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조선의 역사에서 가장 큰 농민 반란이 일어났다. 바로 동학농민운동이다. 농민들은 부패한 관리와 탐관오리들을 몰아내고, 조선 사회를 개혁하려 했다. 하지만 외세의 개입과 조선 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이후 갑오개혁과 항일 의병운동으로 이어지며 조선의 근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번 글에서는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전개 과정, 결과, 그리고 역사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본다.
동학이란?
경상도 최제우라는 사람이 민족 고유의 경천사상을 바탕으로 유.불.선 등을 모두 융합하여 사람이 곧 하늘이고, 모든 사람은 평하다는 인내천 사상과 지금 세사이 가고 새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후천 개벽의 사상을 가진 종교적인 교리로써 1860년 동학이라는 종교를 창시했다.
1.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1) 부패한 왕비 외척 세력과 관리들의 횡포
- 19세기 말, 민씨 정권(민비, 명성황후 세력)이 조선을 장악하면서 극심한 부정부패가 발생했다.
- 명성황후(민씨)와 그 외척 세력들은 권력을 독점하고 경제적 이권을 차지하면서 백성들을 착취했다.
- 특히, 민씨 세력은 세도 정치를 펼치며 왕권을 휘두르고, 탐관오리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과 공물을 징수하도록 방임했다.
- 이러한 부패가 심화되면서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피폐해졌고, 민씨 외척 정권을 타도하려는 움직임이 커졌다.
2) 동학(東學)의 확산과 민중 의식의 성장
- 1860년,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은 "인내천(人乃天, 사람은 곧 하늘)" 사상을 바탕으로 신분 차별 없는 평등사회를 주장했다.
- 동학은 단순한 종교가 아니라, 민중들이 스스로를 깨우치고, 불의한 지배층에 저항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1864년, 동학 창시자인 최제우가 처형되었지만, 이후 최시형이 동학을 이끌며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 동학은 "반외세, 반봉건"의 기치를 내걸며 부패한 조선 정부와 외척 세력, 외세를 몰아내려는 운동으로 발전했다.
조선 말기 관리들의 부패가 심해지자 인내천의 평등한 세상에 대한 열망이 커졌고 1894년 1월 동학교도를 중심으로 농민군이 봉기를 일으켰다. 그리고 세 달 뒤 조선왕조의 본거지인 전주성이 함락되었다. 그러자 고종은 청나라에 원병을 요청한다. 전주성 함락 며칠 뒤 청나라 군대가 아산만에 상륙, 이에 자국민 보호를 구실로 일본군도 인천으로 상륙한다. 그리하여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청일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2.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과정
1) 1차 봉기 (고부 농민 봉기, 1894년 1월)
- 1892년, 전라도 고부군수 조병갑은 농민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공금 횡령을 일삼았다.
- 이에 동학 지도자 전봉준이 농민들을 규합해 1894년 1월 봉기했다.
- 농민들은 고부 관아를 점령하고 탐관오리 조병갑을 쫓아냈다.
- 하지만 조선 정부가 진압군을 보내면서 봉기는 일단락되었다.
전봉준 고부농민봉기(고부민란)/사발통문/ 고부군수 조병갑의 만석보사건 (2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39,40회] 오늘의 탐사지: 정읍시 고부면 주제: 고부농민봉기 배경과 조병갑의 만행출연자: 설민석 고부농민봉기의 고장 고부면 동학혁명의 도화선의 첫 번째 불꽃이 된
jangane.tistory.com
2) 2차 봉기 (전국적 확산, 1894년 3~5월)
- 조선 정부의 탄압이 계속되자, 전봉준을 중심으로 다시 대규모 봉기가 일어났다.
- 농민군은 **황토현 전투(4월 7일)**와 **황룡촌 전투(4월 23일)**에서 관군을 연이어 격파하고, 전라도 일대를 장악했다.
- 농민군은 전주성(5월 1일)까지 점령하고, 조선 개혁을 위한 강령을 발표했다.
- 이들의 목표 중 하나는 부패한 민씨 외척 세력을 몰아내고, 조선을 개혁하는 것이었다.
황토현 전투 in 황토현 전적지 /전주화약 (3부)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0회] 오늘의 탐사지: 황토현 전적지- 동학농민운동 기념관 주제: 동학농민혁명과정과 전봉준 장군 출연자: 설민석 황토현 전적지 1차 동학농민운동 백산집회 전봉준,
jangane.tistory.com
3) 전주 화약 (1894년 5월 8일)
- 조선 정부는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청나라에 군대 파병을 요청했다.
- 이를 빌미로 일본군도 조선에 들어왔고, 동학군은 외세 개입을 우려하여 정부와 화약(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 농민군은 집강소(自治機構)를 설치하고 자치 개혁을 시도했다.
우금치 전투와 전봉준 장군 단소 in 동학농민운동 기념관 (4회)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40회] 오늘의 탐사지: 동학농민운동기념관 주제: 우금치전투와 전봉준장군의 최후 동학농민운동 기념관 반외세 항일투쟁 2차 동학농민혁명 경복궁 점거 소식을 들은
jangane.tistory.com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여 조정을 장악하게 되니 전국의 동학농민군이 다시 논산으로 집결하여 서울을 향해 북상을 시작하는 중 우금치에서 전투를 벌이게 된다. 우금치에서 농민군은 일본과 조선 정부의 연합군과 격돌하게 되었고 결과는 동학 농민군의 대패로 끝이 났다.
4) 3차 봉기 (1894년 9~11월, 실패)
- 일본은 청나라를 몰아내고 조선에서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청일전쟁(1894~1895년)**을 일으켰다.
- 일본군이 조선을 장악하자, 동학 농민군은 다시 항쟁을 벌였다.
- 하지만 **우금치 전투(11월 11일)**에서 일본군과 조선 관군의 연합 공격을 받고 크게 패배했다.
- 전봉준 등 지도부가 체포되면서 동학농민운동은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12월 2일 녹두장군 전봉준은 체포되고 , 교수형에 처해진다. 봉기가 시작된 지 고작 1년 만의 일이었다. 우금치 전투에서 동민군의 폐배로 조선사회를 혁신할 수 있는 마지막 동력이 꺼지게 된다. 이후 1910년 일본의 강제적인 조선 합병 한일병탄이 이루어진다. 동학농민운동은 임진왜란 이후 근현대사에서 가장 큰 사건이다.
3. 동학농민운동의 결과와 영향
1) 실패의 원인
- 조선 정부와 일본군의 강력한 탄압
- 조직력 부족과 현대식 무기 부족
- 외세(청·일)의 개입
2) 이후의 변화
- 갑오개혁(1894~1896년) 추진
- 동학농민군이 요구한 개혁 중 일부(신분제 폐지, 과거제 폐지 등)가 반영됨.
- 항일 의병운동으로 이어짐
- 일본의 조선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동학농민군 출신들이 의병 활동을 전개함.
- 농민운동의 전통 형성
- 이후 1920~30년대 농민운동과 독립운동의 기반이 됨.
4. 동학농민운동의 역사적 의미
1) 반봉건 개혁 운동
- 신분제를 타파하고, 조선 사회를 개혁하려는 최초의 대규모 농민 운동이었다.
2) 반외세 저항 운동
- 일본과 서양 세력의 개입을 반대하며 조선의 자주성을 지키려 했다.
3) 부패한 왕비 외척 세력을 제거하려는 민중 항쟁
- 농민들은 조선 정부의 부정부패를 바로잡고, 왕비 외척 세력(민씨 정권)을 몰아내려 했다.
- 이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1895년), 고종이 폐위되는(1907년) 등의 사건으로 조선 왕실은 더욱 흔들리게 된다.
4)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전환점
- 이후의 갑오개혁, 독립운동, 농민운동 등 다양한 사회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이 동학농민운동은 교과서에서 크게 다루지 않았던 이유는 이것을 북한에서는 갑오농민전쟁이라고 이름을 붙여서 이것을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처럼 홍보했던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군부정치시절은 이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군 신화 역사성 : 건국신화는 왜 이리 허무맹랑한가? (2) | 2024.09.25 |
---|---|
백제 국호 뜻 / 일본어 쿠다라나이 어원 (0) | 2024.09.23 |
부산 자갈치 시장 역사 : 자갈치 뜻 (0) | 2024.09.21 |
소주, 순대, 설렁탕 기원 : 몽골이 전한 맛의 유산 (0) | 2024.09.21 |
신라 박혁거세 건국신화 해석하기 : 알에서 태어난 이유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