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사도세자는 왜 뒤주에 갇혀 죽었나? (12회) 1762년 초여름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자결하라고 명한다. 그리고 뒤주가 들어온다.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뒤주로 들어가라고 명하고 사도세자는 8일 후 뒤주 안에서 주검이 되었다. 아버지가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인 500여년 조선왕조 역사상 전무후무한 사건이었다. 사도의 탄생 사도세자의 탄생은 영조 인생에 큰 기쁨이었다. 그 이유는 영조가 늦은 나이에 얻은 귀한 아들이였기 때문이다. 당시 영조의 나이는 42세였고 조선왕의 평균 수명이 47세 인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늦은 나이였던 것이다. 무엇보다 사도세자가 귀한 이유가 있었다. 영조는 25 살에 효장세자를 얻었으나 효장세자 가 열 살이 되던 해에 첫 아들은 세상을 떠났다. 그렇게 첫 아들을 잃고 7년 만에 기다리던 아들 사도가 태어났던 것이다. 영조는 아들이 .. 더보기
다누리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발사 성공 !! (왜 미국에서 발사? 달 탐사 이유는? ) 2022년 8월 5일 오전 8월 8분에 발사된 우리나라의 달 탐사선 다누리(달과 누리다 뜻)는 미국 플로리다 한국항공우주센터에서 발사가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이다. 달 탐사선 발사 계획은 2031년이다. 다누리가 발사에 성공하면 세계에서 7번째(미국, 소련, 인도, 중국, 일본, 유럽연합) 달 탐사국이 된다. 현재 첫 번째 교신까지 성공했다. 발사 이후 4개월 반 동안 달까지 날아가서 1년 정도 달 주위를 돌며 임무 수행을 한 후 연료가 고갈되면 달 중력에 이끌려 달에 추락할 것이다. 지구~달까지 직선거리는 약 38만 km 이다. 인류 최초의 아폴로 11호는 4일 만에 달에 착륙했는데 다누리는 설계변경으로 무게가 늘어나 비행궤적을 변경하면서 나비 형태로 600만 km를 빙빙 돌아가기 .. 더보기
조선시대 환관 이야기, 박한종 (청도 운림고택) 조선 시대 환관 조선시대 환관은 왕의 측근으로 엄청난 부와 권력을 누리던 직책이었으나 환관이 되려면 엄청난 고통이 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민에서 양반까지 환관을 꿈꿨다. 조선의 가장 대표적인 환관으로는 박한종, 임우등이 있다. 환관의 뜻 벼슬 환, 벼슬 관 으로 벼슬하는 관리라는 뜻 외에도 남성성을 상실했다는 뜻이 있다. 조선환관에는 내시라는 이름도 있었다. 고려시대 환관과 내시는 다른 신분이었으나 조선 시대는 내시=환관이 같은 말이 되었다. 환관은 궁에서 어떤 일을 했을까? 궁녀들이 하기 힘든 일을 하기도 하고 왕실 사람들은 시중을 들거나 때론 왕과 신하 사이에서 나랏일을 돕기도 했다. 환관이 필요했던 이유는? 왕의 여자들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궁궐에는 많은 후궁들이 있었고 후궁 이외에도 왕의 여.. 더보기
일본 찰리 채플린을 암살하려 했다. 왜? 제 1차 세계대전 직후 패전국 뿐만아니라 승전국이었던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강대국들도 전후 복구로 힘겨워하는 사이에 새로운 세계 질서는 빠르게 재편되고 있었다. 새롭게 떠오른 강대국은 미국과 일본이었다. 찰리 채플린 암살 계획 전 일본 상황 일본 88함대 건설 주력 일본은 전쟁 물자 판매로 큰 이익을 남기면서 경제적 호황을 누렸고 막대한 경제력으로 전함 8척 전투함 8척을 구비해 주력함대 증대를 발표한다. 강력한 화력과 뛰어난 방어력 군함 중 가장 대형 함정 '전함' , 빠른 기동력과 우수한 화력의 전투함 순양전함이었다. 1904~1905년 일본은 러일 전쟁 승리 후 해전 상황을 분석하여 전함 8척과 순양전함 8척을 주축으로 한 이상적인 함대를 구상, 강력한 해군력을 위한 88 함대 건설에 주력한다. .. 더보기
미드웨이 해전 (태평양 전쟁의 전세를 바꾸다) 2차 세계 대전 속 일본은 미국의 경제 재제에 대한 공격으로 미국의 해군 기지가 있는 진주만을 공격한다. 이 진주만 공습은 역효과를 가져왔다. 당시 미국의 루스벨트는 2차 세계대전을 참전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깨고 치욕의 날을 선언하며 일본과의 전면전을 선포한다. 이렇게 미국과 일본의 태평양 전쟁은 시작되었다. 진주만 공습 이후 일본은 이제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영국령 말레이반도를 공격, 필리핀의 민다나오섬, 인도의 안다만제도, 필리핀의 발칸반도를 점령한 일본은 인도양에서 태평양을 아우르는 넓은 지역을 확보하게 되고 이것은 모두 진주만 공격 후 6개월 만의 일이었다. 도쿄 공습 실시 미국은 일본의 복수전을 준비하며 킴멜제독을 해임하고 새로운 제독으로 체스터 니미처 사령관을 임명한다. 먼저 미국은 진주만.. 더보기
임진왜란 때 끌려간 이삼평 일본 도자기 신 되다. (이도다완 일본 국보)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 조선인 사기장이 많이 끌려갔고 그중에 이삼평이 있다. 그는 일본에서 도자기의 조상이 된다. 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 1597년 정유재란까지 통틀어서 임진왜란이라고 칭한다. 1592년 4월 30일 임진왜란이 일어난다. 왕은 수도를 버리고 도망을 갔고 90여 척의 배로 부산에 상륙한 일본군은 단 17일 만에 지방의 성을 함락시키고 한양 앞까지 쳐들어 왔던 것이다. 선조는 평양성에서 조선의 국경인 의주까지 쫓겨갔고 결국 명나라에 군대를 요청하기에 이른다. 임진왜란은 무려 7년 동안 이어졌다. 임진왜란 조선+명나라 연합군에 밀려 일본은 경남 해안까지 밀려났고 그곳에서 성을 짓고 버티고 있었다. 당시 일본은 명나라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었고 전쟁을 끝내고 떠나.. 더보기
의자왕은 왜 백제의 마지막 왕이 되었나? (9) 의자왕은 백제의 마지막 왕이다. 의자왕은 삼천궁녀, 안시성 기벌포, 황산벌 전투 등 영화의 소재가 되었지만 사실 그는 처음부터 방탕하고 무능한 왕은 아니었다. 그는 왜 백제의 마지막 왕이 되었는지 알아본다. 의자왕은 누구? 의자왕 뜻은 옳을 의 , 사랑 자, 로 의롭고 자비로운 왕이라는 뜻이다. 7세기 중반 삼국시대 모습으로 백제가 특히 경계하던 나라는 신라였다. 의자왕은 왕으로 즉위하고 이듬해 632년 자신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장에 나섰고 의자왕이 지휘한 첫 전투에서 40여 개의 신라성을 함락시키며 승리를 거두었다. 이렇게 재위하자마자 신라를 벌벌 떨게 했던 의자왕이었다. 왜 백제는 신라만을 열심히 공격했던 것일까? 지리적인 이유도 있었으나 백제 의자왕 가문의 복수심 때문이었다. 무려 4대조부터 이.. 더보기
세종 ! 며느리 4번 이혼 시키다. 이유는? (8회) 세종의 적장자 왕 문종을 두번이나 이혼시키고 자신의 두 아들 또한 이혼시켰는데 조선 시대 최고의 성군 세종도 가족일 만큼은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세종의 적장자 문종조선은 건국 이후 적장자에 의한 왕위 세습을 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1~4대 세종까지 아무도 적장자가 없었기 때문에 세종의 아들 문종의 결혼은 조선의 적장자 왕위 계승의 첫번째 사례였기 때문에 세종에게 특별했다.  유교 종법상 정통성 있는 왕위 계승의 기회로 정말 상징적이고 중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왕위에 오른지 2년만에 사망한 문종이었다.    양녕대군 폐위 과정 (양녕대군이 세종을 위해 양보했다?)[154회] 적장자 양녕대군 태종의 맏아들로 14년간 세자의 자리를 지키면서 조선왕조 최초의 적장자 계승이라는 완벽한 조건을 갖추었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