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독일 프랑스에 콩피에뉴 협정, 베르사유 조약 복수하다. 144-2 [이전글] 마지노선 , 낫질작전 : 제 2차 세계대전 프랑스가 독일에게 점령당한 이유 144-1  제 2차 세계대전 중 프랑스는 나치 독일에게 단 6일만에 점령당한 후 굴욕적인 협정 조약을 맺게 된다. 당시 프랑스 총리는 국가적 피해를 줄이려면 휴전 협정이 실리적이라고 판단했고 불과 6주 만에 나치 독일에 사실상 항복선언과 같은 휴전협정을 제한한다. 당시 총리는 필리프 페탱으로 1차 세계대전때 프랑스를 위기에서 구한 군 총사령관이었는데 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으로 프랑스인들의 절대적 신뢰를 얻고 있었다.    히틀러의 휴전 협정 조건 또한 1차 세계대전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이미 겪어 봤던 대다수의 프랑스인들도 이를 지지했고 받아들였다. 총리 페탱의 제안에 히틀러는 제안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1.. 더보기
한강의 기적이라 부르는 이유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은 사실 독일이 라인강의 기적을 표절한 것이다. 제 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전을 하고 황폐한 도시에서 강대국으로 발돋움을 한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독일과 같이 6.25 전쟁 이후 라인강의 기적을 따라 한강의 기적을 이뤄보자고 한 것이다.   그러나 독일은 원래 강대국이였고 한국은 식민지였기에 출발 자체가 달랐다. 한국 전쟁이 끝나고 우리나라는 최빈국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남한 1인당 국민총소득은 67달러 (1년간 총소득 한화 약 8만 7천원)였다. 현재는 38,000 달러이다. 70년만에 이뤄낸 엄청난 경제성장인 것이다. 피식민지에서 선진국 반열로 일어난 국가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한국전쟁 직후 북한이 더 잘살았다?  한국전쟁 직후는 북한이 더 잘살았다.  일제.. 더보기
저항의 상징 : 프랑스 레지스탕스 탄생 배경 144-3 1939년 독일의 히틀러는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으로 제 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고 1940년 4월 덴마크와 노르웨이 침공, 5월에는 네덜란드, 룩셈부르크까지 침공하며  희생자만 약 7000만 명을 낳는다.  이때 프랑스는 히틀러에 의해 단 6주 만에 무너지며 유럽에 충격을 안겨준다.   레지스탕스 등장 제 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은 자유, 인권, 풍요로움의 나라였던 프랑스의 자부심은 무참히 짓밟히게 된다.  나치 독일군이 프랑스를 점령한 1940년 말 자크 봉세르장이 나치 독일군과 몸싸움이 벌어졌는데 이 일로 체포되어 교도소에 수감된 그는 사형 선고를 받고 총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이후로도 프랑스인을 향한 탄압은 점점 심해지게 된다.  프랑스 역사상 최악의 수모를 당하던 이때 프.. 더보기
마지노선 , 낫질작전 : 제 2차 세계대전 프랑스가 독일에게 점령당한 이유 144-1 프랑스가 방심한 이유  1. 마지노선 제 2차 대전 히틀러는 프랑스 침공당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아르덴 숲을 지나 침공했다.  프랑스는 마지노선을 지나 올것이라고 생각해 만반의 대비를 하고 있었다. 마지노선은 철통방어를 자랑하는 요새였고 프랑스가 나치 독일과 전쟁에 대비하여 프랑스 독일 국경에 설치한 대규모 요새 지대이다.   마지노선은 당시 프랑스 전쟁부 장관인 앙드레 마지노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제 1차 세계 대전에서 약 130만 명의 전사자가 나온 프랑스는 다시 전쟁이 발생했을때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했던 것이다.    당시 돈 약 160억 프랑 한화로 약 3조 5000억 원을 들여 독일과 마주보는 국경지대에 350km 에 달하는 대규모 요새지대 마지노선을 건설했다.   마지노선 내부에.. 더보기
프랑스 아르덴 어떤 곳? 아르덴은 벨기에, 룩셈부르크 3국에 걸쳐있는 산악지역이다. 울창한 숲을 자랑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생태계를 이루는 곳이다. 아르덴은 험준하기로 소문이 나있던 곳이고 히틀러가 프랑스를 공격하기 위해 선택한 곳이 바로 아르덴이다.    아르덴 숲은 8, 9세기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부터 제 1차, 2차 세계대전 당시 이곳을 차지하기 위한 유럽의 격전지였다. 이곳을 지나가야하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제 2차 세계 대전 프랑스 공격의 시발점 아르덴   아르덴은 험준하기로 악명높은 산악시대로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있어 당시 병력이 이동할 장소로 접합하지 않았던 장소였다. 그래서 프랑스는 나치 독일군이 아르덴으로 침공할 것이라 예상하지 못했다.    아르덴에서 빠질수 없는 투어가 삼페인 하우스 투어.. 더보기
조선시대 형벌 종류 및 무슨 죄를 지으면 ... ※ 조선시대는 중국 명나라의 대명률을 따라 다섯가지 형으로 나뉘었다.   태형가장 가벼운 죄(경범죄, 가벼운 절도,도박,음주, 폭행) 를 지은 경우로 물푸레나무로 만든 매를 사용해 10~50대까지 다섯 등급으로 나눠 둔부를 치는 벌이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길들이기 위해 흔히 사용되었으며 1920년까지 존재했다.  장형 태형보다 무거운 죄를 지은 경우(심각한 절도, 폭행구타,간통, 위조, 뇌물 수수등)로 60~100대까지 다섯등급으로 나눠 둔부를 치는 벌로 곤장 10대를 맞으면 살점이 심하게 떨어져나가고 그것이 회복되기까지는 한 달이 걸린다.  태형, 장형 모두 죄인의 엉덩이를 노출해 대수를 세어가며 매를 쳤지만 부녀자의 경우는 노출 시키지 않았고 70세 이상의 노인, 15세 이하의 어.. 더보기
아랍의 봄 : 원인 , 각국의 전개 상황, 결과 아랍의 봄이란  2010년 말부터 2012년 초까지 중동과 북프리카 전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그리고 무장 반란을 일컫는 용어이다.  아랍의 봄 원인아랍의 봄을 촉발하게 했던 아랍의 나라에는 몇 가지 공통된 주제가 있었다. -경제적 어려움: 높은 실업률, 특히 청년 실업률과 경제적 불평등이 주요 원동력-부패: 만연한 부패와 투명성 부족이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정치적 억압: 대부분의 정권이 수십 년 동안 통치하면서 정치적 반대나 표현의 자유가 거의 없었다.-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플랫폼은 시위를 조직하고 정보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튀니지 재스민 혁명 아랍의 봄 촉발하다.아랍의 봄은 2010년대 초반에 아랍 세계에서 일어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더보기
재벌의 시작 어제부터? 왜? 재벌 형성 배경 한국전쟁 직후 우리나라는 미국의 원조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원조 또한 50년 후반에 끊어지게 되면서 우리나라는 1960~1970년 자본, 자원이 부족했던 시기로 정부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세워 산업화를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재벌의 기초가 형성된다.  소수의 기업을 선발해서 집중 지원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박정희 정부는 "재벌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는 인식을 계속적으로 주입시켰고 그로 인해 소수의 기업은 정부의 주도아래 빠르게 성장하게 된다. 이 시기에 성장한 대표적인 재벌이 삼성, 현대, LG (당시 락희 화학), SK(당시 선경) 등이 있다.  재벌의 시작 정부는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을 위해 대기업에 저금리의 대출을 제공하고 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부여했다.. 더보기
튀니지 재스민 혁명 아랍의 봄 촉발하다. 아랍의 봄은 2010년대 초반에 아랍 세계에서 일어난 일련의 반정부 시위, 봉기, 무장 반란을 의미한다. 아랍의 봄을 촉발한 사건은 튀니지에서 시작된다.    재스민 혁명 배경튀니지 혁명을 재스민 혁명이라고 부르는데 튀니지의 나라 국화가 재스민이 때문에 재스민 혁명이라고 부른다.  재스민 혁명이 일어나기 전 튀니지는 사회, 경제적으로 문제가 많았다. 높은 실업률,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높은 실업률은 심각한 문제였다. 많은 청년들이 교육을 받았으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고 이는 큰 불만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정부의 부패와 권위주의적 통치, 표현의 자유 및 정치적 자유가 없었던 독재 체제였기 때문에 대중의 불만은 쌓여가고 있었다.  촉발 사건 2010년 12월 17일 튀니지 국민을 분노케 한 한 사건이 발.. 더보기
민주주의란 무엇? (기원, 민주주의 반대말 ) 민주주의 기원 민주주의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 아테네였다. 기원전 5세기 도시국가 아테네에서 민주주의가 출현했다. 이때 DEMOS(민중)+KRATIA(권력) 그래서 민주주의 의미 Democracy 는 민중 권력이라는 뜻이다. 그전에  왕, 귀족들이 통치하던 것을 평민들이 들고 일어나서 그들의 권력을 무너뜨리고 모두가 참여(노예, 외국인, 여자는 제외: 당시 아테네 여자는 일종의 재산) 하여 민주주의를 만들었다. 당시 순수 아테네 시민 성인 남자 중 10개의 행정구역에서 50명씩 추첨 500명의 시민 대표를 구성하여 전쟁 선포, 인사임명, 범죄 재판 등을 500명이 투표로 국가의 대소사를 결정했다. 그래서 아테네 민주주의는 현재 민주주의와 다르다. 최초의 민주주의는 이념체제가 아닌 아테네의 특수 정치체제라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