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을사늑약 = 을사조약 : 그 날의 진실

반응형

을사늑약(을사조약), 그날의 진실과 역사적 의미

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일본에 빼앗긴 사건이 있다. 바로 '을사늑약'이다. 하지만 이 조약은 강압적으로 체결되었으며, 법적으로도 무효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는다. 과연 을사늑약의 진실은 무엇일까? 이 글에서 그날의 역사적 배경과 반대 투쟁, 그리고 을사늑약의 무효 논쟁에 대해 알아보자.

 

 

 

을사늑약이란?

을사늑약(乙巳勒約)은 1905년 11월 17일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기 위해 체결한 불법 조약이다. 이를 통해 대한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고, 이후 국권 상실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 조약은 고종 황제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강압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었기에 불법이라는 주장이 강하다.

을사늑약 체결 과정

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의 대신들을 협박하고, 군대를 동원해 조약 체결을 강요했다. 고종 황제는 끝까지 반대했지만, 일본은 황제의 승인 없이 강제적으로 조약을 발표했다. 체결 장소는 경복궁 내 중명전이었으며, 이는 대한제국이 자주권을 빼앗긴 비극적인 순간이었다. 특히 조선 정부 대신 중 한규설은 끝까지 반대했으나 감금되었고, 외부대신 박제순의 도장을 찍어 강제로 늑약을 체결했다.

을사늑약의 주요 내용

  1.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일본이 대신 행사한다.
  2. 대한제국은 일본의 승인 없이 어떠한 외교 활동도 할 수 없다.
  3. 일본은 대한제국에 외교 고문을 두고 외교 업무를 통제한다.

 

을사늑약 반대 투쟁

을사늑약 체결 후 많은 대신들이 이에 반대하며 항거했다. 대표적으로 민영환과 조병세는 자결을 선택하며 항거의 뜻을 보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반일 운동이 확산되었고, 성주 지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거센 저항이 이어졌다. 고종 황제는 이를 무효화하기 위해 헤이그 특사를 파견했지만, 국제 사회는 일본을 지지하는 분위기였다

을사늑약의 무효 논쟁

 🔽을사늑약(=을사조약) 뜻, 장소, 을사늑약이 무효인 이유 ✔️

 

 

을사늑약(=을사조약) 뜻, 을사늑약이 무효인 이유

일본은 임진왜란(1592년) 때부터 한반도를 지속적인 침략 기회를 엿보고 있었고 1875년 운오효 사건을 빌미로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고 1905년 마침내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겠다는 을사늑

jangane.tistory.com

 

을사늑약 이후 항일운동

을사늑약 이후 국권을 되찾기 위한 항일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제 병합되면서 독립운동은 더욱 거세졌으며, 1919년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등으로 이어졌다. 또한 독립군들은 무장 투쟁을 통해 일본에 맞서 싸웠다.

을사늑약 120년,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

1905년에 체결된 을사늑약은 2025년 기준으로 120년이 되는 사건이다. 이 조약은 대한제국의 국권 상실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고,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이를 불법 조약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는 을사늑약을 통해 국권 회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한다.

 

 

을사오적 얼굴을 보고 싶다!! clic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