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속 이순신: 논란과 상징의 얼굴
광화문 광장: 2022년 8월 6일 새롭게 단장한 서울의 광화문 광장은 이순신 장군에게 바쳐진 웅장한 기념 공간이다. 우리나라 100원 동전에는 이순신 장군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이 초상화는 정부가 지정한 표준 영정이다. 그러나 이 얼굴이 과연 이순신 장군의 실제 모습인지는 여러 논란이 있기도 하다.

역사 기록을 보면 그의 외모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다. 어떤 기록에는 그가 말이 적고 단아한 선비 같았다고 적혀 있고, 또 다른 기록에는 키가 크고 용기 있으며 붉은 수염을 가졌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이순신 장군의 다양한 면모를 상상하게 한다.


흥미로운 점은 100원 동전의 이순신 장군과 500원 동전의 학을 비교하며 그 위상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기도 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화폐 가치와 인물의 위상은 같지 않다고 설명한다. 100원 동전이 가장 널리 사용되기에 가장 존경받는 인물인 이순신 장군을 새겼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이순신 장군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거북선이다. 거북선은 1966년 발행된 5원 동전 등 여러 화폐에 등장하기도 했다.
정주영회장 일화 : 1960년 한국 조선업계는 세계시장 점유율 1%도 못 미치는 시기였다.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그룹의 창업주 정주영 회장이 1970년대에 영국 은행에서 약 510억 원의 대규모 선박 건조 차관을 얻을 때, 한국의 조선 능력 및 기술 수준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다음해 다시 1971년 은행의 영향력 있는 사람을 찾아갔는데 역시 반응이 냉담했다. 이때 5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거북선을 보여주며 "우리의 거북선은 영국의 철갑선보다 300년 앞선 1500년대 만들어졌다" 산업화가 늦어져 아이디어가 녹슬었을 뿐 다시 한번 시작하면 잠재력이 분출될 것이라고 설득했다는 유명한 일화도 있다.
화폐가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좋은 예시이다.

이순신 동상과 주변 시설
광화문 광장 투어 ( 이순신 장군 ) 1
이순신 장군 동상과 광화문 광장이순신 장군 동상은 50년 넘게 광화문 광장을 지키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이다. 1968년 4월에 건립된 높이 17m의 청동 동상은 광화문 사
myvoice.wissue.net
이순신 장군의 서울 연고와 충무로
생가터: 이순신 장군은 1545년 4월 28일 서울 중구 건천동에서 태어났다. 비록 그는 어린 시절 외가가 있는 충남 아산으로 이사했지만, 서울시는 그의 생가터로부터 100m 떨어진 명보아트홀 앞에 작은 표석을 설치하여 이를 알리고 있다.
충무로(忠武路): 이 유명한 서울의 거리는 이순신 장군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1890년대 청일전쟁 시기에 전쟁을 빌미로 일본인들이 정착해서 살고 있었다. 그러다 1910년 조선은 일본에 강제 병합된다. 일제 강점기에 충무로는 일본인들이 정착한 지역 중심가라는 뜻의 혼마치라고 불렸고 1945년 해방이 되자 일본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외적을 물리친 영웅인 이순신 장군의 시호인 '충무'를 따서 '충무로'로 개명되었다.
한국 우리나라 지폐 속 위인들 2 ( 천원짜리 이황 )
한국 화폐 속 퇴계 이황 선생 이야기여러분, 한국의 1,000원권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조선 시대의 위대한 학자, 퇴계 이황 선생이다. 그는 우리나라 성리학의 큰 줄기를 이룬 분으로, 그의 삶
jangane.tistory.com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성계가 조선의 수도를 한양을 선택한 이유( 한양천도 / 수도천도 ) (0) | 2025.08.22 |
---|---|
혜화문 역사 : 혜화동이 연극의 중심이 된 이유 (1) | 2025.08.18 |
정명공주 이야기 : 그녀의 후손은 누구? (0) | 2025.07.31 |
치악산 이야기: 꿩의 보은 설화와 산의 유래 (0) | 2025.07.31 |
무교동 이야기 (무교동 이름 기원) (1)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