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Here

강화도 초지진, 광성보 이야기 (손돌목, 용두돈대 등)

반응형

강화도가 천혜의 요새인 이유

몽골의 잦은 침략에 시달렸던 고려, 고려시대때의 수도는 개성(개경)이었다. 육지에서는 몽골을 대적하기 힘들었다. 레그니차 전투 등 유럽조차 공포로 몰았던 기마 전투력을 가진 몽골이었다. 
 

 

그러나 몽골족은 바다 경험이 없어 상대적으로 해상 전투력이 취약했기 때문에 바다로 유인하려고 1232년 최우 (무신정권의 집권자)는  강화도로 수도를 몽골 침입 시 강화도로 천도 결정하고 고려 39년 동안 고려의 수도가 되었다. 이때는 왕보다 군인의 힘이 더 영향력이 있었다. 
 
강화도가 천혜의 요새인 또 다른 이유는 사방이 갯벌이다.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배의 접근이 어려웠다. 배를 댈 수 있는 곳이 정해져 있었고 그곳에 집중해서 초소를 집중 배치를 한다. 그 초소를 바로 돈대라고 부른다. 

 

병자호란 이후 강화도에서 삼전도의 굴욕을 겪는 인조와 이를 지켜본 인조의 아들, 효종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겠다고 결심한다. 만약 청나라를 공격했을 때 전시 상황에서 피신할수 있는 곳은 강화도였고 효종 9년(1658)에 광성보를 설치한다.
 
사적 제227호 :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격전지 1.2회 광성보 전투신에 나왔던 곳이기도 하다.

 

광성보 내부 지도 

 

 

쌍충비각 안에는 광성보 전투에서 순국한 어재연 장군 형제의 넋을 기린 비와 당시 순국한 군인의 충절을 기리는 49명의 명단이 있는 순절비가 있는곳이다. 

그 후 숙종때 초,소, 돈대(=침입으로부터 방어,보호 시설)를 만들기 시작해서 돈대만 54개에 이른다.

 

 

돈대, 보, 진 

돈대는 땅을 평평하게 쌓아서 성을 쌓아 만든 일종의 소대 규모의 인력이 배치되는 초소와 비슷한 곳이다. 보는 중대규모, 군사 주둔지, 진은 대대 규모 군사 주둔지이다. 그래서 하나의 보 안에도 여러 개의 돈대가 있을 수 있다. 강화도에는 5진 7보 53돈대가 설치되어 있다. 

 

돈대

 

강화도는 서울의 한강이 서해로 나오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모든 세금, 공납의 배들이 한강보다 폭이 좁은 강화해협을 통해서 들어왔고 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좁은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방어기지를 설치했다. 강화도로 들어오는 입구에 위치한 김포 문수산성, 강화도쪽 초지진이 가장 중요한 곳이다. 

 

초지진

강화도 초지진은 사적 제225호로 강화를 지키던 1차 방어기지였다. 현재는 돈대만 남아있다. 

 

 

광성보 

두번째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는 광성보이다. 광성보는 사적 227호로 손돌목 근처 방어시설이자 신미양요의 격전지였다. 광성보에 가면 초지진까지 모두 보인다. 빠른 유속이 적의 진격을 늦출수 있어 적에게 포를 쏘기 용이한 지형이다.1866년 흥선대원군의 천주교금압령으로 일어난 병인양요때만 해도 프랑스군도 처음에는 물길을 파악하는데만 그쳤다. 

 

광성보

 

이후에 1866년 7월 제너럴셔먼호 사건으로 신미양요가 일어나게 되고 미국은 강화도 초지진 공격을 시작으로 광성보 쪽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미국은 광성보를 해상과 육지로 들어와 함대의 포격과 함께 육지전을 병행한다. 이때 광성보를 지키던 수비군이 전멸한다.

 

서양의 성들은 철통방어 으리으리하다. 반면에 조선의 성벽이 낮은 이유는 해안가 절벽 자체가 성벽이였던 셈이다.

 

그리고 화약 무기가 발전하면서 높은 성벽은 오히려 무너뜨리기 쉬운 타켓이 된다. 그래서 성벽이 낮아지고 두꺼워 진다. 
 

 

 

손돌목 (우리나라에서 물살이 가장 센 곳으로 유명)

 

 
용두돈대 (=사두돈대)
 원래는 뱀의 머리모양처럼 생겼다고 하여 사두돈대였는데 뱀머리보다는 용머리이 낫다고 하여 조선후기 이름을 변경했다는 설이 있다.
 

 

광성보에서 보이는 초지진

 

청나라등 외세가 내륙으로 침입해 올 것이라 예상하고 방어용 시설을 구축했으나 서양이 바다를 통해 침입해 올 것은 예상치 못했다. 19세기에 미국, 프랑스의 예상치 못한 공격로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신미양요, 병인양요때 프랑스와 미국의 공격 방향
 
프랑스는 중국에서 강화도로 이동 (병인양요 1866년)
미국은 일본 나가사키에서 함대를 집결했다.  (신미양요 1871년)

 

 

*미스터 션사인 촬영지 강화도 광성보 전투 (어재연 장군과 신미양요 이야기)

 

미스터 션사인 촬영지 강화도 광성보 전투 (어재연 장군과 신미양요 이야기)

[선을 넘는 녀석들 한반도 1회] 오늘의 탐사지: 강화도주제: 신미양요 출연자: 설민석     드라마 의 격전지 1.2회 광성보 전투신에 나왔던 곳이기도 하다.   광성보 내부 지도   쌍충비각

jangane.tistory.com

 

 

 

광성보에는 광성보 전투 전사자 중 신원을 알수 없던 51명을 기리는 묘를 마련해 놓았다. 

 

신미순의총
점령당한 돈대

 

어재연 장군 수자기 

당시 어재연 장군이 지키고 있었고 조선은 어재연 장군을 포함 대부분의 군사가 사망했다. 이때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총지휘관의 본영에 꽂던 깃발)도 빼앗긴다. 이 수자기는 미군 애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보관하던 것을 돌려받지 못하고 2007년부터 장기 대여의 형태로 국내에 보관 중이다. 강화역사박물관에 있는 것은 복제품이고 진품은 강화전쟁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수자기

 

미국은 1854년 군함을 통한 위협으로 일본을 개항시킨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조선은 일본보다 못한 나라라고 생각해 쉽게 개항이 되리라 생각했으나 예측 못한 조선의 강한 저항에 미군은 물러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