워졌을 때의 이름은 홍화문(弘化門)이었다. 그러나 1511년(중종 6년)에 창경궁의 정문 이.. 더보기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 : 서울 달동네 북정 마을은 서울 성북구에 있는 매력적인 동네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이며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나와 삼성교 근처 버스정류장에서 성북03번 마을버스를 타면 갈 수 있다. 약 10분 정도 버스를 타고 일곱 정거장을 지나 북정마을상거리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마을의 중심을 이루는 약 420m 길이의 순환 도로는 1983년에 소방 도로로 완공된 것이다. 이 도로를 따라 500여 가구가 모여 살고 있다. 이 마을의 이름인 **북정(北亭)**은 큰 가마솥에 메주를 끓일 때 나는 '북적북적' 소리와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북적북적'함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조선 시대에 군인들과 그 가족들이 생계를 위해 메주를 만들어 시장에 내다 팔았던 데서 시작되었다. 마을의 가파르고 좁은 골목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