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한국전쟁 중 영국군 참전 배경 및 규모, 주요전투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영국은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였다. 영국군은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낙동강 방어선, 인천상륙작전, 서울 수복 작전, 설마리 전투(임진강 전투), 금성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가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군 참전 규모와 배치영국군은 한국전쟁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병력을 파병한 국가였다.총 파병 규모: 약 56,000명지상군: 제27여단(1950년), 제29여단(1951년) 및 이후 영연방 사단(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연합) 편성해군: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등 총 17척의 함선 배치공군: 제77전투비행대대가 호주군과 함께 작전 수행영국군은 초기에는 소규모 병력으로 참전했으나, 전황이 악화되면서 대규모로 병력을 추가.. 더보기
국채보상운동 "나라 빚을 국민이 갚는다?"지금으로선 상상하기 어렵지만, 1907년 대한제국의 국민들은 실제로 이런 일을 했다.국채보상운동은 대한제국이 외국(특히 일본)에서 빌린 빚을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갚으려 했던 역사적인 경제 독립운동이다. 일본의 경제 침탈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국민이 스스로 나선 최초의 경제운동이었다. 1. 국채보상운동이 왜 시작되었을까?① 대한제국의 빚 1,300만 원, 나라를 위협하다 👇국채보상운동 배경 : 대한제국이 1300만 원의 빚을 진 진짜 이유 국채보상운동 배경 : 대한제국이 1300만 원의 빚을 진 진짜 이유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은 전쟁 수행을 위한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다. 하지만 일본은 자체적인 자금만으로 전쟁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 더보기
한중일 젓가락 문화 : 한국 젓가락만 쇠로 만든 이유 젓가락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식기지만, 각 나라의 식문화, 생활 방식, 음식 조리법에 따라 크기와 형태, 재질이 다르게 발전했다. 단순한 도구가 아닌 전통과 문화가 반영된 식기로, 한·중·일 젓가락의 차이를 살펴보자.  🥢 한·중·일 젓가락 비교 🟠 중국 젓가락 – 길고 둥근 디자인 ✔ 길이: 가장 긴 형태(약 25~27cm)✔ 모양: 둥글고 끝이 둥근 형태✔ 재질: 대나무, 나무,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상아 등 다양   🔹 중국 젓가락의 특징과 이유▶ 공유 문화: 중국 요리는 큰 접시나 냄비에서 음식을 나누어 먹는 공유 문화가 발달했다. 긴 젓가락이 있어야 멀리 있는 음식을 편하게 집을 수 있다.▶ 볶음 요리 중심: 중국 요리는 기름을 많이 사용한 볶음 요리, 튀김 요리,.. 더보기
상애떡 : 제주 전통 발효떡 (제주에서 꼭 맞봐야 할 별미) 제주에는 다양한 전통 음식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오랜 역사와 발효의 깊은 풍미를 간직한 상애떡은 특별하다. 자연 발효 과정을 거쳐 쫄깃한 식감과 은은한 단맛을 내는 이 떡은 과거 제주도민들의 지혜가 담긴 소중한 유산이다. 지금도 제주 곳곳에서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제주 여행 중 꼭 한 번 맛봐야 할 별미로 손꼽힌다.  🥯 상애떡이란?**상애떡(尙艾떡)**은 밀가루 반죽에 술을 넣어 자연 발효시킨 후 쪄서 만드는 제주 전통 떡이다. 발효 과정에서 독특한 풍미와 깊은 맛이 형성되며, 쫀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 ‘상애(尙艾)’의 뜻‘상(尙)’: 높이다, 소중히 여기다‘애(艾)’: 쑥을 의미즉, ‘상애떡’은 ‘쑥을 귀하게 여기는 떡’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제주에서 전통적으로 쑥이 중요한 식.. 더보기
한일협정 (1965), 과연 공정한 협상이었을까? 🔍 한일협정의 배경 ①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의 관계1945년 해방 이후, 대한민국과 일본은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의 피해 배상과 식민 지배의 불법성 인정을 요구했지만, 일본은 이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압박이 커졌다. 당시 미국은 냉전 시대(Cold War) 속에서 한국과 일본이 협력해야 공산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한국 정부에 한일 수교를 적극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② 한일협정 추진 과정1951년: 한일회담 시작 (이승만 정부)1961년: 박정희 군사정권 출범 후 협상 본격화1965년 6월 22일: 한일협정 체결박정희 정부는 경제 개발을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한일협정을 적극 추진했고, 일본은 식민 지배에 대한 법적.. 더보기
🚨 식민지 경제성장론, 식민지 근대화론 과연 사실인가?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의 경제가 성장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를 식민지 경제성장론 또는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일본이 조선에 철도, 공장, 금융 시스템을 도입해 근대화를 촉진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논리는 조선 경제의 실상을 왜곡하는 주장이다. 조선의 경제는 일본의 산업과 전쟁을 위해 조직되었으며, 조선인의 삶은 더욱 악화되었다. 일본이 조선을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조선을 착취하여 일본이 성장한 것이 핵심이다. 식민지 경제성장론이 왜 잘못된 주장인지 자세히 살펴보자. 1. 식민지 경제성장론의 주장식민지 경제성장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펼친다.✔ 일본이 철도를 깔고 공장을 세우면서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조선의 농업이 발전했다.✔ 서울, .. 더보기
동양척식주식회사 : 일제 강점기 수탈 기관 "동양척식주식회사"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회사는 단순한 기업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이 조선을 경제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만든 대표적인 수탈 기관이었다. 일본 정부의 지원을 받아 조선 땅을 강제로 빼앗아 일본인들에게 넘기고, 조선인들의 경제적 자립을 막는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정확히 무엇을 했으며,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설립 배경 1. 일본의 조선 지배 전략일본은 조선을 식민지로 삼은 후, 경제적으로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그중 하나가 토지 수탈과 일본인 이주 정책이었다. 이를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1908년,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 Oriental Development Company)**를 설립했다... 더보기
광무개혁 : 대한제국의 마지막 개혁 🔥 고종, 대한제국을 선포하다1897년, 조선은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일본에 패배하면서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고, 일본과 러시아가 조선을 두고 대립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파천, 1896)했다가 돌아와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국가의 근대화를 목표로 추진한 것이 바로 ‘광무개혁(光武改革)’**이다.   광무개혁은 일본·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고 대한제국을 독립된 근대 국가로 만들기 위한 개혁이었지만, 결국 일본의 방해와 내부 한계로 인해 완전히 자리 잡지 못했다. 🔥 광무개혁의 주요 내용📌 1. 정치 개혁 – 황제 중심의 국가 운영✔ 대한제국 선포(1897) → 조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