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는 파스타를 저렴하고 쉽게 먹을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파스타는 원래 **귀족과 권력자만이 먹던 ‘귀한 음식’**이었다.
그 시작은 고대 로마의 곡창 지대, **시칠리아(Sicilia)**에서 출발한다.
‘파스타’가 탄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그 문화적 의미를 따라가 보자.
파스타 어원 : 파스타(Pasta)는 무슨 뜻일까?
파스타는 이탈리아의 대표 음식이지만, 그 단어의 뿌리는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pasta’라는 단어는 단순한 음식 이름이 아니라, 재료와 조리 방식에서 기원한 언어적 유산이다. 📜
jangane.tistory.com
🌾 시칠리아: 고대 로마의 밀 창고
시칠리아는 원래 밀(wheat)의 고장이었다.
비옥한 토양과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고대부터 곡물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시칠리아주의 깃발에도 밀 이삭이 들어 있을 만큼 상징적인 지역이었다.
- 📆 기원전 2세기~기원후 2세기: 고대 로마 제국은 최대 인구 120만 명에 달했고,
이 거대한 도시를 먹여 살리기 위해 막대한 양의 밀이 필요했다. - 이때 시칠리아가 주요한 곡물 공급지로 지정되어 ‘로마의 곡창지대’가 되었다.
그러나 **게르만족(Germanic tribes)**의 침략으로 서기 476년 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이탈리아 반도의 농업도 크게 쇠퇴하게 되었다.
이후 농업이 회복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고, 귀한 밀 대신
일반 농민들은 귀리(oats), 조(millet) 등의 잡곡으로 연명해야 했다.
🍝 파스타는 언제부터 먹었을까?
오늘날과 같은 **파스타(pasta)**의 명확한 기록은 15세기경 문헌에 처음 등장한다.
- 📆 1400년대 중반: 이탈리아에서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파스타 요리가 문헌에 기록됨
- 초기의 파스타는 지금처럼 소스를 얹지 않고, 단순히 면을 삶아 치즈(cheese)를 뿌려 먹는 방식이었다.
과거 파스타는 밀가루로 만든 귀한 면 요리였기 때문에
주로 귀족 계층이나 권력자들만이 즐겼고, 서민은 잡곡으로 만든 죽이나 빵을 먹었다.
🍅 토마토는 원래 없었다: 파스타 소스의 탄생
많은 사람들이 파스타와 토마토소스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지만,
토마토(tomato)는 원래 유럽 작물이 아니었다.
- 📆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의 신대륙 탐험
- 📆 1521년: 에르난 코르테스(Hernán Cortés)가 멕시코 아즈텍(Aztec) 제국을 정복하면서
유럽에 토마토를 포함한 감자(potato), 옥수수(corn) 등 신대륙 작물이 유입되었다.
하지만 토마토는 처음에는 독이 있는 식물로 오해되어 한동안 식용되지 않았다.
17세기 후반~18세기가 되어서야 일부 지역에서 요리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오늘날과 같은 토마토 소스 파스타는 18세기 말~19세기 초 이탈리아 남부에서 확산되었다.
😄 재미있는 이야기
🍝 이탈리아 사람들은 파스타를 "신이 인간에게 내려준 음식"이라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한 고대 시칠리아 문헌에서는 귀족이 면을 먹고 있는 장면을 "천상의 식사"라고 묘사했다.
또한 파스타를 수저 없이 포크만으로 예쁘게 말아 먹는 연습은, 중세 궁정 예법의 일부였다!
📌 정리
- 파스타는 고대 로마의 곡창지대였던 시칠리아에서 출발했다.
- 처음에는 귀한 밀로 만든 귀족 음식이었으며, 문헌에 나타난 건 1400년대 중반이다.
- 토마토 소스는 존재하지 않았고, 15세기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에서야 유럽에 전파되었다.
- 오늘날 파스타는 세계인이 즐기는 음식이지만, 그 뿌리는 권력, 무역, 농업의 역사 속에 있었다.
파스타 면 종류 / 이탈리아 정통 파스타 무엇이 다른가?
국수의 발달은 산업화의 진행과정과 관련이 깊다. 이탈리아의 산업과정에서 파스타는 노동자의 음식으로 널리 퍼졌었다. 우리나라의 소면 또한 노동자들이 값싸게 한 끼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
wissue.net
'Food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푸라 (덴뿌라) 기원: 일본에서 온 음식이 아니었다? (0) | 2025.05.17 |
---|---|
빈대떡 탄생 이야기 : 조선의 길거리 음식 (0) | 2025.04.20 |
녹차의 기원 : 일본 녹차의 뿌리도 한국? (1) | 2025.03.27 |
상애떡 : 제주 전통 발효떡 (제주에서 꼭 맞봐야 할 별미) (2) | 2025.02.18 |
에그 베네딕트 만들기 (Eggs Benedict) : 뜻, 탄생 배경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