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삭한 튀김옷 속의 새우, 고구마, 가지 등.
‘덴푸라’는 일본 요리의 상징처럼 여겨지지만, 사실 그 뿌리는 일본이 아닌 서양, 그것도 포르투갈이다.
어떻게 유럽에서 온 음식이 일본의 대표 음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을까?
⛵ 16세기 포르투갈에서 건너온 튀김 요리
**덴푸라(Tempura)**는 일본어처럼 보이지만, 그 어원은 포르투갈어 tempero(조미료, 조리법) 혹은
‘금식 기간’을 뜻하는 tempora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543년: 포르투갈 상인이 규슈(九州) 지역에 도착하면서 기독교와 서양 요리법을 함께 전파
- 포르투갈의 천주교 선교사들이 고기를 금하는 사순절(Tempora) 기간 동안,
대신 먹었던 생선 튀김 요리법이 일본인들에게 소개됨
👉 당시 일본에는 기름에 음식을 튀기는 조리법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서양식 튀김 방식은 상당히 새로운 조리법으로 받아들여졌다.
🍤 ‘덴푸라’라는 말의 어원
- 포르투갈어 tempora → 라틴어 tempus (시간, 절기)
- ‘Tempora’는 천주교의 **4계절 금식 기간(Quattuor Tempora)**에서 유래
- 이 기간에는 육류를 피하고, 생선이나 야채 위주로 식사
- 일본어 ‘덴푸라(てんぷら)’는 이 금식 기간에 먹던 튀김 요리를 지칭하게 되었다
👉 한자 표기는 없음. 순수히 외래어 발음에 기반한 일본어 표기이다.
🍤 일본식으로 재해석된 덴푸라
- 📆 에도 시대(1603–1868년): 덴푸라는 본격적으로 일본식 음식으로 정착됨
- 당시 **에도(현 도쿄)**의 서민 거리 음식으로 유행
- 생선을 튀겨 꼬치에 꽂아 팔던 **포장마차 요리(yatai food)**로 발전
- 이후, 튀김 기법이 정교해지고 **튀김유(참기름, 깨기름 등)**도 개선되며
고급 요리로 격상됨
특히 **에도막부 시대의 ‘텐돈(덴푸라 덮밥)’**이 등장하며
일본식 밥 문화와도 융합되었다.
🥢 서양과 일본의 튀김 문화 차이
구분 서양(포르투갈 등) 일본(덴푸라)
기원 | 종교적 이유의 금식용 튀김 | 대중적 거리 음식으로 재해석 |
튀김유 | 올리브유, 동물성 기름 | 참기름, 식물성 기름 |
재료 | 생선, 채소 | 생선, 새우, 해산물, 채소, 고구마 등 |
반죽 | 밀가루 + 계란 | 밀가루 + 찬물 (가볍고 얇게) |
📝 덴푸라는 튀김 방식이 다르다
- 일본 덴푸라는 차가운 물에 밀가루를 넣고 거칠게 섞는 방식으로 반죽한다.
- 바삭하면서도 기포가 많은 얇은 튀김옷이 특징이다.
이자카야(일식주점) 메뉴 이름 뜻, 재료 : 오코노미야키, 덴뿌라 아게 차이점 , 규동, 차슈동, 돈
megakorea365.wissue.net
🔚 정리
- 덴푸라는 일본 요리가 아닌, 16세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에 의해 전래된 튀김 요리였다.
- 어원은 라틴어 tempus, 포르투갈어 tempora에서 왔으며,
금식 기간 중 먹던 생선 튀김 요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 일본은 이를 서민 거리 음식으로 재해석하며,
독자적인 방식으로 섬세하고 정제된 튀김 문화로 발전시켰다.
반응형
'Food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스타 역사 : 언제부터 파스타를 먹었나? 기원 (0) | 2025.05.17 |
---|---|
빈대떡 탄생 이야기 : 조선의 길거리 음식 (0) | 2025.04.20 |
녹차의 기원 : 일본 녹차의 뿌리도 한국? (1) | 2025.03.27 |
상애떡 : 제주 전통 발효떡 (제주에서 꼭 맞봐야 할 별미) (2) | 2025.02.18 |
에그 베네딕트 만들기 (Eggs Benedict) : 뜻, 탄생 배경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