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한반도와 유라시아 초원 유목민과의 교류 흔적들: 황금보검, 신라금관, 천마총 기원

반응형
 

유라시아 교류의 중심, 한반도

유라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묶어 부르는 이름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알려지지 않은 중앙아시아 초원지대를 포함한다. 구소련 해체 이전까지 접근이 어려웠던 이 지역의 문화를, 고분 유물을 통해 알게 되었다. 특히, 신라와 고구려의 유물과 무덤 양식은 유라시아와의 긴밀한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사례다.

 

유라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하나로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지만 엄밀히 말해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 있는 알려지지 않은 땅들을 일컫는다. 우리에겐 아직 낯선 중앙아시아 초원지대인 구소련 지역으로 90년대 이전까지 접근이 어려웠다. 그러나 이 유라시아 지역간의 교류를 무덤을 통해 알게되었다. 경주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고분들은 지하에 나무로 무덤방을 만들고 시신을 넣어 돌을 쌓고 흙을 덮어 만든 적석목관분으로 되어 있다.

 

 

신라 적석목곽분의 비밀: 알타이 초원과의 연결

1) 적석목곽분의 갑작스러운 등장

경주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은 서기 4세기경 갑자기 등장했으며 약 200년간 지속되다 사라졌다.이 무덤 양식은 지하에 나무로 방을 만들고 시신을 넣은 뒤 돌로 쌓고 흙을 덮는 방식으로, 북방 유목 민족의 고분 양식과 유사하다.

 

 

2) 알타이 지역 무덤과의 유사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알타이 산맥 인근과 카자흐스탄 지역에서도 비슷한 양식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알타이와 신라 사이의 지역에서는 비슷한 무덤이 발견되지 않아, 신라가 초원 문화를 직접 수용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신라가 단순히 문화적 교류를 넘어서, 초원 유목민과의 직접적 관계를 통해 기술과 사상을 받아들였음을 의미한다.

 

 

 

3) 적석목곽분의 사라진 이유

신라의 적석목곽분은 약 200년간 사용되었으나, 불교 도입 후 고구려와 백제와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사라졌다. 대규모 고분과 금관 제작은 많은 인력과 자원을 필요로 했기에, 신라는 이를 중단하고 자원을 국가 체제 강화와 전쟁 준비에 집중했다.

 

 

고구려와  초목민족의 교류 

1) 파르티안 샷의 유목적 기원과 고구려의 채택

고구려는 유목 민족으로부터 **파르티안 샷(Parthian Shot)**을 받아들였다.  파르티안 샷은 말을 타고 달리며 뒤를 돌아 활을 쏘는 기술로, 페르시아 지역의 파르티아 제국에서 기원한 기술이다. 고구려는 이 전술을 초목의 유목민족에게서 받아들여 기병 운용에 도입해, 뛰어난 활 사격 능력과 기동성을 통해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했다. 고구려 벽화에는 말을 탄 병사가 활을 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파르티안 샷이 고구려 전술의 핵심이었음을 보여준다.

 

 

고구려 국호 뜻 / 천고마비 숨은 뜻 / 파르티안샷 기원

고구려 국호에 숨겨진 이야기 6c-8c 몽골고원에 돌궐제국이 세워진다. 터키인의 조상으로 '투르크족' 의 제국이다. 돌궐 제 2국 황제 빌게카간이 황제 카간의 동생 퀄 테키이 죽자 중국 당 현종(

jangane.tistory.com

 

2) 고구려의 금속제 등자 발명

고구려가 초목민족에게 전파한 문화도 있다. 고구려는 말을 탄 상태에서의 전투를 위해 금속제 등자를 최초로 개발했다. 당시 유목 민족은 등자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어릴 때부터 말을 타는 생활을 하던 유목민들에게 등자가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고구려인들은 말을 안정적으로 타기 위해 등자를 발명했고, 이는 기병의 전투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고구려를 동북아의 패자로 만든 등자
당시 유목 민족은 등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유목민들은 어릴때부터 말을 탔기 때문에 등자 없이 말을 탈수 있으나 고구려인들은 말에 익숙하지 않아 등자를 개발한 것이다.

 

3) 등자의 확산과 유라시아 영향

고구려에서 발명된 등자는 북방 초원 유목 민족에게 전달되었으며, 유라시아 대륙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아바르족이 등자 기술을 받아들여 중앙아시아에서 동유럽, 흑해 연안까지 확산시켰다. 중세 유럽에서 등자는 기사 계급의 탄생과 갑옷 착용을 가능하게 한 핵심 기술로, 군사 혁명을 이끌었다.

 

아바르족

신라와 황금 문화: 초원 예술의 유산

1) 경주의 황금보검: 초원 기술의 증거

1973년 경주 계림로 고분군에서 출토된 황금보검은 한반도에서 전례 없는 양식으로, 카자흐스탄 보로보예 지역에서 발견된 보검과 동일한 형태다.  1928년 카자흐스탄에서 공사를 하다가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몰랐다. 

 

 

그런데 신라에서 보검이 발견되자 용도를 알게되었다. 이것은 신라에서 만들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우연히 얻을 수 있는 검도 아니였다. 발굴 당시 보검의 위치가 앞으로 보검을 차는 위치가 정확히 일치했다. 

 

보로보예 보검이 발견된 위치

 

황금보검은 신라가 초원 유목민과의 교류를 통해 첨단 금속 기술을 받아들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기술 수용을 넘어, 신라가 유목민족의 무기 제작 기술을 적극 활용했음을 증명한다.

 

2) 신라 금관과 초원 유목민의 세계수 사상

신라의 금관은 아프가니스탄과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서 발견된 금관과 유사하다. 당시 가장 뛰어난 황금 제작기술을 가진 이들은 초원 유목 민족들이었다. 흉노의 후예로 북몽고와 중앙아시아 일대의 유목민족 국가로 한나라와 전쟁으로 1세기 멸망한 민족이다. 남은 세력이 서쪽으로 대이동을 했고 서기 4~5세기 유럽까지 도달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헝가리가 훈족의 땅이라는 뜻이다. 훈족의 유목민족의 문화가 유라시아로 퍼지는 계기가 된 것이다.

 

1세기 아프가니스탄 금관/ 우크라이나 호흘라치 금관
신라 금관과 비슷
엄청난 거리를 두고 같은 기술로 금관이 출토

 

 유목민족의 황금기술이 발달한 이유는 이동의 특성상 황금을 가지고 다니려면 황금을 얇고 넓게 펴서 옷에 바르거나 온몸을 황금으로 바르기도 하면 주조 기술이 발달했던 것이다. 

 

유목민족이 사랑한 황금 유물들

 

고구려와 유목민족은 주로 철제 무기를 교환했고 신라는 주로 황금 제련 기술을 교환했다.  신라 금관을 보면 단순히 기술만 전달된 것이 아닌 사상과 문화도 전파되었다. 위로 뻗은 금관 장식은 세계수로 하늘와 땅을 잇는 나무를 표현한 것으로 금관의 주인은 하늘로부터 선택받은 사람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천마총과 초원 문화의 흔적

1) 천마도(天馬圖)의 기원

경주의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북방 초원 유목민들의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말 위에 뿔을 달아 장식하는 풍습은 유목민들의 사후 세계관과 일치하며, 이는 천마총에 묻힌 인물의 위상과 권위를 상징했다. 천마도에 사용된 자작나무는 한반도 경주 지역에서 자라지 않으며, 북방 초원에서 가져온 재료로 제작되었다. 천마도는 자작나무로 만들어졌는데 한반도에는 강원도 등 일부 추운 지역에서만 자라는 나무로 경주 일대가 아닌 멀리 북쪽에서 가져온 재료이다. 그래서 중국보다는 북방 초원 문화와 연관됐다는 증거로 보인다. 

 

유목민이 전달한 문화

 

천마총 그림에 보면 말 위에 뿔이 달려있는데 유목민족은 사람이 죽으면 타던 말을 함께 묻던 풍습이 있었고 말을 황금으로 치장을 해서 같이 묻었다. 이때 반드시 말에 뿔을 달아 장식했다.

 

천마도와 유사한 파지릭 초원 문화의 말 장식

 

2) 초원 문화와 신라 왕권

신라가 초원문화를 받아들인 이유는 당시 삼국시대는 부여, 고구려 , 백제 이들의 공통점은 이들은 비슷한 신화를 공유란 지배층이 전부 부여 계통의 주민들로 하늘에서 내려온 천손 민족이라는 자부심이 있었고 이에 신라도 자신들만의 선민의식이 필요했다. 이에 적극적으로 부여계와 다른 북방의 초원 문화를 적극 수용하며 왕관을 만들고 금관을 만들며 권위를 과시하려 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구려와 신라는 유라시아 대륙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고구려는 금속제 등자와 파르티안샷 같은 군사 기술을 통해 동서양 기병술의 발전에 기여하며 중국과 맞설 수 있는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고, 신라는 황금보검과 금관, 천마총 같은 유물을 통해 초원 유목 민족과의 깊은 연결고리를 드러냈다. 이러한 교류는 단순한 기술과 문화의 수용을 넘어 사상과 세계관의 융합으로 이어졌으며, 한반도가 유라시아 문명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동서 문명의 다리 역할을 했음을 증명한다.

 

고구려 무기들 (삭, 등자, 철제갑옷 등등..)

 

고구려 무기들 (삭, 등자, 철제갑옷 등등..)

광개토대왕은 우리 역사상 최고의 정복 군주로 기억되고 있다. 이런 광개토대왕의 비밀병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철제갑옷으로 무장한 철갑기병이었다. ▣ 고구려 기병대의 찰갑옷 찰갑옷의 뛰

janga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