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ld History

북한과 하마스 전술의 유사성 무엇이 비슷한가?

2023년 이스라엘의 음악축제에 팔레스타인 하마스 대원들이 춤추는 인파 위로 패러글라딩을 타고 침투해 총기로 위협 빠르게 인질들을 납치해간 사건이 발생했다. 하마스가 이스라엘의 감시를 피해 공격할수 있었던 이유는 드론으로 국경 주변의 첨단 군사시설을 파괴 후 허물어진 국경을 통해 인질들을 강제로 이동시켰다.  

 

 

북한의 하이브리드 전술 

그런데 북한도 비슷한 훈련을 한적이 있었다. 2010년에 철책을 모두 첨단 장비 과학화 경계 시스템으로 도입하자 북한은 청와대 모형을 만들어서 2016년 북 특수부대원들이 청와대 모의 침투 훈련을 위해 패러글라이더를 타고 신속하게 낙하 후 청와대를 파괴하는 모습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북한은 무인기 개발 성공을 주장하며 본격적인 훈련에 들어갔다. 현재 하마스는 북한의 이 전술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의 전술은 하이브리드 전술로 하마스의 기습공격 패턴이 북한과 유사하다. 드론 공격으로 감시. 통신 체계를 파괴하고 첨단 장비에 걸리지 않는 패러글라이딩으로 공중 침투를 시도한 점이 북한이 이전에 시행했던 전투훈련과 거의 유사하다. 드론을 이용한 전자시스템, 지상에서는 첨단장비를 피해서 패러글라이딩, 소총등 재래식 전술을 활용해 침투하는 과정을 모두 찍어 SNS 등 매체를 통한 심리전까지 하는 것이다. 

 

북한과 하마스 관계 

하마스는 북한과의 관계를 모두 부인한다. 그러나 하마스 대원이 들고 있는 무기는 북한 무기이고 전술 또한 유사하다. 

 

북한제 F-7 로켓발사기
Multiple Rocket Launcher (MRL) 방사포
방='방사포' 북한식 표기법로 가장 오른쪽은 연평도 포격당시 떨어진 포탄, 최근 우크라이나서 발견된 것이 같은 것.
10% 이란산, 10% 북한산 나머지는 하마스 자체 제조

 

현재 북한이 하마스를 지원하고 있다는 정황의 역사는 길다. 그 중에 하나가 우리나라 김포공항 테러 사건의 용의자가 팔레스타인 인물로 이후에 드러난 사건이다. 

 

 

 

김포공항 테러 사건 범인은 누구? 왜 은폐하려 했나?

김포공항의 역사 우리나라 유일의 비행장이였던 김포 비행장에 현대식 종합청사가 있는 김포공항을 세웠다. 1971년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증축되어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공항의 모습을 갖추게

janga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