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우리나라 조선업 역사 : 현대 울산 조선 1970년대 초 박정희 대통령은 중화학 공업화를 결심한다. 조선 산업은 우리 삶과 밀착되어 있다. 모든 수출, 수입품을 실어 나르는 것이 배다. 화물 운송의 대부분 90% 이상이 배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조선이다.. 조선업 민간사업된 이유 박정희 대통령 이전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조선공사를 1950년 1월 국영기업으로 출범시킨다. 이승만 대통령은 조선 산업에 관심이 많았다. 이유는 미국은 공군과 해군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시 제2차 세계대전 때 퇴역한 배를 사 왔다. 대한조선공사를 만들고 6개월 만에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이후 1862년 대한조선공사를 공기업으로 경영하게 되고 이에 일본에 222만 달러의 차관을 요청한다. 그러나 1.. 더보기
포니 자동차 역사 : 우리나라 첫 국산차의 시작 (역사저널 400회)* 1973년 중화학 공업화가 선언된다. 박정희 대통령은 철강, 조선등과 함께 자동차 공업 육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그 결과 1년 뒤 1974년 10월 대한민국 자동차의 시작 '포니'가 탄생한다. 포니 이전에는 해외 차종을 수입, 조립한 국내 자동차 회사들이 대부분이었다. 포니가 국산차의 포문을 열었다.  포니 자동차 기록식민 지배를 당했던 국가들의 꿈 중 하나는 자신의 고유한 브랜드를 갖는 것이다. 당시 첫번째 포니 출고 가격은 227만 3270원이었다.  출시 첫해 약 1만 726대의 판매 기록을 세웠다. 당시 시장 점유율 43.6%에 달한다. 그 다음해에는 54.1%로 급상승한다. 거리에 돌아다니는 차 중에 반은 현대 포니였다는 얘기다. 처음에 만들때 80%가 국산화되었다. 현대 국산 자동차 생산 프.. 더보기
월미도 놀이기구가 많은 이유 미국 뉴욕에 코니 아일랜드가 있다. 코니아일랜드와 월미도는 너무 비슷하다. 미국 역사상 코니아일랜드의 전성기 1920년이고 월미도 또한 1920~30년대가 전성기였다.   *대관람차는 조지 워싱턴 게일 페리스 주니어라는 사람이 처음 만들어 페리스휠(Ferris wheel) 이라 부른다. 월미도의 전성기 1920~30년대는 일제 강점기 문화통치 기간에 해수탕, 물놀이장, 호텔 등 유원지로 각종 오락 시설을 월미도에 만들었다. 일종의 테마파크였다.   경인선 철도가 1899년 개통이되면서 한양 경성역에서 기차를 타고 인천까지 와서 월미도의 해수욕 사우나를 하고 식사하고 막차 10시를 타고가면 돌아갈때 옆자리,앞자리, 뒷자라 모든 사람이 사우나에서 홀딱벗고 만났던 사람들였다는 기록이 있다.   월미도와 코니아.. 더보기
우리나라 최초의 호텔 / 최초의 극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극장 최초의 근대식 호텔 :대불호텔 인천의 근대화 거리는 역사의 흔적이 남은 건물들이 즐비하다. 최초의 근대식 호텔 대불호텔이 있던 자리에는 터만남아 있고 박물관을 만들어 터만 확인 가능하다. 1888년 일본인 해운업자가 개관한 대불호텔은 건물은 중식당을 거쳐 사라졌다가 2018년에 터 위에 전시관으로 복원했다. 아펜젤러 감리교 선교사, 언더우드 장로교 선교사들의 당시 기록은 우리나라가 더려웠다는 것이 대부분인데 초현실적으로 옷은 모두 새하얗던 당시 조선인들이라고 기록한 내용이 있다. 인천에 최초의 호텔이 만들어진 이유는 대불호텔은 인천에서 서울을 가려면 하룻밤 묵을 곳이 필요했고 그래서 만들어진 호텔이 대불호텔이다. 이것을 보면 우리나라는 아직 개항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 더보기
인천상륙작전 속 월미도에서는 무슨일이? (팔미도, 월미도 작전) →이전글 보기   6.25 전쟁의 터닝 포인트 인천 상륙작전은 작전 자체가 위험한 작전이었다. 보급이 어려운 작전에서 적진의 한복판으로 돌격하여 수만 명의 군인이 생존해야 하는 것이다. 모두가 반대했던 위험천만한 작전이었고 성공했기 때문에 20세기 역사상 최고의 군사 작전이라 불리며 열세에 있었던 6.25 전쟁의 판을 단숨에 뒤집은 작전이다. 1950년 6월 25일 전쟁 발발 7월 한달만에 영토의 대부분을 침략당한 남한이다. 최후의 방어선 낙동강 전선에서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고 UN 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전세를 역전시킬 새로운 계획을 준비했다.   2단계로 진행된 인천상륙작전 수도인 서울을 빨리 탈환하려면 인천으로 상륙해야 한다. 그래서 미 해병대와 한국군 75,000명의 병력이 인천으로 .. 더보기
장녹수 연산군의 총애를 어떻게 얻었나? 그녀의 최후는? 70 조선 왕조 10대 왕이자 폭군의 대명사 연산군의 후궁이었던 장녹수는 궁궐에 들어오기 전 기생이었다. 기생 장녹수는 어떻게 폭군 연산군의 마음을 얻었을까? 1502년 연산군 8년은 연산군의 폭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이다. 연산군은 조선팔도 춤, 노래, 미녀를 색출해 궁궐로 불러들여 음주, 가무를 즐기려 했던 것이다. 이런 가무기생들에게 '운평'이라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운평 중에서도 뛰어난 이들을 선별해 '흥청'이라고 불렀다. 장녹수는 운평으로 뽑히는 과정 없이 바로 흥청이 된다. 당시 연산군은 예술에 있어서 누구보다 예민한 눈과 귀를 가진 왕이었기 때문에 타고난 감수성이 풍부했던 연산군은 자신의 시집을 내기도 하고 가면을 쓰고 추는 처용무에도 능했다. 그래서 자기처럼 예술적 기질이 뛰어난 장녹수에게.. 더보기
경부 고속도로의 탄생 배경 박정희 대통령은 60년대 초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중화학 공업 육성을 위해 미국에 차관을 요청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절한다. 이에 투자를 받기 위해 독일을 방문했는데 독일의 고속도로와 차를 보며 자동차 산업 육성을 결심하게 된다.  강한 국가의 상징인 것이다. 이때는 북한과 경쟁을 하던 시절이었는데 먹고 살기 힘든 시기였으므로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는데도 반대가 심했던 시절이다.   독일의 아우토반은 히틀러가 독일의 경제부흥을 위해 1930년대부터 건설한 대규모 고속도로로 전후 자동차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을 견인하며 라인강의 기적의 기반이 되었다.  이 독일의 아우토반을 기반으로 온 국민의 생활을 바꿔 놓은 새로운 길의 탄생, 서울 서초구 ~부산 금정 구간의 경부고속도로로 국토 대동맥으로 불린다... 더보기
장진호 전투 : 20세기 최초 미국과 중국의 격돌 (114 -4) 이전내용 6.25 전쟁 : 미국 소련의 최초의 제트 전투기전 114 -3 6.25 전쟁 발발 후 1950년 7월 1일 한국에 주일미군을 급파했고 7월 8일 영국, 호주, 튀르키예 등에서 유엔군이 합류하게 된다. 6.25 전쟁 때 유엔 깃발을 꽂고 들어온 국가는 16개 국가고 1953년까지 34 jangane.tistory.com 20세기 최초 미국과 중국의 격돌 장진호 전투는 함경남도 장진강을 댐으로 막아 생긴 인공호수 장진호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11월 26~12월 13일까지 17일간 벌어진 전쟁이다. 1950년 미 해병 1사단은 장진호 근처에서 중국군 12개 사단에 포위당하게 된다. 문제는 중국군은 약 12만 명에 달했고 미군은 3만 명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은 미군 지휘부가 대규모 중국군이 한반도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