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교에서 배운 연도 표기, BC와 AD. 그런데 요즘 뉴스나 책에서는 CE, BCE라는 단어가 더 자주 보이지 않나요?
‘왜 갑자기 바뀐 거지?’ 라는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그 차이는 단순히 **‘종교 중심 vs 중립적 표현’**의 차이라고 보면 쉬워요.
그럼 정확히 언제부터, 왜 바뀌었을까요? 의미와 배경을 함께 살펴볼게요.
📌 BC vs BCE, AD vs CE 뜻과 기원
▶ BC (Before Christ)
- 의미: ‘예수 그리스도 이전’이라는 뜻
- 기원: 중세 유럽에서 기독교 중심의 연도 체계를 만들면서 등장
- 예: BC 500년 → 예수 태어나기 500년 전
▶ AD (Anno Domini)
- 의미: 라틴어로 ‘주님의 해(In the year of the Lord)’
- 기원: 525년, 수도사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우스(Dionysius Exiguus)가 부활절 날짜 계산을 위해 도입
- 예: AD 2025년 → 예수 태어난 후 2025년
❗ AD는 연도 앞에, BC는 뒤에 붙는 게 원칙이었어요
(예: AD 500, 500 BC)
📌 BCE vs CE는 무엇이 다른가요?
▶ BCE (Before Common Era)
- 의미: ‘공통 시대 이전’
- 특징: 기독교와 관련 없는 중립적 표현
- 예: BCE 500년 → BC 500년과 같은 연도지만 표현만 다름
▶ CE (Common Era)
- 의미: ‘공통 시대(Common Era)’
- 배경: 종교나 문화 차이를 배제하고 보편적인 시간 개념을 만들자는 학문적, 사회적 흐름에 따라 사용 확대됨
- 예: CE 2025년 = AD 2025년
💡 중요 포인트
👉 BC = BCE, AD = CE → 기준 연도(예수 탄생)는 동일
👉 단지 표현만 다르며, 숫자는 같다
📌 왜 CE/BCE가 더 많이 쓰일까?
- 20세기 후반부터 역사학계, 고고학계, 교육계 중심으로 확산
- 다양한 종교,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데 있어 종교 편향이 없기 때문
- 유엔(UN), 유네스코(UNESCO) 등 국제 기구에서도 CE/BCE 사용을 권장
- 2000년대 이후 교과서, 백과사전, 논문 등 대부분의 학술 문서도 CE/BCE 사용
🔍 최근 대한민국의 교과서도 BCE/CE 체계 사용 중
2022 개정 교육과정부터 초등, 중등 사회·역사 교과서 모두 CE/BCE 사용
📌 서양문화와 비교하면?
기독교 문화권 중심인 서양 전통 사회에서는 오랫동안 BC/AD를 고수
하지만 미국, 영국 주요 대학 및 학술지도 현재는 거의 CE/BCE 사용
특히 유대교, 이슬람권, 불교권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중립적인 용어로 더 선호돼
📚 예시:
- 영국 BBC 다큐멘터리 → “BCE/CE 체계로 연도 표시”
- 미국 대학 역사 교재 → “기본적으로 CE/BCE 사용 권장”
✅ 정리 한줄 요약
BC/AD는 기독교 중심,
BCE/CE는 종교 중립 표현이며,
연도 자체는 같고, 표현만 다르다.
반응형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문세족 이야기: 뜻, 횡포, (0) | 2025.04.05 |
---|---|
통일신라 주령구, 1200년 전 술자리에서 던진 주사위 (1) | 2025.04.05 |
태권도의 유래와 역사 정리 : 한국 무예에서 세계 스포츠로 (0) | 2025.03.30 |
스티븐스 저격 사건: 해외에서 벌어진 항일 독립운동의 시작 (0) | 2025.03.15 |
인천 이야기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