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러일협정 : 베베르-고무라 각서,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로젠-니시 협정

반응형

19세기 말, 조선은 강대국들의 세력 다툼 속에서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일본과 청나라의 갈등으로 인해 **청일전쟁(1894~1895년)**이 발생한 후, 일본이 조선에서 우위를 점하는 듯했지만,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일본과 러시아 간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조선을 눈먼 장님으로 묘사

 

이에 따라 조선을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는 여러 차례 외교적 협정을 체결하며 세력 균형을 조정하려 했다. 일본의 경제적 우위를 인정하면서 공동으로 조선을 관리하자는 여러 협정들이 맺어졌다. 하지만 결국 이러한 협정들은 일시적인 해결책에 불과했으며,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이어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을 중심으로 한 러·일 협정의 전개 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러·일 협정 배경 알아보기👇

 

조선을 둘러싼 러·일 협정 배경: 러일전쟁으로 가는 길

19세기 말, 조선은 국제 정세의 중심에 놓인 약소국이었다. 청나라, 일본, 러시아, 서구 열강이 조선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외교전을 벌였다. 특히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이 조선에서의

jangane.tistory.com

 

 

1. 베베르-고무라 각서 (1896년 5월 14일)

📌 체결국: 러시아-일본
📌 배경:

  •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미사변) 이후, 조선 내 반일 감정이 극에 달했다.
  • 일본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1896년 2월,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을 단행했다.
  • 이에 따라 러시아의 조선 개입이 본격화되었고, 일본은 러시아와 협상하여 세력 조정을 시도했다.

📌 주요 내용:

  1. 일본은 조선에서 군대를 철수한다.
  2. 러시아도 조선 내에서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자제한다.
  3. 조선의 독립을 유지하며, 제3국(특히 청나라)의 개입을 막는다.

📌 영향:

  • 일본이 조선에서 철수하면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되었다.
  • 조선 정부 내에서 친러 세력이 득세하면서, 러시아의 내정 간섭이 심화되었다.
  • 일본은 러시아가 조선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

2.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1896년 6월 9일)

📌 체결국: 러시아-일본
📌 배경:

  • 베베르-고무라 각서 체결 후에도 러시아가 조선에서 점점 영향력을 확대했다.
  • 일본은 조선에서의 입지를 유지하기 위해 러시아와 추가적인 협정을 체결할 필요성을 느꼈다.

📌 주요 내용:

  1. 조선의 독립을 유지한다.
  2. 러시아와 일본은 조선에서 상호 균형을 유지하고, 제3국(특히 청나라)의 개입을 막는다.
  3. 러시아와 일본은 조선 정부에 대한 영향력을 공동으로 행사한다.

📌 영향:

  • 조선은 외교적으로 완전히 외세의 틀 안에 갇히게 되었다.
  • 러시아와 일본이 조선의 독립을 인정했지만, 사실상 조선을 둘러싼 세력 다툼을 공식화한 협정이었다.
  • 러시아는 이후 조선과 만주 지역에서 더욱 적극적인 개입을 시도하며, 일본과의 갈등이 깊어졌다.

3. 로젠-니시 협정 (1898년 4월 25일)

📌 체결국: 러시아-일본
📌 배경:

  • 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자주 독립 국가임을 선언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러시아의 보호를 받는 상태였다.
  • 러시아는 조선뿐만 아니라 만주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며 일본과의 갈등이 점점 심화되었다.
  • 이에 따라 일본과 러시아는 다시 한번 세력권을 조정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 주요 내용:

  1. 러시아는 일본이 조선에서 가지는 경제적·정치적 이익을 인정한다.
  2. 일본은 러시아가 만주에서 가지는 경제적·정치적 이익을 인정한다.
  3. 양국은 조선에서 상대국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다.

📌 영향:

  • 일본과 러시아가 조선과 만주에서 각자의 세력권을 인정하는 형태로 합의했다.
  • 하지만 러시아가 만주에서 철군하지 않고 계속 점령하자, 일본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다.
  • 결국 1904년 러일전쟁(1904~1905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4. 조선을 둘러싼 러·일 협정 정리

연도                             조약명                                       체결국                       주요 내용

1896년 5월 14일 베베르-고무라 각서 러시아-일본 일본군 철수, 러시아 영향력 강화
1896년 6월 9일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러시아-일본 조선의 독립 유지, 러·일 세력 균형 조정
1898년 4월 25일 로젠-니시 협정 러시아-일본 러시아는 만주, 일본은 조선에서 영향력 행사 인정

✍️ 러일전쟁 과정 시간 순서로 간략 정리

 

러일전쟁 과정 시간 순서로 간략 정리

러일 전쟁 기간 (1904년 2월 8일 – 1905년 9월 5일) 러일 전쟁전 상황 ⓐ (1891년 5월 11일) 오쓰 사건 ⓑ(1894년 8월 1일~1895년 4월 17일) 청일전쟁 ⓒ(1895년 3월 20일,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 ⓓ(1895년 5월

jangane.tistory.com

 

** 러일전쟁으로 이어지는 길

이 세 개의 협정들은 모두 조선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 다툼을 조정하려는 시도였다.

  • 베베르-고무라 각서(1896년): 일본군 철수 후 러시아가 조선에서 영향력 확대
  •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1896년): 조선의 독립 유지와 러·일 세력 균형 조정
  • 로젠-니시 협정(1898년): 러시아는 만주, 일본은 조선에서 각각 영향력 행사

그러나 이러한 협정들은 단기적인 평화만을 가져왔을 뿐,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 결국 러시아가 만주에서 철군하지 않으면서 일본과의 갈등이 폭발했고,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이어졌다.

 

 

✔️러일 전쟁 이야기 [벌거벗은 세계사 10회 ]

 

러일 전쟁 이야기 [벌거벗은 세계사 10회 ]

[러일 전쟁 첫 번째 이야기]  19세기(1801년 ~1900년) 상황은 열강들의 게임판이었다. 영국에 의해 바다쪽 세력 확장이 막혀 있었던 러시아는 시베리아 철도를 통해 세력권 확대를 꾀하였다.  러

janga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