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ld History

맨해튼 프로젝트란? 원자 폭탄 = 핵폭탄 개발 과정/현재 핵 보유국은?

반응형

 

 

나치보다 먼저 원자폭탄을 만들어야 된다. 원자 폭탄은 농축이 어렵지 우라늄 원료만 있으면 어느 나라든지 만들 수 있다.그래서 IAEA? 가 우라늄 원료를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북한은 우라늄 광산이 있다. 콩고, 러시아등 여러 나라에 우라늄 광산이 존재한다. 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킨 원자폭탄 개발 과정 및 이후의 상황에 대해 확인해 보자..

 

핵 물질은 크게 우라늄플루토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물질을 다루는 능력은 핵무기 보유와 직결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핵 물질의 '원료'를 가지고 있는 나라와 '핵무기 제조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보유한 나라는 구분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1. 우라늄 매장 및 생산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의 주요 연료이자 핵무기의 원료가 되는 광물입니다. 전 세계 우라늄 매장량은 여러 나라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요 매장 및 생산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장량 순위 (2025년 기준, 대략적인 순위)
    • 호주
    • 카자흐스탄
    • 러시아
    • 캐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생산량 순위 (2025년 기준, 대략적인 순위)
    • 카자흐스탄
    • 나미비아
    • 캐나다
    • 호주

이 국가들은 우라늄 광물을 채굴하여 수출하거나 자체적으로 사용하지만, 이 자체로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핵무기 제조에는 '고농축 우라늄'이 필요하며, 이는 고도의 기술과 시설을 필요로 합니다.

2. 플루토늄 보유 및 재처리

플루토늄은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얻는 물질로, 핵무기 제조에 직접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핵무기 비보유국 중에서도 플루토늄을 보유한 나라들이 있는데, 이는 주로 원자력 발전을 위한 '핵연료 주기' 정책 때문입니다.

  • 핵무기 보유국: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등은 핵무기를 위해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핵무기 보유국 중 플루토늄 보유국:
    • 일본: 일본은 미-일 원자력 협정에 따라 비핵무기 보유국 중 유일하게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를 통한 플루토늄 생산이 허용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상당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기도 합니다.
    • 기타 국가: 독일, 벨기에, 스위스 등도 소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맨하탄 프로젝트 속 핵폭탄(핵무기) 개발 과정

 

맨하탄 프로젝트 속 핵폭탄(핵무기) 개발 과정

현재 세계 핵무기 보유 추정치는 만 이천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독일의 나치즘이 극에 달할 무렵 개발된 핵폭탄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일본에 투하되었다. 뉴욕

jangane.tistory.com

 

아인슈타인은 핵 개발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과학자로 유명했지만 반전 운동가했던 아인슈타인은 핵무기 개발 참여는 그의 평화주의적 성향과 맞지 않는 일이었다. 실제로 1차 세계대전 독일이 전쟁을 일으키자 독일 국적의 아인슈타인은 전쟁 반대 성명을 내고 국적을 포기한다. 그리구 나중에 스위스 학교를 다닌 뒤 스위스 국적을 얻게 된다. 그 후 독일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서 고등연구소(IAS)에 자리잡으며 미국 국적을 취득하게된다.

 

아인슈타인은 독일 국적의 유대인

 

 

[벌거벗은 세계사 116회 이야기]

 

오펜하이머 : 원자폭탄의 아버지는 스파이였다!?

전세계 핵보유국은 총 9개국뿐이다. 그러나 2022년 이들 나라가 보유한 핵무기의 보유량은 무려 약 12705기가 되었다. 이모든 것의 시작은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주역이자 인류의 역사를 바

myvoice.wissue.net

현재 핵 보유국가는? 원자폭탄 개발에 아인슈타인의 관여도 얼마나?

 

현재 핵 보유국가는? 원자폭탄 개발에 아인슈타인의 관여도 얼마나?

[선을 넘는 녀석들 마스터 3회 중] 전 세계 중 가장 핵 위기에 처한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이다. 특히 최근에 미국과 북한의 갈등 관계가 고조되고 있으며 핵을 보유하고 있는 두나라를 전 세계가

jangane.tistory.com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따른 공식적 핵보유국

핵확산금지조약(NPT)은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해 1970년에 발효된 국제 조약입니다. 이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나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 러시아 (구 소련)
  • 영국
  • 프랑스
  • 중국

2. NPT 비가입 및 핵보유 선언국 (비공식적 핵보유국)

이 국가들은 NPT에 가입하지 않았거나 탈퇴한 후 핵무기를 개발했거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인도
  • 파키스탄
  • 북한
  • 이스라엘 (공식적으로 핵보유를 선언하지는 않았으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국가는 총 9개국입니다.

참고로, 과거에 핵무기를 보유했다가 포기한 국가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은 구 소련 해체 이후 소련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NPT에 가입하며 모두 포기했습니다.

 

히로시마 원자폭탄 탄생 투하 배경 및 티니안 섬 속 원폭 적하장

 

히로시마 원자폭탄 탄생 투하 배경 및 티니안 섬 속 원폭 적하장(45)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5회] 오늘의 탐사지: 티니안 섬 원자폭탄 적하장 주제: 원자폭탄 탄생과 투하 배경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탄생 1905년 을사늑약이 있던 해에 아인슈타인은 세계를 뒤흔

jangane.tistory.com

▼냉전시대 국면 전환 (스파이, 수소폭탄 개발 , 대리전쟁, 우주전쟁)

 

냉전시대 국면 전환 (스파이, 수소폭탄 개발 , 대리전쟁, 우주전쟁) 2.

1. 쩐의 전쟁 냉전 시대 이전 상황과 시작 (철의 장막, 마셜플랜, 베를린 봉쇄) 냉전 시대의 새로운 국면 전환 2. 스파이 전쟁 1949년 8월 29일 소련이 원자폭탄을 개발한다. 그전까지는 미국만 원자

jangane.tistory.com

* 냉전이란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또 다른 종류의 전쟁이라는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