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고구려 벽화 특징

고구려 무덤에 들어가면 벽화가 무덤의 천장과 사면을 두르고 있다. 옛날 사람들은 죽은 뒤에도 새로운 삶이 이어진다고 생각해서 죽어서도 살아 있을 때 가졌던 것을 누릴 수 있도록 소중히 여긴 물건들을 함께 묻어 주었다. 이 풍습이 지나면서 무덤 안에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초기 고구려 벽화 3세기 말~5세기 초는 주로 묻힌 사람이 살아 있을 때의 생활 풍속도가 많다. 이승의 삶을 사후에도 이어가려는 마음의 표현인 것이다.  그래서 무덤 주인의 평소 생활 모습을 묘사한 것이 많다.

 

덕흥리 고분 벽화 생활풍속도

 

안악 3호분 행렬도 : 묘주의 행차 모습을 그린 것으로 묘주의 생전의 위풍당당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생활풍속도에는 묘주의 신분과 권위를 증명하는 풍경이 주로 묘사되어 있다. 

 

안악 3호분 행렬도 : 묘주의 행차 모습을 그린 것.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초에는 생활 풍속과 사신, 넝쿨무늬, 왕자 무늬 등 장식 무늬를 함께 그려넣었다.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중엽에는 후반에는 주로 벽면 전체에 신화적 내용의 벽화가 등장한다 . 고구려는 중국을 비롯한 여러 북방 민족과 교류하면서 다양한 외래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고유한 문화를 바탕으로 한 고구려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오회분 4호묘의 벽화 / 오른쪽 복희와 여와

 

오른쪽 고구려 벽화의 내용이 중국 신화의 복희와 여와를 많이 닮았다. 복희와 여와는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태초의 신들로 인류의 시조가 된 오누이이다. 고구려 문화는 중국 문화와 밀접했다. 

 

쌍영총 삼족오 벽하 모사본

 

태양 안에 사는 세 발 달린 까마귀, 삼족오는 해의 상징이자 고구려의 상징이다. 우리는 우리의 고유한 문화만 자랑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할수 있으나 외부의 문화를 잘 활용하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다. 문화는 국경이 없다. 문화는 물처럼 흐는 것이다. 

 

평창 올림픽때 나왔던 인면조그림은 덕흥리 고 고구려 벽화에 등장한다.