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ld History

레바논 내전의 배경 원인 이유

반응형

 

서방 세계에 대한 테러도 심각하게 느껴지지만 이슬람 내부의 갈등이 원인인 전쟁으로 레바논 내전이 대표적이다. 레바논은 1975~1990년 종파 갈등으로 15년간 내전이 이어졌다. 종파 내 종파 간 갈등으로 당시 레바논은 오스만 제국 하에 국경 개념이 없었다. 

 

레바논의 지역별 종교 분포

 

다마스커스 하이웨이 북쪽은 마론파 (기독교주의 사람들 거주) 남쪽은 드루즈 , 수니파 , 남부쪽은 시아파들이 많이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그런데 1920년 산레모 회의 프랑스가 레바논을 지배하면서 레바논 전체를 장악하면서 종파들을 통합시키게 된다. 

 

1895년 레바논 종교별 인구 구성

 

이후 1943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레바논은 정계 및 종교지도자 간 각 종파 간 권력 배분을 위한  레바논의 국민 협약을 통해 헌법을 만든다. 각 종파의 인구 비율로 권력을 배분하고 각 종파간 세력의 균형을 이루었던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고 각 종파의 인구 비율이 바뀌게 되면서 바뀐 인구 분포에 맞춰 권력 재분배가 필요했지만 기득권인 마론파가 이를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분쟁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기독교를 믿는 마론파는 레바논 민족주의를 주창하고 반면에 수니, 시아파는 아랍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팔레스타인을 둘러싼 레바논 내 기독교 VS 이슬람 갈등이 심화된다. 수니파는 이스라엘에 쫓기는 그들을 도와야 한다고 했고 마론파는 팔레스타인 인이 왜 우리 땅에 들어와야 하냐 나가야된다는 의견의 차이로 결국 종파 간의 갈등은 레바논 내전을 불러왔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같은 종파끼리 또 다시 분열 내전은 격화된 것이다.  

 

그을린 사랑 (영화) 속 레바논 내전 참상

 

그을린 사랑 (영화) 속 레바논 내전 참상

그을린 사랑 드니 빌뇌브 감독 레바논 내전의 참상을 정말 사실적으로 그린 아픔을 담은 영화이다. 내전으로 고통받은 한 여인의 잔혹한 일대기를 그린 것으로 어머니의 흔적을 따라 중동으로

jangane.tistory.com

 

팔레스타인 분쟁의 씨앗 영국은 무엇을 했나?

 

팔레스타인 분쟁의 씨앗 영국은 무엇을 했나? [39-2]

이전 역사보기 벌거벗은 세계사 39회 유대민족 탄생 박해 대학살 역사[39-1] 영국과 아랍민족의 거래 1914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으로 지중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이 이 전쟁쯤

jangane.tistory.com

하마스는 왜 이스라엘을 공격했나?

 

하마스는 왜 이스라엘을 공격했나?

하마스 탄생, 확장 /가자지구, 서안지구 분리 언제? 129-2 하마스 사상적 기반 무슬림 형제단이 무장단체가 되기까지 129 -1 캠프 데이비드 협정 4차 중동전쟁 이후 5년 뒤 1979년에 이집트의 안와르

myvoice.wissue.net

 

 

 

 

  • 레바논 내전(Lebanese Civil War, 1975~1990):
    레바논 내부에서 종교, 정치적 갈등으로 여러 파벌 간 벌어진 내전이다. 주로 기독교 세력, 무슬림 세력, 팔레스타인 난민 세력 등이 충돌했으며, 다양한 외국 세력(시리아, 이스라엘, 미국 등)도 개입했다.

 

  • 레바논 전쟁(1982 Lebanon War, 1982):
    흔히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을 말하며, 공식 명칭은 "갈릴리의 평화 작전(Operation Peace for Galilee)"이다. 이스라엘이 레바논 남부에 주둔하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축출하기 위해 벌인 전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