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조선 시대 왕 재위 기간 정리 (1392~1897)

반응형

조선 왕조는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하여,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까지 총 27명의 왕이 즉위했다. 다음은 조선 왕들의 재위 기간을 정리한 표이다.

 

1. 조선 전기 (건국,임진왜란 이전, 1392-1592)

조선의 기틀을 다지고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확립한 시기

연번 왕 이름 재위 기간 주요 특징

1 태조 (太祖) 이성계 1392~1398 (6년) 양위 조선 건국, 한양 천도
2 정종 (定宗) 이방과 1398~1400 (2년) 양위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 개경 환도
3 태종 (太宗) 이방원 1400~1418 (18년) 양위 왕권 강화, 사병 혁파, 호패법 시행
4 세종 (世宗) 이도 1418~1450 (32년) 한글 창제, 집현전 설립, 4군 6진 개척
5 문종 (文宗) 이향 1450~1452 (2년) 병약한 왕, 단종에게 왕위 계승
6 단종 (端宗) 이홍위 1452~1455 (3년) 반정 수양대군(세조)에게 왕위 찬탈당함
7 세조 (世祖) 이유 1455~1468 (13년) 계유정난, 경국대전 편찬 시작
8 예종 (睿宗) 이황 1468~1469 (1년) 병약하여 단명
9 성종 (成宗) 이혈 1469~1494 (25년) 경국대전 완성, 성리학 발전
10 연산군 (燕山君) 이융 1494~1506 (12년) 반정 폭군, 무오사화·갑자사화 단행
11 중종 (中宗) 이역 1506~1544 (38년) 중종반정, 조광조 개혁 시도
12 인종 (仁宗) 이호 1544~1545 (1년) 병약하여 단명
13 명종 (明宗) 이환 1545~1567 (22년) 문정왕후 수렴청정, 을사사화 발생
14 선조 (宣祖) 이연 1567~1608 (41년) 붕당 정치 시작, 임진왜란 발발 (1592)

2. 조선 중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 1592-1724)

전란과 외세 침입으로 국력이 쇠퇴한 시기

 

연번 왕 이름 재위 기간 주요 특징

15 광해군 (光海君) 이혼 1608~1623 (15년) 반정 대동법 실시, 중립 외교, 인조반정으로 폐위
16 인조 (仁祖) 이종 1623~1649 (26년) 인조반정, 병자호란 (1636) 패배
17 효종 (孝宗) 이호 1649~1659 (10년) 북벌 추진
18 현종 (顯宗) 이연 1659~1674 (15년) 예송 논쟁 발생
19 숙종 (肅宗) 이순 1674~1720 (46년) 환국 정치, 장희빈 사건

3. 조선 후기 (탕평책, 세도 정치, 1724-1863)

탕평책 시행, 세도 정치로 왕권 약화, 서구 열강 등장

연번 왕 이름 재위 기간 주요 특징

20 경종 (景宗) 이윤 1720~1724 (4년) 노론·소론 대립 심화
21 영조 (英祖) 이금 1724~1776 (52년) 탕평책 실시, 균역법 시행
22 정조 (正祖) 이산 1776~1800 (24년) 규장각 설립, 개혁 정치
23 순조 (純祖) 이공 1800~1834 (34년) 세도 정치 시작, 신유박해 (1801)
24 헌종 (憲宗) 이환 1834~1849 (15년) 안동 김씨 세도 정치
25 철종 (哲宗) 이변 1849~1863 (14년) 서민 출신 왕, 세도 정치 심화

4. 조선 말기 (근대화 시도,대한제국 선포, 1863-1897)

개혁과 서구 열강의 압박 속에서 조선의 붕괴

연번왕 / 황제재위 기간주요 특징

26 고종 (高宗) 이명복 1863~1897 (34년, 조선 왕) 양위 흥선대원군 집권, 강화도 조약 (1876), 갑신정변 (1884), 동학농민운동 (1894)
27 순종 (純宗) 대한제국 황제 1907~1910 (3년, 대한제국 황제) 한일병합조약 (1910), 대한제국 멸망

5. 조선 왕조 마지막 – 대한제국 선포 (1897)

  •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로 즉위하면서 조선은 공식적으로 끝나고 대한제국(1897~1910) 시대로 접어든다.
  •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조선 왕조는 완전히 막을 내렸다.

 

조선 왕조의 주요 특징 정리

  1. 조선 전기(1392~1592): 중앙 집권 강화, 성리학 국가 체제 확립, 임진왜란 이전까지 비교적 안정
  2. 조선 중기(1592~1724): 임진왜란·병자호란 등 외세 침략, 내부 붕당 정치로 혼란
  3. 조선 후기(1724~1863): 탕평책 시행, 세도 정치로 왕권 약화, 서구 세력 등장
  4. 조선 말기(1863~1897): 개혁과 근대화 시도, 외세의 침략, 대한제국 선포


## 장기 재위 왕

1. **영조**: 52년 (1724-1776) - 조선 역대 왕 중 가장 오래 재위
2. **숙종**: 46년 (1674-1720)
3. **선조**: 41년 (1567-1608)
4. **중종**: 38년 (1506-1544)
5. **세종**: 32년 (1418-1450)

## 단기 재위 왕

1. **인종**: 1년 (1544-1545)
2. **예종**: 1년 (1468-1469)
3. **정종**: 2년 (1398-1400)
4. **문종**: 2년 (1450-1452)
5. **단종**: 3년 (1452-1455)

## 주목할 만한 재위기간

- **태조(이성계)**: 6년 (1392-1398) - 조선 왕조의 창건자
- **세종대왕**: 32년 (1418-1450) - 한글 창제 등 문화적 업적 달성
- **정조**: 24년 (1776-1800) - 문화적 황금기를 이룩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은 3년(1907-1910) 재위 후 일본에 의해 강제 퇴위되었다. 

 

조선 왕조 505년의 역사

조선은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이후 27명의 왕이 통치했으며, 총 505년 동안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성리학적 질서 확립, 중앙집권 강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혼란, 근대화의 실패 등의 굵직한 역사를 거치며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결국 조선은 19세기 말 서구 열강과 일본의 압박 속에서 무너졌으며, 1897년 대한제국으로 전환되었다.

 

"조선은 강력한 왕권과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중앙집권 국가였으나, 내부 분열과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몰락했다."
"Joseon was a centralized Confucian state with strong royal authority, but internal conflicts and foreign invasions led to its downfal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