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3월 2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한인 청년 두 명이 일본의 앞잡이 역할을 하던 외교관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Durham White Stevens)**를 저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은 일본에 대한 분노와 독립을 향한 의지가 만들어낸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스티븐스는 누구이며, 왜 저격당했을까? 그리고 이 사건이 우리 역사에 어떤 의미를 남겼을까?
📌 스티븐스는 누구였을까?
스티븐스는 미국 국적의 외교관이었지만, 대한제국의 외교 고문으로 활동하며 사실상 일본의 이익을 대변하던 인물이었다. 그는 1905년 을사늑약(을사조약) 체결을 적극 지지하며, 일본이 대한제국을 통치하는 것이 한국을 위한 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1908년 미국을 방문하여 일본의 한국 지배를 정당화하는 발언을 하면서 한인 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 사건의 배경: 일본의 대한제국 외교권 장악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완전히 빼앗기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한국 내외에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반발했고, 해외에 거주하던 한인들 또한 항일운동을 적극 펼치기 시작했다. 스티븐스는 미국에서 "일본 덕분에 한국이 발전하고 있다"는 발언을 하며 일본의 대한제국 강제 지배를 옹호했다. 이 발언을 들은 미국 내 한인들은 분노했고, 결국 두 명의 독립운동가가 그를 저격하기로 결심했다.
📌 샌프란시스코에서 벌어진 저격 사건
- 날짜: 1908년 3월 23일
- 장소: 미국 샌프란시스코 페리 터미널
- 저격범: 장인환(張仁煥), 전명운(全明運)
스티븐스는 일본 총영사관 관계자들과 미팅을 마친 뒤 길을 걷고 있었다. 그때, 전명운이 먼저 권총을 발사했지만 빗나갔고, 장인환이 리볼버로 두 발을 명중시켰다. 스티븐스는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이틀 뒤인 3월 25일 사망했다.
📌 저격범들의 재판과 한인 사회의 반응
장인환과 전명운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미국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
✅ 전명운 – 공모 증거가 부족해 무죄
✅ 장인환 –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 6년형 선고 (후에 3년 만에 가석방)
미국 한인 사회는 이들의 행동을 지지하며 모금을 하고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해외에서도 항일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이후 미국과 중국에서 독립운동 단체들이 조직되는 계기가 되었다.
📌 스티븐스 저격 사건의 역사적 의미
💡 독립운동의 글로벌 확산
스티븐스 저격 사건은 단순한 암살이 아니라,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은 일본에 대한 한인들의 저항을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이를 계기로 해외 한인 사회에서도 독립운동이 본격적으로 조직화되었고, 이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식민지 통치를 반박하는 강한 메시지
이 사건은 전 세계에 "한국인은 일본의 지배를 원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당시 일본은 한국을 강제로 지배하면서도 "한국인들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선전했는데, 스티븐스 저격 사건은 이러한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사건이 되었다.
📌 독립을 향한 희생과 저항
스티븐스 저격 사건은 해외 한인들이 일본의 부당한 식민 지배에 맞서 싸운 대표적인 사건이다. 장인환과 전명운의 용기 있는 행동은 미국 내 한인 사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가 부당하다는 사실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이 담겨 있다. 독립을 향한 한인들의 희생과 저항을 기억해야 한다.
1910~ 40년 의병 활동 간략 정리
▶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 창덕궁에서 마지막 어전회의가 열렸고 순종이 이를 받아 들여 이완용이 위임장을 받아들고 남산 통감관저에서 강제 병합에 도장
myvoice.wissue.net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권도의 유래와 역사 정리 : 한국 무예에서 세계 스포츠로 (0) | 2025.03.30 |
---|---|
인천 이야기 (0) | 2025.03.07 |
국내 최장 21.3km 인천대교 완벽 가이드 : 세계 5위 해상 교량 특별함은 무엇? (2) | 2025.03.07 |
한국에 기독교가 많은 이유 (0) | 2025.03.07 |
한인애국단 주요 활동 알아보기 (1)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