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ld History/벌거벗은 세계사

캐럴 (= 케롤: Carol) 역사 131-3

캐럴의 어원은 옛 프랑스어로 둥글게 춤춘다는 의미인 Carole 그리스 헬라어로 피리 연주에 추는 춤이라는 Choraulien 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캐럴의 시작은 축제에서 춤추기 위한 음악이었다. 

 

 

캐럴이 본격적으로 유럽에서 유행하게 된 계기는 1223년에 아시시의 성 프랑치스코가 예수가 태어난 것을 기리기 위해 마구간 앞에서 춤추면서 노래한 것이 민간에서 캐럴로 불리며 집집마다 찾아다니는 행사가 퍼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지금의 크리스마스 캐럴의 형태로 바뀐 시점은 불명확하다. 마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하면서 개신교에서는 가톨릭의 음악을 불신했다. 오르간을 포함해 가톨릭 음악을 악마의 음악으로 비판하기까지했었다. 그러나 마틴루터가 캐럴에 대한 음악의 인식을 바꾼다. 이후 개신교에서 캐럴로 다양한 찬송가를 만들어 부르기 시작한다. 1719년 영국에서 성격 내용을 바탕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캐럴 '기쁘다 구주 오셨네'  , 1818년 오스트리아에서는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을 작곡했고 1924년 프랑스에서는 딩 동 종을 울려라 를 만들어 불렀다. 

 

이후 캐럴이 1930~50년대에 우리에게 친숙해진 캐럴들이 대부분 만들어 진다. 

 

 

 

19세기 말부터 미국 대중음악을 장악했던 뉴욕시의 음악 출판업자와 작곡가 집단이 있던 뉴욕 맨해튼의 특정 구역을 부르던 이름이 틴 팬 앨리였고 당시 천재 작곡자들이 모이면서 공동으로 작업했고 곡을 의뢰받아 그룹으로 만드는 최초의 시스템을 틴 팬 앨리라고 불렀다. 이런 사람들이 종료 음악이었던 캐럴을 대중음악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것이다. 

 

 

 

이후 크리스마스 or 홀리데이 뮤직이란 장르로 자리 잡게된 캐럴이다. 매년 캐럴 음반 발매의 시초가 바로 미국 틴 팬 앨리에서 유래했다. 그 중에 크리스마스 캐럴의 아버지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빙 크로스비는 대중문화 역사상 최초의 멀티 엔터테이너이자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가 중 한명이다. 

 

 

빙 크로스비가 부른 White Christmas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장이 판매되었고 11주간 차트 1위를 하면서 역대 가장 많이 팔린 크리스마스 캐럴송으로 지금까지도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빙 크로스비가 데뷔한 전후로 콘데서 마이크가 등장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마이크가 없을 때 관객에게 닿기 위해 뮤지컬 발성을 사용했는데 이후 목청이 큰 가수보다는 부드럽고 감미롭게 부르는 창법의 목소리 가수들이 탄생한다. 

 

 

빙 크로스비의 white christmas는 처음 송출된 때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인 1941년 12월 25일에 NBC 라디오쇼 크래프트 뮤직 홀에서 첫 소개가 되었다. 그런데 1941년 12월 7일 18일 전에 진주만 공습이 벌어지게 되었고 파견된 미국 군인에게 가족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불어일으키는 곡이 되었다. 집으로 돌아가고 가족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준 캐럴이다. 

 

 

white chistmas의 작곡가는 어빙 벌린으로 유대계 이민자 출신으로 그에게 아들 1명이 있었는데 태어난 지 3주만에 12월 25일 크리스마스날에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이 노래가 아들의 죽음을 애도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에 담겨있다고 한다. 

 

 

 

1990년대 이후 캐럴의 역사에 영원히 기록될 크리스마스 여왕 머라이어 캐리의 All I want for 이다. 이 노래 덕분에 그녀는 방송사와 거대 개런티 계약을 매년 맺고 크리스마스 스폐셜 방송을 하고 있다. 이 노래는 머라이어 캐리와 월터 아파나시에프가 직접 작사, 작곡해 탄생한 노래이다. 

 

 

빌보드 역사상 4 년 연속 1위곡을 배출한 최초이자 유일한 가수로 등극했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유네스코 등재되다.( 크리스마스 휴전 역사)

고요한 밤 거룩한 밤 탄생 배경 오스트리아의 신부였던 요세프 모어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알프스의 작은 성당에서 미사를 들이기 위해 작곡했다고 한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과 독

myvoice.wissue.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